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감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Depression on the Self-Esteem in Adolescents)

  • 박태희;이경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3-361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improving self-esteem under the influence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from August 19 to August 30, 2013.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ademic grades, father'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in adolescents. The relation of the variables to self-esteem by the statistical power in order was depression, peer attachment and parental attachment. The more the subjects were depressed, the more self-esteem dropped. The better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and household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self-esteem wa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level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which explained 38% of the total variance in self-esteem. Conclusion: Adolescents who had high self-esteem could reduce their depression and form good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that would prevent them from being maladjusted. These results will affect the various activities of adolescent. Therefore, the way in which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self-esteem should be found.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ACOA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ther's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Adult Daughters of Alcoholic Fathers)

  • 김혜련;전선영;김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317-34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성인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즉, 아버지를 알코올 중독자로 둔 여성 ACOA들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463명의 여대생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 160명이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중독자 선별척도, 부모와의 애착 척도, 생활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Beck의 우울 척도, 가족환경 척도 등이 조사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심리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부모와의 애착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과 심리사회적 적응, 구체적으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에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의 애착은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유무는 여성 ACOA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변수로만 여성 ACOA의 적응에서의 어려움을 설명하려는 가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ACOA들에 관한 임상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의인화 수준에 따른 스마트 스피커 이용자의 고독감, 사회적 단절, 애착 및 이용행태의 차이 (Differences in Loneliness, Social Disconnection, Attachment, and Usage Behavior of Smart Speaker Users Depending on Anthropomorphism Level)

  • 장예빛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93-102
    • /
    • 2022
  • 의인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들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나, 의인화를 경험하는 이용자의 특성 및 이들의 이용행태에 관해서는 탐색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스마트 스피커 이용자의 의인화 수준에 따른 이용자의 외로움, 사회적 단절, 애착 및 스피커 이용행태의 차이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스마트스피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320명의 이용자들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의인화 수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용자의 외로움, 사회적 단절, 애착불안, 하루 평균 스피커 이용 빈도 및 의인화 행동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애착회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피커와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인터랙션 설계에 관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주국립공원 사찰숲길에 있어 장소애착과 환경요인의 구조적 관계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Factor to Temple Forest Trail in Gyeongju National Park)

  • 이덕재;권태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3-291
    • /
    • 2012
  • 본 논문은 경주국립공원 내 사찰숲길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환경요인에 대한 인식과는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탐색하며, 국립공원 관리에 있어서 경관선호 보다는 경관애착에 근거한 보전적 측면에서의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경주국립공원 내 대표적인 사찰인 불국사를 찾는 탐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장소의존성은 장소애착에 대하여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소정체성은 장소애착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의존성이 보다 장소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경로계수=0.55). 장소애착은 환경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경관이용과 시설이용 모두 유의하게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애착은 사찰숲길 이용의 중요성에 있어서 시설요인 보다는 경관요인에 대하여 보다 강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경로계수=1.01). 이러한 결과는 국립공원의 경관자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키며, 이로부터 사찰숲길 경관의 보전에 중점을 둔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애착이 대학생의 심리적$\cdot$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매커니즘: 과정적 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 외로움과 생활만족도 (Attachment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 전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85-9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by examining their attachment, self-esteem,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on 171 college students. The suggested path model was supported tv serial regression analyses. Attachment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ttachment style with peer had an impact on the college students' self-esteem, which in turn affected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which then affected individual health(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mart Phone Addiction Model for Adolescent)

  • 이종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33-44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심화시키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4년 자료를 가지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의 요인으로 스마트폰 중독 모형을 구성하고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임상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Student Personal Characteristics, Parent Attachment and Adjustment in College)

  • 박범혁;정영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45-57
    • /
    • 200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 adjustment in colleg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steem, self-identity, interaction anxiousness, and parent attachment on th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djustments in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ramming for repeating a college entrance exam, living with their parents, college major, family income, and religion. Second, the self-esteem, self-identity, interaction anxiousness, and parent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impacted the related adjustment. Self-ident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the adjustment in College.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rograms of self-identity Improvement are needed for the adjustment in college life.

대학생의 자살생각,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 among Suicidal Ideation, Parental Attachment, and Self-Identity of College Students)

  • 김효정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7권2호
    • /
    • pp.132-13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uicidal ideation, parental attachment, and self-identity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314 college students in Gyeong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3 to Oct 5 in 2009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Version 12.0). Results: Suicidal ide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maternal and paternal attachment (r=-.20, p<.001; r=-.24, p<.001, respectively) as well as self-identity (r=-.37, p<.001). Self-ident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ternal and attachment (r=.16, p=.006; r=.23,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uicidal ideation may be decreased when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parental attachment and self-identity. Strategies to improve parental attachment and self-identity are needed in near future.

대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대인관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오영진;박봉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81-9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ducted a survey on 336 university students in Andong-si and Cheongju-si.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well-being made an effect by avoidant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and was more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anxiety attachment including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cognitive well-being only by anxiety attachment. Including mediati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gnitive well-being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ly.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ffective well-being, and perfectly between attachment and cognitive well-being.

아동의 애착, 사회적 유능감, 정서조절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 최진아;박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103-11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3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ge(5th-6th grades) in G-city, Korea, using the IPPA-R, the Social Competence Inventory and a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have a positively correlated relationship. Peer attachments strongly affect the attributes of social competence when using a canonical variate analysis.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a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Maternal attachment particularly strongly affected the attributes of emotion regulation.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