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루미늄 판재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초

알루미늄 폐캔을 이용한 2차지금의 미세조직 및 집합조직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n the Microstructure and Texture of the Secondary Ingots made by Al Used Beverage Cans)

  • 박차용;고흥석;강석봉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2호
    • /
    • pp.46-52
    • /
    • 2000
  • 사용한 알루미늄 캔을 다시 캔으로 재활용 하는 단계는 폐캔의 수집, 폐쇄, 선별, 도료제거, 용해 및 2차지금을 제작하는 단계와 이 2차지금을 이용하여 열처리, 열간 및 냉간압연, 중간소둔처리 등을 거쳐 다시 캔을 성형하는 단계로 나눌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지금에서 켄성형까지의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인 미세조직 및 열간압연후의 집합조직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폐캔을 이용하여 다시 캔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가공에서는 주조시 형성된 공석상들의 구형화와 $\alpha$상 ($Al_{12}(Fe, Mn)_3Si)$)으로의 상변화 제어가 필요한데, 열처리에 의한 석출거동을 조사하여 $615^{\circ}C$, 5시간 균질화 처리조건에서 최적의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2차자금을 이용하여 캔소재를 제조한 결과, Mn량이 증가할수록 고용효과에 의해 전기전도도는 감소하고 집합조직의 발달이 억제되었다. Si 과 Fe는 금속간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함량이 증가할수록 석출효과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증가하고 변형집합조직의 발달이 촉진되었다. 캔은 냉간압연후 다른처리 없이 바로 제조되기 때문에 집합조직의 제어는 열간압연 및 소둔처리 단계에서 제어되어야 한다.

  • PDF

혼합 등방-이동 경화규칙에 기초한 자동차용 알루미늄합금 및 Dual-Phase 강 판재의 스프링백 예측 (Spring-back Evaluation of Automotive Sheets Based on Combined Isotropic-Kinematic Hardening Rule)

  • 이명규;김대용;정관수
    • 소성∙가공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용 판재 성형시 발생하는 스프링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수정된Chaboche형에 기초한 혼합형 등방-이동경화규칙이 개발되었다. 또한 판재의 이방성을 위하여 최근 개발된 Barlat의 YId2000-24 비이차 비이방성 항복 함수가 이용되었다. 단순인장실험과 인장/압축(압축/인장) 실험에 의하여 Bauschinger 및 transient 거동과 비이방성이 측정되었으며,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구성방정식의 검증을 위해 실제 자동차 부품을 부분 변형시킨 double S-rail이 제작되었다. 수정된 Chaboche 형 조성방정식과 비등방 항복함수를 적용한 유한요소에 의한 수치해석의 결과는 굽힘에 의한 스프링백과 비틀림에 있어서 실험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마찰 교반 점용접 시 툴 속도가 접합특성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e Tool Speed on Weld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during Friction Stir Spot Welding of Mg-alloy Sheets)

  • 정윤철;박성수;신형섭;최광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64-64
    • /
    • 2010
  • 최근 그린 친환경, 지구온난화방지와 환경 부하물질저감, 기기 고효율화, 연비향상 등의 관점에서 항공기, 자동차 등 운송기계와 휴대용 전자제품 등 경량화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경량합금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경량합금 중 가장 가벼운 마그네슘 합금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금속재료이다. 그러나 마그네슘합금은 알루미늄합금과는 달리 상온 성형성 및 접합성이 양호하지 않은 관계로 판재를 이용한 구조부품의 제작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마그네슘합금 판재의 마찰 교반 점용접을 시도하였다. CNC 밀링머신을 사용하여 프로브의 회전 및 삽입 속도에 변화를 주어 접합 특성을 평가하였고, 각 변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외선 열화상기와 로드셀을 사용하여 마찰 교반 점용접 중에 발생하는 교반부 온도와 접합부에 가해지는 수직부가하중의 거동을 측정하였다. 마찰 교반 점용접 후, 시험편의 접합 상태와 접합부 단면 관찰을 통해 접합 상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장전단 실험을 실시하여 마찰 교반 점용접된 시혐편의 접합강도를 평가하였고, 파단된 시험편의 파면을 관찰하였다.

