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기능분석

검색결과 1,423건 처리시간 0.031초

두 가지 이상 기능성원료를 복합하여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 관리 방안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Several Functional Ingredients)

  • 김지연;권오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5-4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복합건강기능식품의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약청에 품목제조신고되어 있는 database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이 되는 제품은 총 7319개의 제품 중 "복합 건강기능식품"으로 파악된 제품의 개수는 183개 제품이었으며 이들 제품 중 기능성 원료를 2개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총 177제품, 3가지 이상의 기능성 원료를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모두 6개 제품이 있다. 183개 복합건강기능식품에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을 순위별로 나열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가 가르시니아캄보지아로서 41개 제품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옥타코사놀"과 "쏘팔메토열매추출물"이 가장 많은 빈도로 제조되고 있었다. 복합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의 pair를 사용하여 안전성 정보를 검색한 결과 현재 복합 사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서의 안전성 우려사항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에 대한 안전선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이를관리하기 위해서는 부작용에 대한 조기 시그날을 감지하기 위한 부작용 모니터링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에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 시행규칙의 원활한 시행을 통해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운항선박 충돌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나성;이동준;김선진;정정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9-221
    • /
    • 2023
  • 첨단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자율운항선박과 같이 인간의 개입을 획기적으로 줄인 첨단 시스템의 운용은, 대상 시스템의 운용 중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안전한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선박의 충돌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자율운항선박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분석 작업 수행 내용과 실시간 충돌 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검토한 간략한 위험도 모델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항해, 통신,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충돌 사고 빈도 산출을 위한 Fault Tree Analysis와 충돌 사고로 인한 영향 산출을 위한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Fault Tree와 Event Tree의 입력값 중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였고, 각 변수들에 입력값은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한 자율운항선박 충돌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가스분석기 모니터링 시스템 (The Gas Analyzers Monitoring System)

  • 김관형;오암석;공석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9-740
    • /
    • 2016
  • 본 연구는 2륜자동차용 가스분석기 벤치보드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중간 미들웨어와 통신 프로토콜 분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교통안전공단"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은 향후에 구축된 2륜자동차 관리 서버와의 통신과 벤치보드와의 통신 내용을 관리할 수 있는 브릿지를 설계하여 벤치보드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의 데이터 정송 결함 유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2륜자동차용 배출가스 검사기의 내부 데이터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이더넷(TCP/IP) 기반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도 분석하고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설계된 가스분석기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2륜자동차 검사소에서 계측된 데이터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의 데이터의 무결점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모니터링 기능과 간단한 표시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원자력발전소 케이블 노출 화재 시 기능상실온도 분석 (Cable Functional Failure Temperature Evaluation of Cable Exposed to the Fire of Nuclear Power Plant)

  • 임혁순;배연경;지문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0-15
    • /
    • 2012
  • 원전 방화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안전정지 케이블은 단락, 접지, 단선 등 전기적 고장으로 케이블에 고장이 발생하여 그 결과로 안전정지계통의 설비와 기기는 안전정지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 안전정지계통의 설비와 기능은 다중설계, 계열간 독립 및 분리 원칙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케이블 화재의 경우 기기 오동작과 오지시 또는 잘못된 계측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운전원의 상황 판단에 오류를 일으켜 안전정지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케이블 화재 조사 및 원인 분석, 케이블 화재온도 및 기능상실 기준 및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중인 케이블을 선정하여 노출 화재 시 케이블 기능상실 온도를 분석하여 케이블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결함주입기법을 이용한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방안

  • 이동우;류대현;나종화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0-55
    • /
    • 2014
  • 자동차 전장제품 활용의 급속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 분야에서는 ISO 26262 안전설계절차를 도입하여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SO 26262는 자동차에서 발생 가능한 비정상상태(abnormal state)를 식별하고 그의 영향을 분석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전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연동되는 복잡한 시스템의 안전 검증은 결함수목법과 고장모드영향분석법을 활용하는 위험분석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결함주입시험은 이러한 위험분석의 기반도구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고장감내 기능의 동작여부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장감내 메카니즘들의 기능과 안전을 검증하는 방법과 사례를 소개한다. 최근의 복잡한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은 상위수준의 모델을 개발하여 지정된 위험 및 고장을 초래하는 결함을 시스템에 주입하고 그의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을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개발 목표 차량의 임베디드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고, 식별된 결함의 결함모델을 준비한 뒤, 시스템 모델 기반 결함주입 도구를 이용하여 결함주입을 수행하는 시험방법과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하드웨어는 SystemC 하드웨어 설계언어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여 실행화일을 확보하여 시험대상인 결함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대상으로 결함주입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위험도기반 가치공학적 기법을 적용한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 최고가치평가 : 중앙분리대 적용사레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Best Value for Safety Facilities on Highway Using Risk-based VE Approach - A Case Study of Median Barrier -)

