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구추적운동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 of Smooth Pursuit Eye Movement Using Portable Device to Chronic Hemispatial Neglect: A Pilot Study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완곡추적 안구운동이 만성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Shin, Jae-Yong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6 no.1
    • /
    • pp.71-83
    • /
    • 2017
  • Objective : This study aim is to identify whether smooth pursuit eye movement(SPEM) using portable device can alleviate chronic hemispatial neglect. Methods : We applied smooth pursuit eye movement to one chronic hemispatial neglect patient. Experimental duration was total 4weeks - 1week baseline, 2weeks SPEM intervention, 1week 2nd. baseline. The intervention was 10 SPEM sessions (30min each, 1session daily, from Monday to Friday) over a period of 2weeks. The neglect test carried out 5 times a week. The SPEM was provided on the screen when patient sat in front of the screen(8.4 inch tablet pc, distance 40cm). The SPEM video that the 24 yellow squares moving coherently from the right to the left side. Patie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smooth pursuit eye movement without head and neck movement.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PEM for 2weeks, the degree of neglect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baseline A. The degree of the LBT tended to increase the at the baseline A'. In contrast, the SCT showed that tendency which the degree of the neglect maintained at the baseline A'. Conclusion : We identified that SPEM using portable device i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chronic hemispatial neglect.

An Eyetracking Study on the Measurement of Newspaper Advertising Exposure Effects : Comparison with Data Collected by Recognition Measurement (안구운동 추적을 활용한 신문광고 노출효과 측정 방법론 연구 : 보조인지 설문 응답과 비교를 통하여)

  • An, Byung-Wook;Jung, Dae-Hoon;Lee, J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36-144
    • /
    • 2007
  • 1990년대 후반까지 줄곧 광고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던 신문광고가 2001년을 기점으로 광고 시장 점유율의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인터넷과 같은 경쟁적인 뉴미디어가 급격히 성장하는 데 그 원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문의 광고효과를 산출하는 과학적 방법론이 부족하다는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 추적(eyetracking)을 활용하여 신문광고의 노출효과를 측정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신문 구독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에 따라 추출된 5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신문의 면내 광고별 체류시간을 헤드 마운트형 안구운동 추적기(head-mounted eyetracker)를 활용하여 측정했다. 실험 결과, 데이터의 95%가 기존의 주의-기억 단계를 따르는 순차적인 정보처리모델과 스타치 구독률 조사(starch readership reports) 결과와 안구운동 추적 결과와 일치했다. 하지만, 5%의 데이터가 주의와 기억 단계의 차이에 기인한 이월 효과(carry-out)로 순차적인 정보처리모델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5%가량이 광고를 보지 않았음에도 봤다고 표시했다. 또한, 기존에 스타치 구독률 조사와 같은 재인 측정 방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던 기존의 신문 광고 노출율(보통 30%)에 비하여, 직접 측정한 결과 60%에 달하는 광고 노출율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인식과 달리, 스타치 구독률 조사가 단순 노출 정도가 아니라, 응답자의 선택적인 기억 결과를 측정한 것임을 보여준다. 이로써, 안구운동 추적을 활용한 노출효과측정은 기존에 스타치 구독률 조사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기법임을 보여준다. 또한 이 기법에 의하여 도출된 노출율은 60%에 달하여 기존의 약30%로 제시된 연구결과들이 실제로 측정기법의 한계로 인하여, 기억이 가지고 있는 왜곡을 그대로 반영한 노출율에 관한 자료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노출효과 측정방법론은 기존의 왜곡된 데이터를 보완하고, 신문 광고 시장의 과학적인 측정기법을 발전시키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 Kim, Yeram;Shin, Dong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33 no.4
    • /
    • pp.751-7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그룹 A와 그룹 C의 안구운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A는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읽고 문제의 주요어에 집중했으며, 단서들을 비교하고 경향성을 찾고 답을 재확인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룹 C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으며, 주요어와 단서를 찾지 못하고, 무의미한 짧고 빠른 도약 안구 운동을 보였다. 둘째, 그룹 A와 C의 안구 운동의 고정, 도약, 시선 경로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안구 운동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안구운동 분석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인지 전략을 유동전략과 고착전략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은 교사들이 과학적 예상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예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Robust Eye Region Discrimination and Eye Track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환경변화에 강인한 눈 영역 분리 및 안구 추적에 관한 연구)

