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출공정

Search Result 46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inite Element Analysis of Nonisothermal Flows in Single-Screw Extruders (싱글-스크류 압출공정에서의 비등온 유동의 유한요소 해석)

  • 권태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1
    • /
    • pp.56-67
    • /
    • 1991
  • 압출공정에서 발생하는 전달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싱글-스크류 압출기에서의 비 뉴톤성 유체의 비등온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위한 유한요서법(FEM)을 개발하였다. FEM 은 준-3차원 물리적 모델을 기본으로 하였고 온도분포해석을 위하여 전진방법을 도입하였 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수치해석적 모델과 더 간단한 준-2차원 모델을 온도분포의 예측에 관하여 초점을 맞추어서 비교 하였다. 압출기의 내부채넬에서 순환유동이 온도분포에 미치 는 영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순환유동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한 요소식에서 순환 과 관련된 대류항을 빼도록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개조 하였고 개발된 원래의 프로그램과 개 조된 프로그램의 해석을 수행한후 해석결과 중에서 특히 온도분포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비 교하였다. 이로부터 간단한 준-2차원 모델은 순환효과를 무시했기 때문에 속도분포의 예측 에서는 별문제가 없으나 온도분포의 예측에 있어서는 크게 잘못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 PDF

압출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 한수영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7
    • /
    • pp.126-134
    • /
    • 1993
  • 지난호(93. 10월호) 압출코팅 특집에서 기계장치 및 가공기술, PE수지의 시장동향과 제조공정 등을 살펴본데 이어 이번호에서는 압출코팅용 수지의 물성과 가공특성, 응용범위 등 몇 개 회사의 구체적인 제품 소개를 싣는다. 제품에 따라 장점만을 일방적으로 나열하고 있거나 내용의 중복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압출코팅 수지의 여러 물성과 제조방법, 가공특성 등의 객관적 서술이 병행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료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좀더 많은 회사의

  • PDF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Polypropylene Split Yarn and Tensile Property of Its Woven Fabric (폴리프로필렌 스플리트사의 제조와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제직포의 인장특성 평가)

  • 박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6-129
    • /
    • 2003
  • 폴리프로필렌(PP) 필름사는 크게 스플리트사(split yam)는 슬리트사(slit yarn)로 구분된다. 이러한 PP 필름사의 제조공정은 필름압출와 연신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도로 연신되고 가공되기 때문에 전형적인 멀티필라멘트사 제조공정과 비교하여 압출공정이 간단하고 소규모로도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1-3]. 스플리트사는 슬리트사 제조공정에서 연신과정에 새로이 해섬장치를 부착하여 기계적으로 슬리트된 필름사를 일정한 기하학적 구조로 미세화하여 제조한다[2]. (중략)

  • PDF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fabricating sheet of Magnesium based Alloy (AZ3l) (마그네슘 합금(AZ31) 판재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 연구)

  • 송재완;김창원;한정환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5-25
    • /
    • 2003
  • 마그네슘 합금은 결정구조가 HCP구조로 슬립면이 제한되어있어 상온에서의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 마그네슘 합금의 미세 조직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 재료 및 기능성 재료로 기대되는 마그네슘 합금(AZ3l)을 이용하여 주조로부터 압출·압연 과정으로의 연속적인 판재 성형공정을 실행하였다. 모든 공정에 대한 전형적인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공정에서 재료의 인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공정 후에 향상된 기계적 특성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도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공정에서의 대표적인 미세 조직을 관찰하여 결정립 미세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주조재, 압출판재, 압연판재의 인장강도는 189.3㎫, 257.9㎫ 그리고 234.㎫로 증가하였다가 다소 감소하지만, 연신율은 상대적으로 16.26%, 24.99% 그리고 27.16%의 50%에 가까운 주목할만한 증가를 나타낸다. 인장실험의 실험결과로부터 얻어진 가공경화지수로부터 대상 재료인 마그네슘 합금(AZ3l)에 대하여 DRX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압출후 압연 판재의 경우 연한 재결정 조직으로 인하여 연신율의 대폭적인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ide-Extrusion and Conform (압출공정변수에 따른 측방압출과 연속압출의 비교해석)

  • 김영호;김강수;곽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139-143
    • /
    • 1996
  • The theoretical study of deformation behavior for continous extrusion process (CONFORM) is shown in this paper. The extrusion process i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route, side extrusion, considering extrusion ratios, flash gaps and coefficients of friction. In each case the distribution of strain and strain rate is predicted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this study simplifying assumptions on the deformation geometry are made to investigate the plastic flow occuring in the area of deformation of the Conform process.

