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성 실험

Search Result 3,108,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 Analysis of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Warrant to Transform Y-Type Intersection into Roundabout (Y형 교차로의 회전교차로 변형에 따른 적용효과 분석 및 설치준거 연구)

  • Shim, Kywan-Bho;Lim, Pyong-Nam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4
    • /
    • pp.105-116
    • /
    • 2007
  • A ROUNDABOUT is more effective way to improve safety and prevent delays than signal intersection. ROUNDABOUT has been known highly safe treatment that could be used as a method to reduce conflicts between vehicles, to reduce travel speed in inner or approach of intersection, and to have no speed difference between drivers than interse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ive analysis on the installation of ROUNDABOUT was carried out using computer-based simulation tool VISSIM,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and safety of ROUNDABOUT and develope a warr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remarkable increase of Y-intersection capacity and decrese of delay, and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Finally, A nice feature of this study is to firstly attempt to use microscopic simulato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ROUNDABOUT and suggest a passible operation boundary.

  • PDF

A Hydrogen Sensor Experiment on the Ventilation Performance of a Cavity upon Hydrogen Leakage and Its CFD Simulation (수소 센서를 이용한 밀폐공간의 수소 누출 시 환기성능에 대한 실험 및 CFD 시뮬레이션)

  • Kim, Young-Doo;Shin, Dong-Hoon;Chung, Tae-Yong;Nam, Jin-Hyun;Kim, Yo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9-62
    • /
    • 2007
  • 연료전지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으로 운전 중 수소 누출과 폭발의 위험성을 항상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서 수소 누출 시 유e동 특성으로 인한 특정 부근 농도 정체와 환기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험 장치와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챔버 내 수소의 유통 특성과 환기구에 따른 환기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수소의 누출 속도와 양에 따라 유동장의 형태는 크게 변하였으며 환기구의 위치와 크기는 특정 부근의 농도정체와 챔버 내 전체적인 수소 농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예측 결과를 실제 실험 모델과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차후 가정용 연료전지 모듈의 환기구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석탄회를 통과하는 방사성핵종의 이동기구

  • 신진성;이재민;황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845-852
    • /
    • 1995
  •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시에는 원자력발전소와 유사한 안전개념들 도입하여 다중방벽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중방벽중에서 뒷채움재는 처분안전성 망상의 주도적 역할을 하는 요소로서 지하수 침투방지, 방사성핵종 이동저지능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석탄회를 뒷채움재의 부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설계에 적용할 때 안전성과 경제성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인구에서는 석탄회의 핵종에 대한 흡착능의 관점에서 석탄회의 이용가능성들 평가하였다. 또한 Column 실험을 통하여 표면확산과 공극확산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석탄회를 통과하는 방사성핵종의 이동기구를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Function of the Delineation System by Pattern for Safety Audit on Road Exit Ramp (국도유출부 안전진단을 위한 시선유도시설의 유형별 기능검토)

  • Kum, Ki-Jung;Kim, Hong-Sang;Min, Kyeong-Tae;Yang, Gye-S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4 s.30
    • /
    • pp.1-11
    • /
    • 2006
  • Currently, road mobility improved from the National Road Improvement. Nevertheless delineation system is facility that enhanced driver's safety, that was set up often inconsistent or nonexistent over the road exit ramp So it judged functional investigation will be necessary. This study suggested setting type of the delineation system. That was based on a field study and reviews the legal standard of it and considering driver's cognition behavior. For the study, make a 3D-simulation and so could objectively a comparative test. Comparison variable between delineation setting type is selected conspicuity and visibility. Cased that illustrated characteristics of driver's visual cognition behavior. The experiment was used Eye Marker Recorder for measure the gaze frequency more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And used the ANOVA analysis for significance testing between delineation setting type. A significant percent of the conspicuity analyzed types(Safe mark, Obstacle Sign, Warning Light, and Tubular Maker) in road exit ramp for recognize. And gaze frequency that measure of effectiveness of visibility are measur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visibility was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delineation setting type and visibility of types was best.

  • PDF

The Study of Energy-Efficient Insulation Continuity an Inorganic Insulation (무기 단열재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 지속성 단열재 연구)

  • Lee, Jae-Seong;Jeon, Chan-Ki;Kim, Ju-Ho;Park,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66-167
    • /
    • 2015
  • 단열재를 생산하는 회사에서는 대부분 유기단열재를 사용하고 있다. 커튼윌 시스템은 경제적이면서 성능이 우수하지만 불연성이지 않다. 따라서 근래에 안전사고가 많아지고 있어서 타지 않는 무기 단열재가 필요하다. 또한 안전과 단열효과 및 소비자가 요구하는 친환경적인 무기단열재가 필요하므로 불연성 무기단열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무기단열재의 문제인 흡수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가습기를 이용하여 흡수성 실험을 하였고 경량골재인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섞고 흡수방지제로 처리한 샘플과 그렇지 않은 샘플의 흡수율을 측정하여 에너지 효율 지속성 단열재의 기술연구를 목표로 한다.

