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단

Search Result 98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신형원자로로서의 일체형 가압경수로 설계특성 분석

  • 김용완;이두정;장문희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2
    • /
    • pp.269-279
    • /
    • 1995
  • 가압경수로에서 증기발생기와 같은 주기기를 원자로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계한 원자로를 일체형 원자로라고 분류하며, 기존 상용원자로와 같이 모든 주기기가 별도의 압력용기로 설계되어 배관계통에 의해 원자로 외부에 순환회로를 갖는 형태의 원자로를 분리형원자로라고 한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한 부류의 신형원자로에서는 원자로 및 계통의 단순성 추구와 계통의 높은 신뢰성으로 안전성 향상을 위해 동력원 사용 등의 능동적 안전개념 보다는 자연현상을 이용하는 피동안전개념이 널리 도입되고 있다. 본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신형원자로의 노형으로서 일체형원자로의 특성을 전통적인 분리형원자로와 비교, 분석, 평가하였다. 일체형원자로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주기기가 단일 압력용기 내에 위치하므로 일차계통이 매우 단순하고 대구경 배관이 없기때문에 대형 냉각재 상실사고가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안전계통이 매우 단순하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일체형원자로는 대단히 많은 일차냉각재 용량, 매우 큰 가압기 용량및 긴 운전원 조치시간등의 설계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안전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일체형원자로는 모든 주기기가 단일 압력용기 내에 설치되므로 대형 원자로 용기가 요구되며, 원자로 압력용기의 제작성 및 운송 능력이 원자로의 용량을 제한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 일체형원자로의 활용으로 열병합 발전, 지역난방 및 선박용 원자로등의 중소형 원자로에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뛰어난 안전성으로 인하여 사회적 수용성 이 강조되는 상용발전로로서도 적합한 노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Satellite Image Situation Board Linkage and Display System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요구사항 조사 및 분석)

  • Sang Min Lee;Eun Jeong Kim;Mi Ra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7-4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요구사항정의서와 시스템규격서를 도출하였다. 먼저, 위성영상 상황판 연계·표출시스템의 요구사항 조사를 위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수요) 조사를 수행하였다. 상황실 실무자별 요구사항을 취합한 설문 결과와 연구 1차년에 수행했던 상황실 근무자 인터뷰 결과, RFP, 연구단 내부협의 결과를 검토하여 정보제공 측면 및 위성영상 활용 측면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 결과를 기반으로 시스템 요구사항을 정의한 결과, 시스템 기능은 54개의 기능과 9개의 비기능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시스템 구성요소별 요구기능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요구사항정의서를 작성하였다. 시스템 요구기능 분류는 사용자기능/관리자기능/사용자서비스/사용자인터페이스/시스템기능/시스템서비스 등으로 상세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단 협의를 통해 요구사항정의서를 기반의 시스템규격서를 작성하였다. 시스템규격서는 일반규격, 각 시스템별 성능규격, 인터페이스규격, 기능규격으로 구분하여 세부 정의하였다. 본 연구내용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설계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며, 향후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난안전 상황관리 대비/대응 체계 마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afety Leader - 박형락 한국서부발전(주) 태안건설본부 본부장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9
    • /
    • pp.16-17
    • /
    • 2014
  • 충청남도 북서 단에 위치한 태안군. 이곳에는 현재 큰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바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설비와 국내 최대 석탄 화력 발전기 2기가 동시에 건설되는 등 그야말로 에너지 클러스터로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박형락 한국서부발전(주) 태안건설본부 본부장은 무엇보다 안전을 경영의 중심에 두고 있다. 대규모 국가기반 시설 건설현장인 만큼 그 어떤 가치보다 안전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진 것이다. 본지는 박형락 본부장을 만나 안전경영 철학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 봤다.