  • PDF

Development of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of aluminum extrusion die using sputtering deposition technology (스퍼터링 증착 기술을 통한 알루미늄 압출용 금형의 표면처리 기술 개발)

  • Choe, In-Gyu;Lee, Su-Yeong;Kim, Si-Myeong;Kim,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283-284
    • /
    • 2014
  • 알루미늄 압출은 오랜 기간 산업화가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자동차 및 항공기의 경량화 관련하여 고력 알루미늄 압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력 알루미늄의 압출을 위한 압출 공정기술과 금형 표면처리기술이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염욕 질화 샘플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퍼터링 증착 기술이 적용된 샘플간의 마모시험을 통한 마찰 계수를 비교하였다.

  • PDF

압출로 제작한 알루미늄 진공용기의 기체방출 측정

  • Park, Jong-Do;Hong, Man-Su;Na, Dong-Hyeon;Ha,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121.2-121.2
    • /
    • 2013
  • 제3세대 방사광 가속기의 저장링에 사용하는 알루미늄합금 진공용기를 압출방법으로 제작하여 시험하였다. 기체방출률과 표면거칠기를 줄일 목적으로 압출 시 분위기 기체를 제어하거나 압출 후 내표면 처리를 하였다. 몇 가지 제작 공정을 마친 후 수행한 진공시험의 결과를 진공도, 기체방출률, 표면조도로 비교하여 보고한다.

  • PDF

Effect of Screw Configurations and Process Parameters on Characteristics of Wheat Bran Extrudates (스크류 조합과 공정변수 조절에 따른 밀기울 압출물의 특성)

  • Kim, Chong-Tai;Hwang, Jae-Kwan;Cho, Sung-Ja;Kim, Chul-Jin;Kim, Hae-S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1
    • /
    • pp.169-178
    • /
    • 1996
  • Target parameters such as water solubility index (WSI), intrinsic viscosity (IV), water holding capacity (WHC), oil holding capacity (OHC), soluble dietary fiber (SDF) and microstructure were investigated on three different screw configurations during twin-screw extrusion of wheat bran. WSI of raw wheat bran (RWB) was 13.7%, while that of extrudates ranged $16.3{\sim}23.2%$ when extruded using screw configurations with 5 reverse screw elements (RSE). It was found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RWB greatly affected WSI of extrudates. IV of wheat bran extrudates increased from 10.6 ml/g of RWB to $37.86{\sim}44.37\;ml/g$ of extrudates extruded using 3, 4 and 5 RSE, whose trend was highly related to the moisture content of RWB and the extrusion pressure. Multiplication of IV and soluble solid (SS) content exhibited good correlation $(R^2=0.85)$ with specific mechanical energy (SME). The results suggested that SS and molecular size are an important factor governed by the SME in solubilization of wheat bran. WHC increased with increasing feed rate and moisture content, while OHC decreased. SDF increased from 2.68% of RWB to $4.32{\sim}6.48%$ of extruded wheat bran, indicating the significant breakdown of cell wall components. Microstructure of the extrudates showed the distinct patterns of degradation and solubilization of cell wall structure,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ent of RWB.

  • PDF

Extraction Yield of Extruded Ginseng and Granulation of Its Extracts by Cold Extrusion-Spheronization (압출성형 수삼의 추출수율과 추출물의 저온압출 구형과립화)

  • ;J.P. Rem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3 no.5
    • /
    • pp.899-904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e experiment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extrusion process variables on the yield of extruded ginseng extract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tio of extruded ginseng extract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on characteristics of spheronized granules by cold extrusion-spheronization process. Extrusion process variables observed were feed moisture (15, 22, 29%), die temperature (90 110 13$0^{\circ}C$) and screw speed (150 200, 250 rpm). The results showed that moisture content of dried ginseng significantly affected extraction yield (P<0.05). The less moisture content of the feed resulted in the higher yield of the extract. Moisture content of 15%, screw speed of 250 rpm and die temperature of 13$0^{\circ}C$ gave the highest yield of ginseng extract. Mean extraction yield of extruded ginseng using hot water extraction was greatly improved by extrusion process The extract yield of extruded ginseng was 43.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red ginseng (38.3%) and white ginseng (29.0%) produced by traditional process. It was possible to make from the mixture of microcrystalline cellulose (200 g) mix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200 mL solution (0, 5, 20, 30 40 50 60% of ginseng extract with 59.2% dry solid) by using cold extrusion spheroniz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ginseng extract Increased, the granulation yield was improved but friability and compression index were reduced. Ginseng extract such as saponin was completely released from spheronized granules in distilled water within 10 min. It can be concluded that spheroniged granule with ginseng extract could be packed in gelatin capsule since granules Possessed proper physical properties and quick release of sapon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