  • Kim, Byoung-Kyun;Lee, Wang-H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5
    • /
    • pp.1171-1176
    • /
    • 2014
  • The eye-tracking [ET] is used on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analysing the movement status as well as find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eye by tracking pupil's movement on a human face. Nowadays, the ET is widely used not only in market analysis by taking advantage of pupil tracking, but also in grasping intention, and there have been lots of researches on the ET. Although the vision based ET is known as convenient in application point of view, however, not robust in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illumination, geometrical rotation, occlusion and scale changes. This paper proposes two steps in the ET, at first, face and eye regions are discriminated by Haar classifier on the face, and then the pupils from the discriminated eye regions are tracked by CAMShift as well as Template matching. We prov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lots of real experiments in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illumination as well as rotation and scale changes.

The Effect of Optokinetic Stimulation with Smooth Pursuit Eye Movement to Chronic Hemispatial Neglect: A Pilot Study (완곡 추적 안구운동을 동반한 시운동자극이 만성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 Shin, Jae-Yong;Yoo, Eun-Young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2
    • /
    • pp.81-92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 is to identify whether 30minutes optokinetic stimulation(OKS) with smooth pursuit eye movement can alleviate chronic hemispatial neglect. Methods: We applied optokinetic stimulation with smooth pursuit eye movement to 2 chronic hemispatial neglect patients. experimental duration was total 4weeks - 1week baseline, 2weeks OKS intervention, 1week 2nd. baseline. The intervention was 10 OKS sessions (30min each, 1session daily, from Monday to Friday) over a period of 2weeks. The neglect test carried out 3 times a week every other day. The OKS was provided on the screen when patient sat in front of the screen(13.5 inch). The OKS video that the 24 yellow squares moving coherently from the right to the left side. Patie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smooth pursuit eye movement without head and neck move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OKS for 2weeks, the degree of neglect trends to decrease on both 2 cases compared to baseline A. The degree of the neglect of subject 1 tended to increase the at the baseline A. In contrast, the subject 2 showed that tendency that the degree of the neglect declined additionally at the baseline A. Conclusions: We identified that 30 minutes optokinetic stimulation with sooth pursuit eye movement i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chronic hemispatial neglect.

Relationship between SNP A and P1763 Polymorphisms on Dystrobrevin Binding Protein 1(DTNBP1) Gene and Smooth Pursuit Eye Movement(SPEM) Abnormality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추적운동 이상과 Dystrobrevin Binding Protein 1(DTNBP1) 유전자의 SNP A와 P1763 다형성의 연합에 대한 연구)

  • Lee, Chang Hee;Park, Byung-Lae;Kim, Lyoung Hyo;Kim, Dong Hyeon;Cho, Sook Hyun;Park, Jin-Soo;Kim, Im-Yel;Lee, In-Sang;Seo, Han-Gil;Byun, Ki-Ook;Kim, Bong-Jo;Hahn, Kyu-Hee;Kim, Ki-Hoon;Shin, Tae-Min;Shin, Hyung Doo;Woo, Sung-Il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13 no.4
    • /
    • pp.279-288
    • /
    • 2006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SNP A and P1763 polymorphisms on dystrobrevin binding protein 1(DTNBP1) gene with smooth pursuit eye movement(SPEM) abnormality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We measured SPEM function in 217 Korean schizophrenics(male 116, female 101)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ne is a good SPEM function group and the other is a poor SPEM function group. We then analyzed SNP A polymorphism and P1763 polymorphism on DTNBP1 gene from their DNAs extracted from their blood. W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genotype and allele distributions of the two polymorphisms on DTNBP1 gen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Ln S/N ratio(mean${\pm}$SD) of the good SPEM function group was $4.39{\pm}0.33$ and the ratio of poor SPEM function group was $3.17{\pm}0.7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and male/female ratio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otype or allele distributions of the SNP A polymorphism and P1763 polymorphism on DTNBP1 gene between the two schizophrenic groups divided by SPEM function.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SNP A polymorphism and P1763 polymorphism on DTNBP1 gene might not be related to SPEM function abnormality in schizophrenia.

