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구운동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bnormal Eye Movements in Patients with Dementia (치매 환자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안구운동)

  • Kim, Hyun;Lee, Kang-Joon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5 no.2
    • /
    • pp.73-80
    • /
    • 2007
  • Anumber of prior studies have reported eye movement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The eye movement test which is non-invasive can evaluate the local brain function quantitatively. Therefore, it can be a useful method for characterizing regional brain abnormalities of patients with dementi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on eye movement abnormalities in dementia patients. Saccade system dysfunctions in Alzheimer disease include increased latency, reduced accuracy, and increased antisaccade error rates. Patients with frontotemporal dementia showed impaired reflexive saccade inhibition and increased latency and errors of antisaccade task. And delayed initiation of voluntary saccades, slow saccades, and increased errors and latency on antisaccade task were found in Huntington's disease.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ementia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 have characteristics of impaired in both reflexive saccade execution and complex saccade performance. However, there were few reports of abnormal eye movements in Creutzfeldt-Jakob disease; they could be found at the later stages after symptoms of dementia came to be evident, and secondary to cerebellar and vestibular involvement. Slowing of saccades and hypometric saccades might precede the supranuclear limitation of vertical gaze in PSP. Dysfunction of voluntary eyelid movements was a characteristic finding of PSP as well. In conclusion, patients with dementia can show various abnormal eye movements and they are related with cortial and subcortical brain dysfunctions. The research on localization of brain relevant to each symptom can promise more clinical implications of eye movement of dementia.

  • PDF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 Kim, Yeram;Shin, Dong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33 no.4
    • /
    • pp.751-7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그룹 A와 그룹 C의 안구운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A는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읽고 문제의 주요어에 집중했으며, 단서들을 비교하고 경향성을 찾고 답을 재확인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룹 C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으며, 주요어와 단서를 찾지 못하고, 무의미한 짧고 빠른 도약 안구 운동을 보였다. 둘째, 그룹 A와 C의 안구 운동의 고정, 도약, 시선 경로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안구 운동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안구운동 분석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인지 전략을 유동전략과 고착전략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은 교사들이 과학적 예상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예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Induction of Expension and Shrinkage in Spatial Location Using Double-Step Paradigm (이중도약과제를 사용한 공간의 확장감과 축소감 연구)

  • 김경한;이춘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83-188
    • /
    • 1997
  • 안구의 운동은 시각 환경에서의 진행중인 정보처리와 관련된 지각적, 인지적 과정을 밀접히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특히 공간 지각과의 상관은 비교적 명확히 확립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에 관여하는 안구운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지각을 반영하는 안구운동 지표를 개발한다는 목표 아래, 피험자가 느끼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의 특성을 이중도약과제(double-step paraeigm)를 사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이중도약과제는 도약(saccadic)안구운동의 오차를 유발시키는 실험기법으로, 두개의 시각자극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보여주되, 두번째 자극은 안구운동이 일어나는 도중에 제시하는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왜곡된 공간에 대한 피험자의 공간적응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과제는 다시 자극의 이차도약 방향에 따라 축소감 조건과 확장감 조건으로 나뉘었고, 머리운동의 역할을 판별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한 조건과 머리를 자유롭게한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머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축소감 조건에 대한 적응이 확장감 조건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고, 그 적응후의 시선이동의 변화량에서도 축소감 조건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머리를 자유롭게 할 공간 지각의 정확성이 증가하며, 축소감과 확장감 경험속도의 차이가 약 49.2%까지 해소되었으나, 여전히 축소감의 경험이 더 잘 일어났다.

  • PDF

Effects of Eye Movement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Women: a pilot study (노인여성에게 적용한 안구움직임 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Bae, sea-hyun;Kim, kyu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7-408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안구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 8명을 선정하였고 안구운동은 급속안구운동을 4주 동안 적용하여 사건관련 전위 중 P300을 활용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300의 전위값은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잠복기는 유의하게 짧아졌다. 결론적으로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급성안구운동은 뇌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Eye Movement Data with PCA (안구운동 정보에 의한 사용자 인증과 주성분 분석)

  • Oh,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5-476
    • /
    • 2018
  • 생물통계학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의 새로운 방법으로 안구 운동 정보가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안구운동정보가 사용자 인증 문제에 왜 좋은 지를 설명하고, 인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주성분분석에 의한 방법을 제안한다. 주성분 분석은 데이터에서 변동이 가장 큰 방향을 찾아주기에 이를 활용하여 안구운동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면 인증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Hybrid Web App Development for Eye movement at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에서 눈 운동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웹앱 개발)

  • Seok, Hyun-Tac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6
    • /
    • pp.249-254
    • /
    • 2013
  • This paper presented a mobile application program to help eye movement with mobile devices. It helps to strengthen ocular muscles and improve visual acuity. Users can easily access the program of eye movement type of app program in mobile devices. There were some papers which studied on the eye movement and showed efficient eye move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So here presents programming codes to help eye movement with some specific patterns from some papers and it was implemented by HTML, CSS and javascript. To convert web code to app code, appspresso tool was used.

