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기능분석

Search Result 1,42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Several Functional Ingredients (두 가지 이상 기능성원료를 복합하여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 관리 방안)

  • Kim, Ji Yeon;Kwon, Ora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7 no.4
    • /
    • pp.395-400
    • /
    • 2012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base for items reported t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for manufactured health/functional food during 2010. There were 183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manufactured in domestic having over 2 functional ingredients (hereinafter,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among total 7319 products. Among 183 products, there were 177 products having over two kinds of functional ingredient and 6 products were over 3 ingredients. The most commonly used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were Garcinia cambogia extracts which were used in 41 products, Octacosanol and Saw Palmetto extract. When we searched the safety information for the pair of ingredients used in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several database, there were no reports for safety concern. However, as there are still safety concerns when intake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at once, we suggested to enforce the reporting system of adverse event in order to strength safety manag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se complement, the safety manag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ight be achieved including a combinational products.

자율운항선박 충돌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나성;이동준;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9-221
    • /
    • 2023
  • 첨단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자율운항선박과 같이 인간의 개입을 획기적으로 줄인 첨단 시스템의 운용은, 대상 시스템의 운용 중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안전한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선박의 충돌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자율운항선박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분석 작업 수행 내용과 실시간 충돌 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검토한 간략한 위험도 모델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항해, 통신,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충돌 사고 빈도 산출을 위한 Fault Tree Analysis와 충돌 사고로 인한 영향 산출을 위한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Fault Tree와 Event Tree의 입력값 중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였고, 각 변수들에 입력값은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한 자율운항선박 충돌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The Gas Analyzers Monitoring System (가스분석기 모니터링 시스템)

  • Kim, Gwan-Hyung;Oh, Am-Suk;Kong, Suk-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739-740
    • /
    • 2016
  • 본 연구는 2륜자동차용 가스분석기 벤치보드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중간 미들웨어와 통신 프로토콜 분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교통안전공단"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은 향후에 구축된 2륜자동차 관리 서버와의 통신과 벤치보드와의 통신 내용을 관리할 수 있는 브릿지를 설계하여 벤치보드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의 데이터 정송 결함 유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2륜자동차용 배출가스 검사기의 내부 데이터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이더넷(TCP/IP) 기반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도 분석하고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설계된 가스분석기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2륜자동차 검사소에서 계측된 데이터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의 데이터의 무결점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모니터링 기능과 간단한 표시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able Functional Failure Temperature Evaluation of Cable Exposed to the Fire of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케이블 노출 화재 시 기능상실온도 분석)

  • Lim, Hyuk-Soon;Bae, Yeon-Kyoung;Chi, Moon-Go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6 no.1
    • /
    • pp.10-15
    • /
    • 2012
  • The fire event occurred in fire proof zone often causes serious electrical problems such as shorts, ground faults, or open circuits in nuclear power plants. These would be directed to the loss of safe shutdown capabilities performed by safety related systems and equipments. The fire event can treat the basic design principle that safety systems should keep their functions with redundancy and independency. In case of a cable fire, operators can not perform their mission properly and can misjudge the situation because of spurious operation, wrong indication or instrument. These would deteriorate the plant capabilities of safety shutdown and make disastrous conditions. In this paper, investigation and cause analysis of cable fire in Nuclear Power Plant, we described the cable fire temperature and functional failure criteria and the cable functional failure temperature evaluation by exposed fire is studied.

결함주입기법을 이용한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방안

  • Lee, Dong-U;Ryu, Dae-Hyun;Na, Jong-Hwa
    • Review of KIISC
    • /
    • v.24 no.2
    • /
    • pp.50-55
    • /
    • 2014
  • 자동차 전장제품 활용의 급속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 분야에서는 ISO 26262 안전설계절차를 도입하여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SO 26262는 자동차에서 발생 가능한 비정상상태(abnormal state)를 식별하고 그의 영향을 분석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전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연동되는 복잡한 시스템의 안전 검증은 결함수목법과 고장모드영향분석법을 활용하는 위험분석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결함주입시험은 이러한 위험분석의 기반도구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고장감내 기능의 동작여부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장감내 메카니즘들의 기능과 안전을 검증하는 방법과 사례를 소개한다. 최근의 복잡한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은 상위수준의 모델을 개발하여 지정된 위험 및 고장을 초래하는 결함을 시스템에 주입하고 그의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을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개발 목표 차량의 임베디드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고, 식별된 결함의 결함모델을 준비한 뒤, 시스템 모델 기반 결함주입 도구를 이용하여 결함주입을 수행하는 시험방법과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하드웨어는 SystemC 하드웨어 설계언어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여 실행화일을 확보하여 시험대상인 결함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대상으로 결함주입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Evaluation of Best Value for Safety Facilities on Highway Using Risk-based VE Approach - A Case Study of Median Barrier - (위험도기반 가치공학적 기법을 적용한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 최고가치평가 : 중앙분리대 적용사레를 중심으로)