  • PDF

Attentional Bias of Avoidance Coping Strategy User on Appearance-related Stimuli: Using Eye-tracker (외모에 대한 회피 대처전략자의 주의 편향 연구: 안구운동 추적장치를 이용하여)

  • Kwak, Soo-Min;Lee, Jang-H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33-6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신체상 위협상황에서 대처 전략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신체상 대처전략 척도(K-BICSI: The Korean Version of the Body Image Coping Strategy: K-BICSI)를 사용하여 회피 전략을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고회피집단(N=12)과 저 회피집단(N=12)으로 구분하여 실험참가자를 모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외모 관련 자극이 제시 되었을 때 달라지는 주의편향과 자극 제시 전후의 정서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실험 참가자는 여대생 24명으로, 안구운동 추적장비의 최초 응시방향과 응시시간을 이용해 주의편향을 확인했으며, 정서변화는 VAS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 회피집단은 저 회피집단에 비해 비매력자극에 대한 더 높은 최초응시 경향을 나타냈지만, 매력자극에 대해서는 유의미하게 긴 응시시간을 보였고, 외모관련 지극 제시 전보다 후에 더 유의미하게 정서가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고 회피집단은 저 회피집단과는 다른 주의 인지기제를 가지고 있으며 외모관련 자극에 정서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isual Fatigue Evaluation using Eye-movement Detection for Stereoscopic Video (안구 운동량 검출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시각적 피로도 측정)

  • Choi, Sunghwan;Kim, Donghyun;Choi, Jaeseob;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5-14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스테레오 영상에서의 시각적 피로도와 안구의 운동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시각적 피로도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측정 방법은 3차원 스테레오 영상 시청자의 피로도가 누적되었을 때, 안구의 단속성 운동(saccade)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을 둔다. 액티브 셔터글라스 방식의 3D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의 동공을 검출하고 추적하기 위해 적외선 광원 및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다. 획득한 영상에 대해 이진 임계화를 적용하고 타원 피팅을 수행하여 동공의 위치를 검출한다. 피팅된 타원의 이심률과 크기 및 위치를 제한하여 검출 오류를 줄인다. 검출된 동공의 위치를 바탕으로 안구의 단속성 운동량을 측정한다. 실험에는 변이 정도가 크지 않아 편안하게 시청 가능한 스테레오 영상과 과도한 변이를 가져 시청하는데 불편한 영상이 분리되어 사용되었다. 이들 영상에 대해 각각 실험자의 단속성 운동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안구의 단속성 운동량이 변이가 큰 영상에서 그렇지 않은 영상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of Saccadic Eye Movements and Cognition (안구운동과 인간의 인지기능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

  • Jung, Hae-In;Kim, Jong-Bae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2
    • /
    • pp.49-55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s of saccadic eye movements and cognition.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we have to compare the studies. Methods: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 from 1995 to 2015, using KERIS. Main words to examine are saccadic eye movements, cognitive function, cognition, relationship, saccade program, etc. Results: 6 studies were selected, All of them were saccadic eye movements. Eye movements and cognitive function have correlation. Age from 5 to 65 years from the studies, they f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and saccade(p<.05).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some limitations. First, there were variation in large of age spectrum. Second, the populations were small.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saccadic eye movements study apply to variety of interventions to separat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cohort study, and majority of patients is needed on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s: In the future study, the use of eye movements apply to a variety of interventions and majority of patients is needed for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s. If occupational therapists can obtain knowledge and make a protocol for cognitive program.

Web Usability Testing by Using Scanpath Similarity Analysis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을 이용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 Kim, Youngjun;Kim,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793-803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scanpath similarity analysis as one of new web usability testing. The 5 websites of public institutions were used and 15 students participated. First of all, eye movements were tracked and visual appeal ratings were measured as participants freely viewed each website for 3 seconds. Subsequently in continuously tracking the eye movements we asked the participants to perform 17 missions. Finally, in interview the participants rated on satisfaction, awareness, and mission difficulty.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anpath similarity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the visual appeal ratings(first impression) and th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higher the visual appeal ratings were related to higher scanpath similarity. This result showed that measurement such as scanpath similarity of eye movements could become an objective index for usability testing instead of subjective evaluation such as the satisfaction. We discussed possibility that the usability testing by using the scanpath similarity with both fixation and duration on eye movements will find more appropriately inference on observers' experiences in web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