• 제목/요약/키워드: 액위제어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4초

특성화고 '화학공정유지운영' 교과를 위한 조립형 액위제어 실험장치 및 체험활동과제 개발 (Development of an Assembly-type Liquid Level Control Experimental Equipment and a Hands-on Activity Task for Vocational High School 'Chemical Process Maintenance Operation' Subject)

  • 정은숙;이경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공업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액위제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립형 액위제어 실험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체험활동과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공업 실무과목에서 액위제어와 관련된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조립형 액위제어 실험장치를 활용하는 체험 활동과제를 개발하여 전문가 검증을 마친 후, 16차시의 체험활동과제를 S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 19명에게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완성형 액위제어 실험장치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 수준에서 조립 가능하며 실습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형 액위제어 실험장치를 설계·제작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NCS기반 '화학공정유지운영' 실무과목의 내용을 분석하여 액위제어와 관련된 학습 내용들을 추출하였다. 이 액위제어 관련 내용 중에서 공정 흐름도의 이해, 액위제어 실험장치 제작, 유량 측정, 액위제어 현상 확인 등의 실습을 위 조립형 액위제어 실험장치로 진행하여 액위제어 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Van de Vusse 반응기 동특성을 구현하는 액위시스템 및 제어 실험 (Liquid Level System Realizing Van de Vusse Reactor Dynamics and its Control Experiments)

  • 이지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184-189
    • /
    • 2020
  • Van de Vusse 반응기는 정상상태 입출력 관계에서 최대값을 그리고 이 최대값을 기준으로 동특성의 형태가 크게 바뀌는 특성을 보인다. 운전영역에 따라 정상상태 이득의 부호가 바뀌고, non-minimum phase 동특성 등의 제어를 매우 어렵게 하는 특성들이 나타난다. 매우 많은 비선형제어 방법들과 새로이 고안되고 있는 방법들이 이 Van de Vusse 반응기 공정에 적용되어 그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반응기의 실제 예가 보고되어 있으나, 화학반응 특성상 제어기 실험에 일상적으로 사용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대부분 모사연구에 그치고 있다. 여기서는 이 Van de Vusse 반응기의 특성을 모두 구현하는 액위시스템을 제작하고, 새로이 고안되는 비선형 제어기의 성능을 밝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간단한 두 제어 방법의 실험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액위시스템 실험장치와 제안된 제어 방법들은 매우 간단하며, 비선형 제어기의 성능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구형 탱크의 액위 제어 (Liquid level control in a spherical tank by microcomputer)

  • 강원영;오민;이태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7-18 Oct. 1986
    • /
    • pp.459-462
    • /
    • 1986
  • The liquid level in a spherical tank was controlled with a micro-computer and the dynamic behavior of this non-linear system due to the variation of set point was studied. The adaptive control theory was used and the real values of controlled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s from a mathematical model.

  • PDF

포화시작점에서의 운전을 위한 제어방법 (Control Methods for Operation on the Saturation Edge)

  • 안광노;임상훈;성수환;이지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90-395
    • /
    • 2020
  • 몇몇 포화를 갖는 공정에서 경제적인 운전점이 포화시작점에 있게 된다. 고전적인 피드백 제어기는 포화시작점에서 동특성이 급박하게 바뀌고 포화가 된 상태에서는 피드백을 위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가 없다. 포화점과 동특성이 알려져 있고 바뀌지 않을 때는 모델예측제어 같은 최적화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이 어려움 없이 이 제어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 포화점과 등특성을 추적하는 적응 방법이 첨가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이 제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방법들로서, 최근의 slope seeking method와 relay feedback method에 기반한 두가지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포화현상을 갖는 이차 액위제어 공정에 적용한 모사를 통하여 그 성능을 검사하였다. 모사결과는 제안하는 본 제어 방법들이 포화시작점을 5% 이내로 찾고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흡수식 냉온수기 고온재생기 액면 거동과 제어 (Level Dynamics and Control of the Solution in the High Temperature Generator of an Absorption Chiller)

