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모무늬잎말이나방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지리적 분포와 성충 발생소장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easonal Catches of Three Adoxophyes Species in Korea)

  • 양창열;경태현;조영식;강택준;전흥용;김형환;김은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5-299
    • /
    • 2009
  •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Adoxophyes spp.)(나비목: 잎말이나방과)는 과수의 잎과 과실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이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국내 분포 상황을 종-특이적인 성페로몬 트랩으로 조사한 결과,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은 중서부 지역에 국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 honmai)은 남부 지역에 주로 발생하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는데 중서부지역에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남부지역에서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동시에 발생하고 있었다. 중부지역에서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성충은 연 3회 발생하였으며, 각 세대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및 8월 하순이었다.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연 4회 발생하였으며, 5월 중순, 6월 하순, 8월 상순 및 9월 상순에 성충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최근 경북지역 사과원에서 잎말이나방과 해충 발생동향 (Recent Occurrence Status of Tortricidae Pests in Apple Orchards in Geoungbuk Province)

  • 최경희;이순원;이동혁;김동아;서상재;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9-194
    • /
    • 2004
  • 1998년부터 2000년까지 3년간 경북사과주산지 사과원과 묘목원을 대상으로 잎말이나방류 종을 조사하였으며,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간 5-6개 시군의 관행사과원과 폐원에서 잎말이 나방 발생동향과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사과원에 발생하는 잎말이나방으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 (Adoxophyes orana), 사과무늬 잎말이나방(Archips breviplicanus), 매실애기 잎말이나방(Rhopobota unipunctana), 사과잎말이나방(Choristoneura longicellana), 복숭아잎말이나방(Acleris fimbriana), 감나무잎말이나방(Ptycholoma lecheana circumclusna), 한국잎말이나방(Archips subrufanus) 등 총 7종이 조사되었다. 이중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매년 단연 우점종이었으며, 사과무늬잎말이나방과 매실애기잎말이나방은 특정 해에만 1-2 농가에서 다발생하였다. 1980년대 우점종은 사과무늬잎이나방과 매실애기잎말이나방이였으나, 1990년대말 우점종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10년간 관행사과원의 잎말이나방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피해과율은 $0.67\%$였다. 과실 피해는 3세대 유충에 의해 8-10월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배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발생소장과 방제 (Seasonal Catch and Control of Grapholita molesta(Lepidoptera:Tortricidae) and Adoxophyes orana(Lepidoptera:Tortricidae) by Mating Disruption in Pear Orchards)

  • 조영식;송장훈;황해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9-144
    • /
    • 2010
  • 본 연구는 배 과원에서 과실과 신초 등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7년에 복숭아순나방은 4회의 발생 peak를 보였으나 처리에 따라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관행방제의 경우 4월 중 하순에 가장 많은 수가 포획되었고, 6월 중순, 8월 중순, 9월 상.중순에 각각 발생 peak를 보였으나 무방제구의 경우, 4월 발생량은 미미하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도 4회의 발생 peak를 보였다. 교미교란제 처리구에서는 예찰트랩으로 거의 포획되지 않았고, 무방제구와 관행방제구에서는 유사하게 포획되었다. 배 과원 나방류의 피해는 2006년의 경우,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에 대한 교미교란제 처리구와 관행방제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며, 특히 교미교란제처리구에 살충제 처리내용에 따라 8월의 피해엽율간에는 유의성이 달랐고,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와 수확한 과실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배 과원에 발생하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성페로몬 조성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al Variation in Sex Pheromone Composition of Adoxophyes spp. (Lepidoptera: Tortricidae) in Pear Orchards)

  • 양창열;전흥용;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1-36
    • /
    • 2005
  •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배의 주요 해충으로서 유충이 잎과 과실을 가해한다. Adoxophyes 속의 성페로몬은 4가지 성분(Z9-14:Ac, Z11-14:Ac, E11-14:Ac, 10me-12:Ac)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3개 지역(천안, 상주, 나주)의 배 과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개체군들 간에 성페로몬 조성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처녀 암컷의 성페로몬 샘에서 추출한 물질을 GC로 분석한 결과, 천안과 상주개체군에서는 2가지 성분(Z9-14:Ac와 Z11-14:Ac)이 검출된 반면, 나주 개체군의 경우에는 4가지 성분이 모두 검출되었다. 천안 개체군에서는 Z9-14:Ac와 Z11-14:Ac가 80 : 20의 비율로 검출되었으나 상주개체군에서는 3 :97의 비율로 검출되었다. 한편 나주 개체군의 경우에는 Z9-14:Ac, Z11-14:Ac, E11-14:Ac, 10me-12:Ac가 31:62:6:1의 비율로 검출되었다. 야외에서 Z9-14:Ac와 Z11-14:Ac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트랩에 유인된 수컷 수를 조사한 결과, 천안, 상주, 나주 지역의 배 과원에서 가장 효과적인 성분조성은 각각 80:20, 10:90, 30:70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배 과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페로몬 조성이 지역에 따라 상당한 변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개체군간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해충 종류 및 발생 양상 (Occurrence of Insect Pests in Rubus coreanus Miquel)

