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압력강하

검색결과 829건 처리시간 0.035초

선박용 SCR 시스템에서 스월형 혼합기의 날개 각도가 유동혼합 및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ne Angle of Swirl Type Mixer on Flow Mixing and Pressure Drop in Marin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s)

  • 박태화;성연모;김태경;최철용;김덕줄;최경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443-448
    • /
    • 2015
  • 선박용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혼합영역에서 유동혼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스월형 혼합기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월형 혼합기와 각단의 날개 각도가 조절 가능한 다단 스월형 혼합기가 고려되었다. 두 스월형 혼합기의 최적 날개 각도를 도출하기 위해 날개 각도가 균일지수 및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스월형 혼합기에서는 혼합기의 날개 각도를 $10^{\circ}$ 에서 $80^{\circ}$ 까지 변화시킬 때, 최적의 유동혼합 성능은 베인 각도 $30^{\circ}$에서 $60^{\circ}$ 범위에서 나타났으나, 압력강하는 베인 각도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다단 스월형 혼합기에서는 각 단의 날개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압력강하를 낮추면서도 높은 혼합성능의 유지가 가능함을 보였다.

수평평활 세관 내에서의 R-290, R-600a, R-22의 응축열전달과 압력강하 특성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Pressure Drop of R-290, R-600a, and R-22 in Horizontal Smooth Pipes with a Small Diameter)

  • 노건상;손창효
    • 청정기술
    • /
    • 제14권1호
    • /
    • pp.53-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내경이 각각 5.80 mm와 10.07 mm인 두 개의 수평 이중관열교환기 내에서의 탄화수소계 냉매의 응축열전달과 압력강하에 대한 실험을 $35.5{\sim}210.4\;kg/m^2\;s$의 질량유속과 응축온도인 $40^{\circ}C$에서 수행하였다.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응축열전달계수가 프레온계 냉매인 R-22보다 높았다. 응축압력강하는 R-600a > R-290 > R-22 순으로 나타났고, 내경이 5.8 mm인 관 내 보다 10.07 mm인 관 내의 압력강하가 R-600a에서는 $6{\sim}15%$ 정도 높았으며, R-290과 R-22에서는 각각 $9.8{\sim}12.5%$$2.1{\sim}4.6%$ 정도 높게 나타났다. 실험으로 구한 응축열전달계수와 종래의 상관관계식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관경에 대해 Haraguchi 등의 상관관계식과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 PDF

이단유로 축전식 탈염공정의 하수고도처리 적용가능성 평가 (Feasibility Study on Double Path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 차재환;신경숙;이정철;박승국;박남수;송의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5-302
    • /
    • 2014
  • 본 연구는 물 재이용을 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으로서 이단유로 축전식 탈염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축전식 탈염장치는 전극이 병렬식으로 단순 적층되어 있는 반면에 이단유로 축전식 탈염장치는 분리판에 의해 모듈이 2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1단과 2단이 수리학적 직렬연결이 되도록 고안되었다. 동일한 유입조건에서 전산유체역학 분석결과 이단유로 모듈이 단일유로 모듈에 비해 스페이서에서 보다 균등하고 빠른 유속분포를 보였고, 사영역도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하지만 입구와 출구 간 압력강하는 단일유로 모듈이 0.4 bar인 반면 이단유로 모듈은 0.7 bar로 높게 나타났다. NaCl용액을 원수로 사용한 단위셀 테스트 결과, 단일유로와 이단유로의 최대 탈염효율은 유입유량 10 mL/min/cell pair에서 각각 88%, 91%이었다. 유량증가에 따른 단위셀 압력강하의 증가는 이단유로가 단일유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입유량 70 mL/min/cell pair에서 이단유로의 압력강하는 1.67 bar로 단일유로의 압력강하보다 2배 높게 나타났다. 이단유로의 압력강하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전극 간 간격을 100에서 $200{\mu}m$으로 늘린 결과, 탈염효율은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압력강하는 최대 0.87 bar로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 Proto-type 축전식 탈염장치에 하수처리수를 주입하여 연속 운전한 결과, TDS 제거효율은 평균 78%로 나타났으며, 특정이온의 경우, $NH_4{^+}$-N, $NO_3{^-}$-N 및 $PO_4{^{3-}}$-P 제거효율이 각각 50%, 93% 및 50%로 나타나 질소제거 관점에서 CDI기술의 하수고도처리공정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벨 마우스 흡입구 보호망에 의한 전압력 손실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Total Pressure Loss by Bell Mouth Inlet Screen)