  • PDF

열정! 건설현장 - 한국서부발전(주) 태안건설본부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201
    • /
    • pp.21-23
    • /
    • 2014
  • 충청남도 북서단에 위치한 태안군. 많은 이들은 아직도 이곳을 대규모 기름유출 사고가 난 장소로 기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인식은 조만간 불식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안에 38MW급 석탄가스화복합발전기(IGCC)와 1000MW급 석탄 화력발전기(2기)가 각각 2015년과 2016년에 준공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발전설비까지 포함하면 태안은 그야말로 국내 최대 에너지 클러스터로서 확고한 명성을 쌓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이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한국서부발전(주) 태안건설본부는 무엇보다 안전을 경영의 중심에 두고 있다. 대규모 국가기반시설 건설현장인 만큼 그 어떤 가치보다 안전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태안건설본부에서 어떤 안전관리를 전개하고 있는지 찾아가 봤다.

  • PDF

안전현장 스케치 - 대영테크(주)

  • Park, Byeong-Ta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202
    • /
    • pp.26-28
    • /
    • 2014
  • 현대제철의 협력사인 대영테크에서는 철강석을 녹인 쇳물을 조형틀에 붓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한번에 300톤 가까운 쇳물이 래들에 담기면 대차를 이용해 이를 조형틀에 붓는다. 래들은 조형틀에 쇳물을 붓기 전 쇳물을 담아 옮기는 기계장치를 일컫는다. 1600도에 달하는 쇳물이 운반 중에 흘러넘치거나 래들이 마모되어 쇳물이 밖으로 유실된다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장에서 래들의 운반과정을 지켜보면 10m 가량 떨어진 곳에서도 열기가 느껴질 정도다. 안전에 안전을 기해야 하는 작업현장인 것이다. 이처럼 높은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는 작업현장이지만 대영테크는 지난 2009년 설립된 이후 단 한차례의 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대영테크가 설립된 이후 무사고 행진을 이어올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지 현장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봤다.

  • PDF

도심지 대심도 장대지하차도의 방재 대책

  • Kim, Nam-Yeong;Jo, Jong-Bok;Kim, Jae-Wan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40 no.4
    • /
    • pp.4-10
    • /
    • 2011
  • 자동차의 대중화와 인구집중화로 인하여 대도시의 경우 지하공간에 도로를 설치하려는 계획이 많아지고 있다. 그 계획에 대하여 장점을 찬성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안전에 관하여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대지하차도의 국내외 사례를 확인하고 재해에 대한 방재대책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for an Autonomous Navigation Element Technology Test (선박 자율운항 요소기술 시험을 위한 안전관리절차서 개발)

  • Woo, Donghan;Lee, In-Gyu;Im, Nam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5
    • /
    • pp.566-573
    • /
    • 2021
  • In this study,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were develope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guidelines and related maritime law to ensure the saf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autonomous ship technology and Samsung Heavy Industry. The safety management procedur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MASS) sea trials (MSC.1/Circ.1604, Annex: Interim guidelines for MASS trials), proposed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for the relevant authorities and stakeholders of MASS to properly conduct tests of systems and infrastructure related to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developed safety management procedure applies to the maritime demonstration test of a system applying autonomous navigation element technology mounted as a navigation aid on a ship operating under a watch system, while complying wit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vigation safety of the coast of Korea.

Types of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ducation Contents (가상현실 기반 안전교육 콘텐츠 유형 연구)

  • Chang, Sun-Hee;Chang, Hyo-Jin;Kim, Su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434-445
    • /
    • 2021
  • With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content technology and related infrastructure, interest in the use of virtual reality content is growing. Accordingly, in the field of safety education, more and more cases of producing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ducation (VR safety education) contents such as experiencing disaster situations realistically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lecture-style educ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VR safety educ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afety education, and analyzed 104 VR safety education contents produced and disclosed to date into nine classifications based on content and form. Based on the degree of relevance between items and the two axes of 'interactionability' and 'vividness of the environment', VR safety education content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angible lecture type, simulation type, and game type.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quality VR safety education contents by considering the purpose of safety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with the expected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