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츠하이머형 치매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노인 치매 환자의 통증 역치 및 통증 경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ain Threshold and Pain Experience i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방현철;박기창;김민혁;이영복;노현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2호
    • /
    • pp.140-146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매 군과 비치매 군의 통증 역치 및 통증 경험의 특성을 비교 하고자 한다. 방 법 2010년 강원 조기치매 검진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으로, 연구 대상은 지역사회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 8,302명이었다. 이 중,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C) 점수가 저하 된 1259명을 선별했고, 이중 365명이 한국형 치매 진단평가 도구(CERAD-K)를 이용한 정밀검진을 받았다. 검사 결과 및 전문의의 판단 하에 정상, 경도인지장애, 치매 군으로 진단 후, 최종 비치매 군 90명, 치매 군 57명이(경도-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분석되었다. 압통각계(Pressure algometer)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통증 역치를 측정했고, 자가보고식 검사인 Brief pain inventory(BPI)를 이용하여 통증 경험(통증 심도, 통증 방해도)을 조사했다. 집단 간 차이 분석은 Pearson Chi-Square와, 혼란변인(성별, 나이, 교육수준, GDS, 당뇨)을 보정한 ANCOVA검정을 시행했다. 결 과 인구학적 특성상 치매 환자 군에서 여성이 많고, 연령이 높고, 교육 연수가 낮았다. 통증 역치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BPI결과에서 비치매 군이 어깨 통증, 전체 통증 개수, '통상적 일'의 통증으로 인한 방해를 의미 있게 더 많이 호소했다(p<0.05). 그러나 두 군에서 통증 유병률 및 치료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치매 군은 비치매 군보다 통증을 더 적게 경험했다. 이는 치매 환자의 통증 역치는 보존되었으나, 내성이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를 뒷받침 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따라서, 치매 환자를 위한 적극적인 통증 사정 및 치료를 제안한다.

  • PDF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Apolipoprotein E 유전형에 따른 우울과 기억력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emory According to Apolipoprotein E Genotype in Elderly with Alzheimer's Dementia)

  • 김광재;노동희;한승협;차윤준;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77-486
    • /
    • 2020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Apolipoprotein E (ApoE) ɛ4의 유무와 치매수준에 따른 우울과 기억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가 0.5점에서 2점 사이인 65세 이상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임상치매척도, 노인용 서울언어학습검사, 레이 복합도형검사, 축약형 노인우울검사를 실시하였고 ApoE 유전자형은 구강상피세포를 채취하여 실시한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자료분석은 맨 휘트니 U 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ApoE ɛ4가 없는 경우에 CDR 1점과 2점에서 우울과 언어적 즉시회상 기억력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05), ApoE ɛ4를 보유한 경우에는 CDR 1점에서 우울과 언어적 즉시회상, 언어적 지연회상 기억력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우울과 언어적 즉시회상 기억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ApoE ɛ4를 보유한 경우에는 우울과 언어적 지연회상 기억력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중재로 시각적인 훈련보다 언어적 기억력훈련이 유용할 것이며 우울치료가 상호보완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상관련전위 P300 요소를 이용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탐지와 분석 (Alzheimer Disease detection and analysis using P300 componenet of ERP in Alzheimer type Dementia)

  • 박은혜;이영혁;임재환;김종우;황의완;김현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8-152
    • /
    • 2002
  •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lzheimers disease (AD)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ERP) of AD patients. We recorded ERP in an auditory oddball paradigm in mild AD (n=25), severe AD (n=12), age-matched normal aged controls (n=17), and young controls (n=7). The amplitude and latency of target P300 components were compared among 4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P300 measures and neuro psychological test (K-DRS) scores were evaluated by correlations. The latency of P300 was prolonged in AD and the effects were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dementia. The P300 amplitude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in AD. Theres no difference between normal aged group and you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300 component is specifically affected by Alzheimer type dementia.

  • PDF

알츠하이머병에서 행동심리증상과 간병인의 부양부담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and Caregiver Burden in Alzheimer's Disease)