Mathematical Expression of Eye Movement Using Rotation Matrix (Rotation Matrix를 이용한 안구운동의 수학적 표현)

  • Kim, YongGe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4 no.2
    • /
    • pp.51-55
    • /
    • 1999
  • The eye movement of the eyeball's center of a rotation can represent with the rotation matrix $R_x$, $R_y$, $R_z$ due to a coordinate axis rotation transformation of Cartesian coordinate, and describes of an abduction, an adduction, an elevation, a depression, an intorsion, an extorsion in principle rotation six forms of the eye. The eye movement from primary eye position to tertiary eye position could be composed with the rotation matrix combination, and by the primary rotation of six and the secondary rotation of eight, could be represented with the extrocular muscle of six. The position of the cornea vertex point or pupil point due to the eye movement can describe to transform the rotation matrix of the cartesian coordinate to spherical coordinate$(r,{\theta},{\phi})$.

  • PDF

Active Modulation of Visual Motion Perception around the time of Saccadic Eye Movements (안구 운동에 즈음한 시각 운동 지각의 역동적 조절)

  • Lee, Jung-Ah;Lee, Choo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3-227
    • /
    • 2005
  • 시각 자극의 운동 방향을 파악하는 것은 시각의 주요 기능 가운데 하나이다. 동일한 망막상의 영상 운동은 다양한 조합의 시각 자극의 운동 벡터와 눈 운동의 벡터의 합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망막 정보가 애매한 경우에도 불구하고 시각 자극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파악하며, 이것은 시지각의 안정성을 돕는 망막 이외의 정보가 통합된 결과이다. 본 발표는 이러한 정보 중에 하나인 도약 안구 운동에 즈음하여 제시되는 시자극 운동의 지각 과정에서 안구 운동 정보의 역할을 결정한 실험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약 안구 운동의 발생 전후에 제시된 자극의 속성에 대한 판단은, 자극의 속성과 도약 안구 운동 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식으로 조절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시각 운동의 지각 왜곡을 일으키는 신경 기전은 일차 시각 피질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of Saccadic Eye Movements and Cognition (안구운동과 인간의 인지기능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

  • Jung, Hae-In;Kim, Jong-Bae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2
    • /
    • pp.49-55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s of saccadic eye movements and cognition.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we have to compare the studies. Methods: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 from 1995 to 2015, using KERIS. Main words to examine are saccadic eye movements, cognitive function, cognition, relationship, saccade program, etc. Results: 6 studies were selected, All of them were saccadic eye movements. Eye movements and cognitive function have correlation. Age from 5 to 65 years from the studies, they f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and saccade(p<.05).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some limitations. First, there were variation in large of age spectrum. Second, the populations were small.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saccadic eye movements study apply to variety of interventions to separat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cohort study, and majority of patients is needed on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s: In the future study, the use of eye movements apply to a variety of interventions and majority of patients is needed for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s. If occupational therapists can obtain knowledge and make a protocol for cognitive program.

A Study on Reducing Cybersickness with HMD (HMD 기반에서 사이버멀미 감경에 연구)

  • Jung, A-Leum;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959-960
    • /
    • 2016
  • HMD(Head Mountain Display)을 이용한 가상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멀미는 일상에서 느끼는 멀미와 흡사하다. 멀미는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시각계와 전정계 및 체성감각계와 관련이 있으며, 그 기관계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다. 즉, 시각정보와 전정정보의 괴리에 의해 발생한다. 안구는 이러한 멀미감을 감소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안구운동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전정 안구 반사 라고한다. 머리가 움직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시야를 움직여 시야의 혼란 장애를 방지하는 운동으로, 주시 고정을 위해 시야 주변의 물체에 따라 표적을 원하는 물체에 시야를 고정시켜 안정적인 안구운동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안구운동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시각정보를 제공하여 사이버멀미를 줄이기 위한 콘텐츠 개발 방법론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