  • 이창욱;최성만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9-35
    • /
    • 2021
  • 벨 마우스 흡입구는 압력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한 유량 계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벨 마우스 흡입구의 벨 형태를 Long radius 형상으로 설계하였고 야외 환경에서 엔진 운용조건에 대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강하가 발생되는 동시에 외부 물질에 의한 엔진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적합한 보호망의 격자 사이즈를 선정하였다. 보호망 설치로 인한 전압력 손실에 대해 전산 해석 및 실험 결과 획득한 두 가지 데이터 로부터 수정된 압력 강하 계수 방정식을 제시할 수 있었다.

설계인자 분석을 통한 Aftermarket용 자동차 머플러의 성능개선 (Design Parameter Study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Aftermarket Automotive Muffler)

  • 이성원;최두석;박성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39-142
    • /
    • 2009
  • 본 논문은 1500cc 가솔린 엔진의 aftermarket 머플러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Aftermarket 머플러의 압력강하량과 소음레벨을 유동해석과 소음해석을 분석하여 제안모델들을 선정하였다. 제안모델들은 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aftermarket 머플러 대비 우수한 아이들 소음특성과 압력강하량 저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압력강하량의 감소는 엔진의 최대출력을 증대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머플러의 각종 설계인자 분석 및 실험을 통하여 aftermarket 머플러의 신규 개선 사양을 제안하였다.

  • PDF

평판 Fin-tube 배열을 갖는 히트파이프 히트싱크의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에 대한 대류 열전달 및 압력 강하 연구 (Study on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for the Air flow Through a Plate Fin Tube Radiator of a Heat Pipe Heat Sink)

  • 이수영;홍성은;강환국;김성훈;김철주
    • 에너지공학
    • /
    • 제9권3호
    • /
    • pp.212-220
    • /
    • 2000
  • 히트파이프 히트싱크의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에 대한 열전달 및 유동 압력 강하를 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라디에이터는 평판 휜-관 구조이며, 평판휜에 4개의 히트파이프가 유동 방향으로 정격 배열 되어있다. 입구 공기 속도 2.5~4m/s에 대해 열전달 성능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히트파이프의 단위 길이당 열속이 583.3W/m, 입구 공기 속도가 3m/s일때 총합 대류 열전달계수값은 약 32W/$m^2$K, 압력 강하는 8mmAq이었다. 전체속도범위에서 실험결과와 수치 해석 결과 사이에는 약 5%의 미만의 일치를 보였다.

  • PDF

Expanded bed에서 레이놀즈수와 직경입자비에 따른 압력강하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PRESSURE DROP IN EXPANDED BED ACCORDING TO TUBE-TO-PARTICLE RATIOS AND REYNOLDS NUMBERS)

  • 배세욱;성형건;노태성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2-65
    • /
    • 2011
  •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drop in an expanded bed have been compared to those in a packed bed for numerical study of the interphase drag in gas-particle flow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pressure drop by the particle drag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tube-to-particle diameter ratios and Reynolds numbers for comparison. As the tube-to-particle diameter ratios increase at the same Reynolds number, the pressure drop tends to conver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drop in the expanded bed are similar to those in the packed bed.

나선형 사각덕트 내의 압력강하 (Pressure Drop in a Helical Square Duct)

  • 유승엽;윤주현;이두정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398-403
    • /
    • 2001
  • Pressure drop at a helical square duct orifice is numerically evaluated. The orific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once-through steam generator tube to suppress flow instabilities. The calc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available experimental correlations, and showed good agreement. Effects of curvature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flow with Reynolds number are reported. Through the numerical simulations, pressure drop mechanisms were well understood inside the compact and complicated orifice geome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