  • 김요섭;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200-207
    • /
    • 2016
  • 연구목적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증상인 인지 기능의 저하 외에도 다양한 행동심리증상(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을 흔히 동반하며, 이는 간병인들로 하여금 부양 부담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치매 환자들과 그들의 간병인들을 대상으로 행동심리증상의 각 항목들과 간병인의 부양 부담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80명의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행동심리증상을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 K-NPI)를 통해서 평가하였고, 부양자들의 부양부담은 한국판 Zarit Burden Interview(ZB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K-NPI의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탈억제, 과민/불안정 빈도와 간병인 부양부담의 평가척도인 ZBI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K-NPI의 환각, 초조/공격성, 불안, 탈억제, 이상운동증상, 수면/야간행동의 심각도와 ZBI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K-NPI의 빈도${\times}$심각도 영역에서는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탈억제, 이상운동증상, 수면/야간행동과 ZBI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인지기능척도(MMSE-KC, CDR, GDS)와 ZBI 척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Barthel-ADL, K-ADL)과 ZBI 척도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BPSD와 간병인의 부양부담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병인의 부양부담은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과도 상관이 있었다. BPSD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하게 치료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삶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삶의 질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갑상선 관련 호르몬과 인지기능과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Thyroid-Related Hormones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박다윤;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1호
    • /
    • pp.60-68
    • /
    • 2019
  • 연구목적 갑상선관련 호르몬과 인지기능의 상관 유무는 논란이 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갑상선관련 호르몬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나아가 갑상선관련 호르몬 농도가 인지기능의 어떠한 영역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1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기억력 저하를 주소로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치매클리닉을 방문하여 알츠하이머병(NINCDS-ADRDA 진단기준)과 경도인지장애(Petersen 진단기준) 으로 진단된 10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이다. 갑상선관련 호르몬[삼요오드티로닌(Triiodothyronine, T3), 티록신(Thyroxine, T4),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의 측정은 화학발광면역측정법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알츠하이머병군과 경도인지장애군 간의 갑상선관련 호르몬의 평균치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갑상선관련 호르몬이 전반적 퇴화 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및 한국형 임상치매평가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의 각 항목 별 점수들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GDS-K)를 통제변수로하여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총 105명의 환자 중 알츠하이머병군은 74명, 경도인지장애군은 31명이었다. 알츠하이머병군과 경도인지장애군 간 혈청 T3, T4, TSH 농도의 평균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ERAD-K 항목 중 구성행동 검사(Construction praxis test, CPT)가 혈청 TSH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value=0.004). 결 론 본 연구에서 실행기능과 연관된 CPT가 혈청 TSH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인 것은 갑상선관련 호르몬과 치매의 병태생리와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향후 갑상선관련 호르몬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병태생리 기전에 관한 전향적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과 백질고강도신호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권지웅;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19-12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백질고강도신호 차이에 따른 신경인지 기능 및 행동심리증상(BPSD)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의 백질 고강도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는 표준화된 시각 기반 척도(Fazekas scales)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참가자들은 Fazekas 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신경인지기능은 임상치매평가척도(CERAD-K)에 의해, BPSD는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로 평가되었다. WMH의 심각도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BPSD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결 과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낮은 언어 유창성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높은 K-NPI 점수를 보였다(p<0.01). 결 론 WMH와 실행기능과 관련된 신경인지검사 간에는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또한 WMH는 BPSD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실제에서 WMH를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및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환자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CERAD-K의 단어목록기억검사를 통해 알아본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노년기 우울, 정상 집단의 계열위치효과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Serial Position Effect in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Elderly Depression, and in Normal Group: Using the CERAD-K's Word List Memory Test)

  • 박정란;이석범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0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differential variable and learning effect of the serial position effect, targeting individuals aged 60 years and over. A total of 89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groups: Alzheimer's group, vascular dementia group, elderly depression group, and normal group. Methods: Considering the size of the groups used for comparison, of the total 89 participants, 28 were in the Alzheimer's group, 24 in the vascular dementia group, 16 in the elderly depression group, and 21 were randomly chosen for the normal group. In the CERAD-K word list memory test, 10 words were shown to the subjects. We then asked them to freely recall the words. After changing the order of the words three times, the same process was followed. Result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word recalling rate. The analysis conducted afterward showed that, as predicted, the depress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recalling the words. Second, the vascular dementia patients and the Alzheimer's patients showed, as predicted, better recall of the largest recency region of words shown. Third, the normal group and the elderly depressed group showed a high-performance rate, proving that the reiterative method can contribute to the recalling process. Thus, we demonstrated that the Alzheimer's group showed the deterioration of short memory recalling skills and the elderly depressed showed deteriorated output performance skill.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에 대한 시간차회상훈련의 효과 (Spaced Retrieval Effects in Older Adul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 반선화;전성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8-40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paced retrieval train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having an mild alzheimer's disease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ir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across training session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local community: 14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12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spaced retrieval training over 4 weeks, with seven times a week and 1 hour a session base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 2011 to July 17, 2011.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t-test using the SPSS/WIN 19.0 program. Results: After spaced retrieval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cores for memory (t=12.40, p<.001) and cognitive function (t=7.69, p<.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paced retrieval train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of patients having mild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spaced retrieval training could be benefit the mild alzheimer's disease.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의 효능 -청각 ERP 및 K-DRS의 성적 변화를 통하여- (The effects on Jowiseungchungtang of patients with early DAT using auditory ERP and K-DRS)

  • 김보균;김종우;김현택;정경천;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3-59
    • /
    • 2003
  • Object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otective effects of Jowiseungchungtang on cognitive decline of the patients with early DAT[Dementia of Alzheimer Type]. Method : 15 patients with early DAT and 10 healthy elderly subjects were measured by using auditory ERP and K-DRS, and after 9 months again. During 9 months the patients with early DAT were administered with Jowiseungchungtang. Result : 1. The score of K-DRS increased in two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2. The latency of ERP P300 component increased in 2nd test of the normal group, but did not increase in 2nd test of patients group. 3. The amplitude of ERP P300 compone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lectrode location in patients group, but it did not show any typical property.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Jowiseungchungtang may have protective effects on cognitive decline in the patients with early DAT.

  • PDF

초기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에 대한 건뇌탕(健腦湯)의 효능 -12 개월 임상 연구- (The Effects on Kunneotang of Patients with Early Dementia of Alzheimer Type -12 Months Clinical Study-)

  • 엄효진;김종우;박은혜;김현택;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66
    • /
    • 2005
  • Object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 the protective effects of Kunneo tang on cognitive decline of the patients with early DAT. Method : Before administered with Kunneotang, 16 patients with early DAT were measured by auditory ERP, MMSE-K and K-DRS. During 12 months the patients with early DAT were administered with Kunneotang. After 12months the patients were measured by the same examinations again. Result : 1. The total score of MMSE-K de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2. The total score of K-DRS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five criteria(attention, memory, initiation/perseveration, construction, conceptualization), Initiation/perseveration score signifcantly decreas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scores. But, memory mean sco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3. The latency of ERP P300 component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and the amplitude of ERP P300 compone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Kunneotang may have protective effects on cognitive decline in the patients with early D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