  • PDF

열간압연의 트라이볼로지

  • 김철희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2권3호
    • /
    • pp.1-5
    • /
    • 1996
  • 열간윤활압연은 판재의 소성압연가공시 롤바이트에 윤활을 행함으로써 롤과 판재사이의 과도한 마찰을 감소시키는 등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로 강판의 열간윤활압연은 냉간압연과 알루미늄의 열간윤활압연에 비해 적용히 상당히 늦었다. 이 이유로서 강판의 열간 윤활압연 기술은 냉간압연에서와는 달리 롤냉각기술의 진보 혹은 내구성롤의 개발로 열간압연윤활제를 사용하지 않고 냉각수반으로 압연을 행한다 하더라도 비교적 충분한 조업성적을 얻을 수 있었던 것도 열간윤활압연의 기본적 연구의 필요성을 감소시켰다 할 수 있다. 그 후 압연동력 및 마모의 절감을 목적으로 시작된 열간윤활압연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선진 제철소에 적용되고 있으며, 초기에 FM(Finishing Mill) 스탠드에만 주로 적용되던 열간윤활압연은 상위공정인 RM(Roughing Mill)스탠드에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 HSS롤의 본격사용 등으로 인해 열간압연의 트라이볼로지 상황은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신연속열간 압연기술(연연속 압연), 고윤활압연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강판의 열간윤활압연에 대한 제문제를 정리 하고 향후 개발과제를 전망해 본다.

Al6061 판재성형에서 핫 포밍 ��칭의 성형성 및 기계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Formabilit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 for Hot Forming Quenching in Sheet Forming of Al6061 Alloy)

  • 고대훈;김재홍;이찬주;고대철;김병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4호
    • /
    • pp.483-490
    • /
    • 2013
  • 알루미늄 소재의 냉간 판재성형에서는 낮은 성형성과 성형 후 과도한 스프링백에 의한 치수정밀도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제조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제조공법인 Hot forming quenching(HFQ)을 제시하고자 한다. HFQ 은 용체화처리 온도로 가열된 알루미늄 판재를 열간성형하고, 다이 내에 설치된 냉각채널에 의해 ��칭하여 열간성형과 열처리를 동시에 함으로써 성형성 향상, 스프링백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냉간성형 대비 HFQ 의 성형성 향상효과를 에릭슨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스프링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V-beding 시험에 HFQ 를 적용하여 굽힘 성형된 제품의 치수정밀도를 기존의 냉간성형과 비교하였다. 또한 강도 및 경도를 측정하여 기존 냉간 성형에 의한 값들과 비교함으로써 알루미늄 제품 성형에 HFQ 을 적용하기 위한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판재 성형공정의 스프링백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pringback Reduction in Aluminium Sheet Forming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양재봉;전병희;오수익
    • 소성∙가공
    • /
    • 제9권5호
    • /
    • pp.526-532
    • /
    • 2000
  • Springback simulation is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throughout the automotive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ld. The knowledge of the real springback of stamped parts can help the stamping technicians to modify the process parameters or die geometry in order to reduce the shape defect.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springback simulation after aluminium square cup deep drawing and trimming simulation, and results of springback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PDF

차체 외판 부품의 덴트 특성 향상을 위한 알루미늄 판재의 성형조건에 관한 연구 (Forming Condition for Automotive Body Outer Panel using Aluminum Alloy Sheet for Improved Dent Resistance)

  • 고세진;김태정;김익수
    • 소성∙가공
    • /
    • 제20권6호
    • /
    • pp.420-426
    • /
    • 2011
  • Dent resistance is determined by both shape characteristics, i.e., local radius of curvature and sheet thickness, and material properties such as yield strength. This work presents results of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 hardening and bake hardening on dent resistance of aluminum alloy sheet parts by considering the forming condition and baking temperature.

알루미늄 판재에서 두께층에 따른 변형율 상태와 집합조직의 발달에 미치는 다양한 공정의 영향 (Effect of various processes on the evolution of through thickness strain states and textures in aluminum sheets)

  • 나정준;강형구;허무영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0
    • /
    • 2007
  • The evolution of texture and microstructure was tracked for a number of differently cold rolled aluminum sheet and through-thickness layers which were differentiated by different strain states upon preceding deformation. The results substantiate a correlation of deformation texture with the amount of shear applied during cold rol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