  • 지동한;오영태;최현호;김성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43-154
    • /
    • 2008
  • 다양한 제반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증가로 인하여 교통안전시 설에 대한 체계적인 성능, 비용 및 효과 분석 프로세스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교통안전시설은 도로사용자의 직 간접적인 사고위험성이 상존하는 중요한 시설물임을 고려하여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분석 수행시 정량적 위험도분석 결과를 적용한 합리적인 가치분석(VE)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고속도로 개선 전 후 중앙분리대에 적용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능분석을 통해 중점개선대상 기능 도출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선 전 중앙분리대 문제점의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향후 다양한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대안 창출 시 적용 가능하다.

항해장비 소프트웨어 기능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험분석 단계 연구 (Study on Risk Analysis for Software Functional Safety of Marine Navigational Equipment)

  • 임상우;이서정;양회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93-401
    • /
    • 2017
  • 각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소프트웨어 안전성과 관련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철도, 항공, 의료 등의 주요 산업분야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IEC 61508 기반의 안전표준을 작성하여 따르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항해 장비분야에는 안전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능안전에 대한 확인을 위해 적절한 가이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기능안전성 공통 개발 가이드를 참고하여 항해 장비의 소프트웨어 기능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험분석 단계의 절차와 산출물을 정의하였다. 선박에 탑재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음향측심기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하였다.

재난안전무선통신망 구축 현황 및 전망 (Present State and Prospect of Wireless Networks for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 김원익;박우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3호
    • /
    • pp.50-60
    • /
    • 2011
  • 사회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국가적 재난재해는 다양성과 복잡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고 그 피해규모 또한 대규모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공공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도화된 국가공공 재난안전무선통신 인프라의 필요성이 국내외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의 주도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국내외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차세대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주요 요구기능과 그 요구기능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난안전무선통신을 위한 후보 기술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PSA 기법을 이용한 가압경수로 부분충수운전 안전성 향상방안

  • 박진희;이윤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604-609
    • /
    • 1996
  • 원자력 발전소 부분 충수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지냉각기능 상실사고인 과배수 사건에 대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분석의 주된 목적은 과배수로 인한 정지냉각기능 상실사건에 대하여 노심손상 빈도를 계산하고 안전성 향상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과배수 사건은 초기 부분 충수운전중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 때의 발전소 배열(Plant Configuration)은 영광 3,4호기의 운전절차서 및 발전소 운전경험을 근거로 결정하여. 현재 운전상태에 대한 확률론적 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인간오류가 노심손상빈도에 가장크게 기여하는 인자로 나타났으며 인간오류를 줄 일수 있는 대체냉각 절차를 선정하여 재분석을 수행하였다. 고려된 대체냉각 수단은 피동적인 잔열제거 방법인 열규응축냉각(Reflux Cooling)과 정지냉각펌프의 대체계통으로 격납용기 살수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의 두가지이다. 본 분석에서는 두가지 대체냉각수단을 모두 채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대체냉각 사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는데 노심손상 빈도가 1/1000로 감소 하였다. 따라서 절차서 개정에 의한 대체 냉각수단확보는 부분 충수운전중 발전소 안전성 향상에 매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요구사항기반 안전 필수 요소 추출 방안 (The method of Safety-Critical Software Requirements Analysis)

  • 황희정;박용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00-703
    • /
    • 2017
  • 안전 필수 소프트웨어란, 소프트웨어의 결함으로 인해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야기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안전 필수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산업에서 보편화 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하며, 잠재적인 결함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에 안전 요소들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필요하다. 요구사항으로부터 위험 요소를 분석할 때에는 결함의 결과만을 보고 위험 등급을 부여하는 한계가 있다. 결함의 결과가 비록 같더라도 각기 다른 원인에 의해서 각기 다른 위험 수준을 갖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기능들에 대해 안전성을 부여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위험도가 높은 기능들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