  • 임주락;최선우;김주희;이기권;정성수;류정;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7-103
    • /
    • 2010
  • 2006년에서 2008년까지 전북지역의 복분자딸기에서는 차응애, 박쥐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장미흰깍지벌레 등 5종의 해충이 주로 발생하였다.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차응애와 무궁화잎밤나방 발생소장 조사결과 차응애는 5월 중순 발생을 시작하여 6월 하순, 7월 중순, 8월 하순 3회 발생피크를 보였고, 발생밀도는 엽당 10마리 이상이었다. 무궁화잎밤나방은 6월 중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하순 발생피크를 보인 후 줄어들다가 10월 상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복분자딸기 수확 전에 발생하는 해충은 28종이었으며, 주요 해충은 차응애, 점박이응애, 대만총채벌레, 톱니무늬애매미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초록장님노린재, 검정배줄벼룩잎벌레 7종이었다. 수확 후에 발생하는 해충은 19종이었고, 주요 해충은 차응애, 박쥐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검정배줄벼룩잎벌레, 장미흰깍지벌레 6종이었다. 해충관리를 하지 않고 방치한 포장에서는 복분자딸기의 생육이 저하되고, 수량은 매년 7%정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농약으로 해충관리를 한 포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복숭아명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에 대한 환경조절열처리를 이용한 사과 수확 후 처리기술 (Post-harvest Treatment on the Peach Pyralid Moth and the Small Tea Tortrix Moth Infesting Apples Using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 홍유경;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7-23
    • /
    • 2015
  • 국내 사과를 외국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수입국의 검역 대상 해충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수확 후 해충 사멸 기술로서 환경조절열처리(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CATTS)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이한 가해 습성으로 사과 과실에 피해를 주는 두 해충에 대해 CATTS의 사멸조건을 결정하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paraorana)은 사과 과실 표면을 가해하는 해충인 반면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은 과실의 내부를 가해한다. 여러 가해 발육태 가운데 두 곤충 모두 5령 유충이 열에 대한 내성이 가장 높았다. 고농도(15%)의 이산화탄소, 저농도(1%) 산소 및 $46^{\circ}C$ 온도 조건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는 CATTS 처리조건은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5령 유충을 100% 사멸시켰다. 그러나 동일한 CATTS 조건에서 복숭아명나방 5령 유충은 88%의 사멸 효과를 보였으며, 100% 사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 시간의 열처리를 요구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과를 가해하고 있는 두 종의 5령 유충 3,000 마리 이상에 대해서 각각 CATTS 처리 효과를 확증하였다. 본 연구는 완전 사멸을 위해서는 심식충이 비심식충에 비해 장기간 CATTS 처리가 요구 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뽕나무 가해 잎말이나발 류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the Kinds of Leaf Rollers in Mulberry Trees)

  • Im, Dae-Joon;Paik, Hyun-Jun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5-58
    • /
    • 1982
  • 뽕나무를 가해하는 잎말이나방류의 종류와 우점종을 조사하기 위해 1979년부터 잠업시험장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1. 뽕나무 가해잎말이바방류는 뽕나무 해충으로 미기록종인 뽕나무애기잎말이나방(가칭, Olethreutes hemiplaca MEYRICK)과 Olethreutes doubledayana BARRET을 포함 7종이 조사되었다. 2. 우리나라에서 우점종은 Olethreutes hemiplaca MEYRICK였으며 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F.&R.)이 그 다음이였다.

  • PDF

남부지방에서 잎말이나방아과 3종의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of Three Tortricinae Moths in Southern Korea)

  • 김준헌;장신애;이흥수;변봉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5-299
    • /
    • 2014
  • 경남 창원($35^{\circ}$09'18.16"N $128^{\circ}$34'43.63"E)의 단감 과수원에서 2012년과 2013년에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잎말이나방류 3종의 발생 소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과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은 년 4회 발생하였고, 꼬마홀쭉잎말이나방(Neocalyptis angustilineata)은 년 3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 발생 최성기는 제1세대가 5월 중순, 제2세대가 7월 상중순, 제3세대가 7월 하순-8월 상순, 제4세대가 9월 중하순으로 나타났다. 차잎말이나방의 세대별 발생 최성기는 제1세대가 5월 중하순, 제2세대가 7월 중순, 제3세대가 8월 하순-9월 상순, 제4세대가 9월 하순-10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꼬마홀쭉잎말이나방은 제1세대가 5월 하순-6월 상순, 제2세대가 7월 하순, 제3세대가 9월 상중순으로 나타났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 페로몬 합성과 생물활성 시험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Test of the Sex Pheromone of the Summer Fruit Tortrix Moth)

  • 강석구;안상순;김정한;이정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5-70
    • /
    • 1988
  •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 유인물질 (Z)-9-인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와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합성하여 생물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1,8-옥탄디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8-브로모옥탄-1-올 THP 에테르를 1-헥신의 리튬음이온과 알킬화시켜 9-테트라데신-1-올 THP 에테르를 얻었다. 이를 Pb/BaSO4 촉매하에서 수소환원시킨 후 PPTS로 보호기를 제거하여 (Z)-9-테트라데센-1-올을 얻었으며 이를 아세틸화시켜 (Z)-9-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를 합성하였다. 한편 1,10-데칸디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10-브로모데칸-1-올 THP 에테르를 아세틸렌나트륨음이온과 알킬화시켜 11-도데신-1-올 THP 에테르를 얻는다. 이를 다시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리튬음이온을 브로모에탄과 반응시켜 11-테트라데신-1-올 THP 에테르를 형성시켰다. 이를 Pd/BaS$O_4$ 하에서 수소환원, 보호기제거 후 (Z)-11-테트라데신-1-올을 거쳐, 아세틸화시켜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 (2)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성 페로몬에 대한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숫컷의 성 유인력을 시험해본 결과 활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