  • 신영기;곽민수;조현욱;남상철;정진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852-858
    • /
    • 2010
  • In an absorption chiller, solution is circulated by a solution pump with an inverter to vary flow rate depending on operating conditions. For optimal operation, the solution level in the high temperature generator should be kept constant. However, a sensor for measuring continuous level is not available because of varying solution concentration. Instead, level switches are used and hence feedforward control associated with limit checking is a common practice. In the study, inverter frequencies are estimated from a dynamic simulation model and pump performance. Designed frequencies are compared with those implemented in real chillers.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ies used in real chillers are larger than those needed in circulation flow rates. It was intended to prevent system shut-off caused by dry-out. However,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xcessive frequency setting in order to reduce frequent pump stops and the range of solution level for continuous pump operation.

쌍일차 모델을 이용한 폐열 스팀 보일러의 액위 적응 예측 제어 (Adaptive predictive level control of waste heat steam boiler based on bilinear model)

  • 오세천;여영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344-350
    • /
    • 1996
  • An adaptive predictive level control of waste heat steam boiler was studied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considering the inverse response. The simulation experiments of the model identification were performed by using linear and bilinear models. From the results of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bilinear model represented the actual dynamic behavior of steam boiler very well. ARMA model was used in the model identification and the adaptive predictive controller. To verify the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adaptive predictive controller used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adaptive predictive level control for waste heat steam boiler based on bilinear model were compared to those of P, PI and PID controller. The results of simulations showed that the adaptive predictive controller provides the fast arrival to setpoint of liquid level.

  • PDF

9% 니켈강재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9% Ni Steel LNG Storage Tank)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3-18
    • /
    • 2010
  • 본 연구는 9% 니켈강재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측정 및 제어시스템에 비해 압력, 변위,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하였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는 새로운 제어장치와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해 통합되고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동시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초대형 완전밀폐식 LNG 저장탱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압력계이지를 추가하고, 내부탱크의 외측벽과 스티프너, 톱거더의 용접지역, 코너 프로텍션 탱크의 외측벽에 새로운 변위센서/압력센서를 설치하였다.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는 내부탱크와 코너 프로텍션 탱크의 9% 니켈강재 구조물에 대한 파손징후를 제공할 수 있고, 내부탱크로부터 누설되는 LNG를 감시할 수 있다. 기존의 누설센서는 내부탱크와 코너 프로텍션 사이의 단열지역에 설치한 누설감지기에 의해 경고신호가 접수될 때까지도 9% 니켈강재 탱크의 파괴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온도, 압력, 변위, 하중, LNG의 밀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시스템의 안전성과 내부탱크의 누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는 9% 니켈강재로 제작한 탱크의 안전성에 관련된 변위와 하중, LNG의 액위와 밀도, 쿨다운 공정, 누설,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측정한다.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LNG Membrane Storage Tank)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0-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의 측정장치와 안전장치에 대한 고찰과 분석을 통해 초대형 멤브레인 식 LNG 저장탱크에 적합한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기존에 단수로 설치한 압력계를 추가하고, 기존의 LNG 저장탱크에는 없는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를 내부탱크와 예응력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를 관통하는 강재앵커에 새로이 설치함으로써 초대형 LNG 저장탱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는 멤브레인 패널의 파손여부, 내부탱크로부터 발생된 LNG 누설의 단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누설센서는 내부탱크 뒤편의 보냉재 공간에 설치한 온도센서에 의해 LNG 누설이라는 신호를 보낼 때까지도 멤브레인 패널의 손상에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결국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온도, 압력, 변위량, 하중, LNG의 밀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시스템의 안전성과 내부탱크의 누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는 멤브레인 패널의 안전성에 관련된 변위량과 하중, LNG의 액위와 밀도, 쿨다운 공정, 누설,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측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