  • PDF

일체형원자로 모듈형 증기발생기 자연대류 현상 파악 연구

  • 이상민;김재학;이상원;박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33-638
    • /
    • 1997
  • 중소형 일체형 원자로의 자연대류 실험 및 해석을 통해 일체형 원자로의 자연대류에 의한 잔열제거 기능의 특성 및 피동 안전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일체형 원자로 축소 실험장치를 이용한 자연대류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RETRAN-03와 COMMIX-1B 코드 해석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일부 증기발생기의 열제거 기능 상실이 발생한 경우에도 노심으로 유입되는 냉각재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하여 피동 잔열 제거가 원만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해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

Safety Evaluation of Radiating Element by Structural Test and Stress Analysis (구조 실험 및 응력 해석을 통한 복사 소자의 안전성 평가)

  • Kim, Jin-Yul;Kim, Dong-Seob;Park, Byung-Rak;Kim, Jin-Sung;Kim, Min-Sung;Park, Chan-Yik;Hwang, Woon-Bong
    • Composites Research
    • /
    • v.26 no.4
    • /
    • pp.259-264
    • /
    • 2013
  • This study manufactured the radiating element of multi-band antenna skin structure which satisfy electr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 and is made by double injection molding process. Structural test including impact and buckling test is carried out and stress analysis is simulated to evaluate safety of radiating element for the axial and shear loads, when changing of the skin structure is occurred by the external force. To predict allowable load of structure and evaluate safety on impact and buckling, experimental and analytic method is used in strength analysis of structure.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ew Vegetation Revetment Techniques Considering Safety against Flood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치수 안전성과 환경성을 고려한 새로운 식생호안 공법의 적용 및 평가)

  • Rhee, Dong-Sop;Ahn, Hong-Kyu;Woo, Hyo-Seop;Kwon, Bo-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2 s.175
    • /
    • pp.125-13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new vegetation revetment techniques. The applicability of revetments was confirmed with respect to flood safety as well as environmental consideration. The safety against flood was examined through an in situ experiment at Dong-moon Stream located in Paju and a laboratory experiment. The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of revetmen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results of a 2-year in situ monitoring. It was found that the revetmen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had a safety capability against floods and high vegetating capability. Application ranges of design factors were suggested for each revetment developed in this study.

A Study on Efficiency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Planter Box Based Rainfall-Runoff Property (강우-유출특성에 따른 식생여과장치의 효율성 검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Chang-Hee;Baek, Jong Suk;Joon, Jung Do;Seung, Joo Jae;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3-463
    • /
    • 2016
  • 최근 도시물순환 복원 및 치 이수효과 증대를 위해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이 수치모델을 활용한 설계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한 설계 시 최적의 매개변수 결정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형 LID 요소 중 하나인 식생여과장치(Planter Box)의 모형실험을 통해 프로그램 모의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모의를 수행한 후 모형실험 결과와 프로그램 모의 결과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식생여과장치의 설계 매개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식생여과장치의 모형실험을 위하여 가로 1.5m, 세로 1.5m, 높이 1.5m로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강우-유출수 실험 전 시료의 침투율, 함수비 등을 체크한 후 지속시간 1시간의 재현빈도 5년, 10년, 20년, 50년에 해당하는 강우강도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 나타난 자료는 SWMM 모형과 비교분석해 모형에 적용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으며, 재현빈도 5년, 10년, 20년의 경우 $R^2$ 값이 0.88~0.97로 실험 값과 모의 값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재현 빈도 50년의 경우 0.7835로 비교적 연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 PDF

The Privacy Safety of Public Data: A Case Study on Medical Statistics HIRA-NPS 2011 (공개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안전성: 진료정보 통계자료 HIRA-NPS 2011 사례 분석)

  • Kim, Soohyung;Chung, Yon Dohn;Lee, Ki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786-789
    • /
    • 2013
  •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가 많은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공개 데이터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배포에 앞서 항상 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배포되는 많은 데이터는 충분하지 못한 프라이버시 보호 과정을 거쳐 배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안전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배포한 2011년 진료정보 통계자료(HIRA-NPS)를 실험에 사용한다. 분석을 위해 기존에 널리 쓰이는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k-익명성(k-anonymity)과 l-다양성(l-diversity)을 차용하여 안전성 판단의 척도를 정의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에 이 척도를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안전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가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