  • Ji, Dong-Han;O, Young-Tae;Choi, Hyun-Ho;Kim, Sung-H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1
    • /
    • pp.143-154
    • /
    • 2008
  • Since the concerns for safety of highway traffic safety facilities inherent in various environmental risk is increased, systematic performance, cost, and effect analysis process is needed for this. In case of median barrier among various traffic safety facilitie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s inevitable because it has lots of direct/indirect risk factors. Thus, this study suggests an advanced VE(Value Engineering) approach incorporating quantitative risk analysis. For the applicability, suggested VE approach considering alternative 1(140cm) and 2(127cm) is applied to median barrier in fields. Also, major improvement objects are extracted from governing factors of cost and performance based on functional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risk assessment methodology will provide rational and practical solutions for best value and the approach could effectively applied for various traffic safety facilities by slight modification of suggest process.

Study on Risk Analysis for Software Functional Safety of Marine Navigational Equipment (항해장비 소프트웨어 기능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험분석 단계 연구)

  • Lim, Sang-Woo;Lee, Seojeong;Yang, Hoi-seo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2
    • /
    • pp.393-401
    • /
    • 2017
  • As the importance of software in various industry areas has been increased, the number of accidents related to software safety are growing up. The key industries such as railroads, aviation and medicine, recommend IEC 61508 and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for their own to achieve functional safety and reduce the issues caused by that. For equipment of ship navigation, there are not any particular standards or guidance which Korean users can introduce as considering software functional safety. This article defines the procedure and outcomes of the risk analysis in order to secure software functional safety in marine navigational equipment and applies them to an echo sounder as a case study.

Present State and Prospect of Wireless Networks for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재난안전무선통신망 구축 현황 및 전망)

  • Kim, W.I.;Park, W.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3
    • /
    • pp.50-60
    • /
    • 2011
  • 사회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국가적 재난재해는 다양성과 복잡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고 그 피해규모 또한 대규모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공공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도화된 국가공공 재난안전무선통신 인프라의 필요성이 국내외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의 주도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국내외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차세대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주요 요구기능과 그 요구기능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난안전무선통신을 위한 후보 기술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PSA 기법을 이용한 가압경수로 부분충수운전 안전성 향상방안

  • 박진희;이윤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604-609
    • /
    • 1996
  • 원자력 발전소 부분 충수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지냉각기능 상실사고인 과배수 사건에 대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분석의 주된 목적은 과배수로 인한 정지냉각기능 상실사건에 대하여 노심손상 빈도를 계산하고 안전성 향상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과배수 사건은 초기 부분 충수운전중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 때의 발전소 배열(Plant Configuration)은 영광 3,4호기의 운전절차서 및 발전소 운전경험을 근거로 결정하여. 현재 운전상태에 대한 확률론적 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인간오류가 노심손상빈도에 가장크게 기여하는 인자로 나타났으며 인간오류를 줄 일수 있는 대체냉각 절차를 선정하여 재분석을 수행하였다. 고려된 대체냉각 수단은 피동적인 잔열제거 방법인 열규응축냉각(Reflux Cooling)과 정지냉각펌프의 대체계통으로 격납용기 살수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의 두가지이다. 본 분석에서는 두가지 대체냉각수단을 모두 채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대체냉각 사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는데 노심손상 빈도가 1/1000로 감소 하였다. 따라서 절차서 개정에 의한 대체 냉각수단확보는 부분 충수운전중 발전소 안전성 향상에 매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method of Safety-Critical Software Requirements Analysis (요구사항기반 안전 필수 요소 추출 방안)

  • Hwang, Hi-Jung;Park, Young-B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00-703
    • /
    • 2017
  • 안전 필수 소프트웨어란, 소프트웨어의 결함으로 인해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야기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안전 필수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산업에서 보편화 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하며, 잠재적인 결함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에 안전 요소들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필요하다. 요구사항으로부터 위험 요소를 분석할 때에는 결함의 결과만을 보고 위험 등급을 부여하는 한계가 있다. 결함의 결과가 비록 같더라도 각기 다른 원인에 의해서 각기 다른 위험 수준을 갖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기능들에 대해 안전성을 부여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위험도가 높은 기능들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