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드로이드 앱 취약점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android application for security card and the solution using OTP (안드로이드 보안카드 앱 취약점 분석 및 OTP를 통한 해결)

  • Choi, Won Seop;Kim, Dong Kyu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901-903
    • /
    • 2013
  • 안드로이드 보안카드 앱은 보안카드를 암호화하여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켜주지만 안드로이드의 특성상 앱 설치 파일로부터 키 노출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보안카드 앱의 디컴파일로부터 키를 추출하는 취약점을 설명하고 보안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OTP 사용을 제안한다.

Fuzzing Tool for Android Application Vulnerability (안드로이드 앱 취약점 점검 도구 개발)

  • Kim, Sangwho;Jo, Jegyeong;Ryou, J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424-425
    • /
    • 2014
  • 2014년 가트너에서 조사된 통계 자료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자 4명중 3명은 안드로이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드로이드에서 취약점이 발생할 경우 다른 스마트폰 OS에서 취약점이 발생할 때보다 3배 이상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앱에 대한 취약점을 찾고 조치를 취해야하는 작업이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취약점을 찾고 조치를 취하기 위해 분석가는 많은 시간을 소모하는데 비해 앱의 증가 속도는 매우 빨라 취약점 점검을 위한 자동화 도구는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작동하는 앱을 대상으로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연구하였다.

A Proposal for "Security Verification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Secure Android Mobile Application" (안전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구현 단계별 보안성 검증 방안 제시)

  • Hur, Hwan Seok;Kang, Sung Hoon;Kim, Seung Jo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2 no.10
    • /
    • pp.445-460
    • /
    • 2013
  • Mobile applications today are being offered as various services depending on the mobile device and mobile environment of users. This increase in mobile applications has shifted the spotlight to their vulnerability. As an effective method of security verification, this paper proposes "phase-wise security verifi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applications". This method allows additional security verification by covering specific items across a wider range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Based on the identified weaknesses, it detects the cause of vulnerability and monitors the related settings.

Analysis on Vulnerabilities of Management for Android Free Apps (안드로이드 무료앱 관리의 취약점 분석)

  • Kim, Jaegon;Park, Gyeongyong;Kim, Yungi;Han, Seongbong;Cho, T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445-448
    • /
    • 2014
  •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OS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안드로이드이다. 안드로이드의 스토어에는 100만개가 넘는 앱이 존재하고, 그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무료 앱이다. 무료 앱은 장치 고유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시켜 접근을 제어하는 유료 앱과 달리, 스마트폰에 설치 된 후 앱에 대한 접근 방지책이 없어 접근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료 앱 접근에 대한 취약성을 분석하고 무료앱의 파일을 보호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마련하였다.

안드로이드 데이터 암호화 앱 동향 및 분석

  • Sungwon, Lee;Chungwoon, Kim;Dohyun, Kim
    • Review of KIISC
    • /
    • v.32 no.6
    • /
    • pp.7-16
    • /
    • 2022
  •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됨에 따라 스마트폰 내부에는 사용자가 사용한 다양한 앱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고 이 중에는 민감한 개인정보도 포함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스마트폰이 악성앱에 공격당하는 경우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폰 내부 데이터를 암호화 저장하는 다양한 앱들이 출시되고 있다. 우리는 총 12개의 데이터 암호화 앱들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데이터 암호화 앱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안드로이드 앱 마켓에서 전 세계적으로 10,000,000회 이상 다운로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5개의 추가적인 데이터 암호화 앱을 분석했다. 그 중 특히 LOCKit 앱을 자세히 분석하여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취약점을 밝혀내 데이터 복호화 방법과 취약점 보완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A Study of Negative App Detection from Active Pattern Anlysis in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활성 패턴 분석을 통한 부정 앱 검출에 관한 연구)

  • Lee, Chang-Soo;Hwang,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35-83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폭팔적인 증가와 함께 사용 환경개선도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Wi-Fi 존의 증가와 LTE같은 빠른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중심의 수 많은 앱을 탄생시키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애플의 iOS와는 다른 오픈소스 정책으로 플랫폼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많은 개발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안드로이드는 앱(App) 검증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에 악성코드 등으로 인한 위협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은 임의적 접근제어방식으로 공격자가 취약점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얻어 시스템 자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요소가 다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앱이 호출하는 시스템 API 및 네트워크 자원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부정 앱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API호출 빈도 및 자원 사용률이 최소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경우를 제외한 평가대상은 모두 검출하여 보안성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모바일 게임 서비스 보안이슈

  • Kim, Huy Kang;Kum, Young Jun
    • Review of KIISC
    • /
    • v.23 no.2
    • /
    • pp.35-42
    • /
    • 2013
  • 최근 모바일 게임서비스의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미싱 등 결제부정행위에 악용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스마트폰 내 모바일 게임 서비스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게임앱 개발사, 게임서비스 제공사, 유통플랫폼 기업들에 요구되고 있다. 모바일 게임 서비스 보안은 PC 상에서의 게임보안과 어떤 차이점들이 존재하며 모바일 게임 내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의 유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 및 기술적 한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Validation Plan of Android applications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의 진본 검증 방안)

  • Han, Kyu-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415-417
    • /
    • 2015
  • 스마트폰이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 개발된 안드로이드 앱은 초기 앱 자체의 문제가 있었으나 스마트폰 시장이 점차 확대 되면서 개발된 안드로이드 앱의 보안 취약점과 악성코드가 삽입된 어플리케이션의 .apk 파일 배포로 인해 무결성이 지켜지지 못하고 보안 문제가 끊임없이 발생하며 안드로이드폰에 설치된 앱의 위 변조로 악성코드가 삽입된 APK 파일을 이용해 설치하였을 경우 소스코드의 부정 사용과 개인정보유출 등 2 차로 금융사기 유도, 소액결재 등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위 변조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의 진본 여부를 확인하 위해 방안을 제안하며 악의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위 변조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apk 파일을 이용한 설치로 부정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의 진본 설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On Security of Android Smartphone Apps Employing Cryptography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암호 사용 앱 보안 분석 및 대응)

  • Park, Sang-Ho;Kim, Hyeonjin;Kwon, Taek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3 no.6
    • /
    • pp.1049-1055
    • /
    • 2013
  • Smartphones are rapidly growing because of easy installation of the apps (application software) that users actually want. There are increasingly many apps that require cryptographic suites to be installed, for instance, for protecting account and financial data. Android platform provides protection mechanisms for memory and storage based on Linux kernel, but they are vulnerable to rooting attacks. In this paper, we analyze security mechanisms of Android platform and point out security problems. We show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of several commercial apps and suggest appropriate countermeasures.

Vulnerabilities and Countermeasures of Dynamic Virtual Keyboard in Android Banking Apps (안드로이드 은행앱의 동적 가상키보드에 대한 취약점 및 대응방안)

  • Cho, Taenam;Choi, SookHe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8 no.1
    • /
    • pp.9-16
    • /
    • 2019
  • Smartphones are becoming a portable computer. As a result, even the most sensitive financial application services are now available anywhere on the smartphone. Compared to general PCs, smartphones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wireless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and NFC, and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are provided. Therefore, if vulnerabilities exist, the possibility of attack damage increas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ulnerabilities of dynamic virtual keyboards used in login of banking apps of smartphones with various physical constraints and propose counter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