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취유발물질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odor episode in Ulsan metropolitan city (울산지역 악취발생과 관련한 기상특성)

  • 김유근;이영미;이평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08-309
    • /
    • 2003
  •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이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서 사람에게 심리적.정신적 피해를 주는 감각오염이라 할 수 있다. 악취 유발물질을 비롯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거동은 오염물질의 물리ㆍ화학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기온, 풍향, 풍속, 혼합고, 대기안정도 등 다양한 국지 기상인자의 영향을 받게된다. 특히 악취유발물질은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미량에서도 불쾌감을 주고 그 원인물질이 상당히 많을 뿐만 아니라 물질간의 반응기작이 매우 복잡하다. (중략)

  • PDF

Real Time Monitoring of Mal-ordor Nitrogen Substances in the Air at Siwha Industrial Complex (시화공단 대기중 악취유발 질소화합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 이동수;김영훈;김영화;한진석;이석조;김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53-355
    • /
    • 2003
  • 시화공단에서 악취물질의 원인규명을 위한 공동연구가 실시된바 있다. 이 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주요 악취유발물질인 질소화합물과 카르보닐화합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이 연구의 후속사업으로 금년 6월부터 3개월에 걸친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 기술의 현장 적용성과 악취모니터링의 유용성을 평가한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질소화합물, 카르보닐화합물, 유황화합물에 대한 세 분석시스템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Process Corrosion and Source of the Emitted $H_2S$ from Clay Tower of Petrochemical BTX Process (석유화학 BTX 공정 점토탑에서의 $H_2S$ 및 공정 부식 발생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 서성규;정채훈;문정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43-444
    • /
    • 1999
  • 악취는 냄새를 유발하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악취물질은 정유공장, 화학공장, 하수처리장, 분뇨 및 축산 폐수처리장, 매립장 등의 다양한 발생원이 있으며, 여러가지 복합된 화합물이 원인이 되어 악취를 유발한다. 단위 물질로서 황화수소(H$_2$S)는 계란 썩는 냄새, 메르캅탄(mercaptan)류는 야채 썩는 냄새, 아민류는 생선냄새 등의 특이한 냄새를 유발하며, 최저 감지값은 물질별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이광묵, 1993).(중략)

  • PDF

An Assessment of Factory Odor Evaluation with Indirect Olfactory Method (간접관능법에 의한 사업장 발산악취 평가)

  • 김학민;정의석;김선규;김선태;박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3-184
    • /
    • 2002
  • 악취현상 평가방법은 냄새유발물질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화학성분분석법과 복합취기물질에 의란 감각수준을 다수의 악취판정인이 평가하는 관능측정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특히, 관능측정법의 경우 자극의 세기를 표현하는 직접관능법과 최소냄새감지한계회석배수를 구하는 간접관능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환경악취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성분분석과 감각수준을 평가하는 두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VOCs Concentrations at the Yosu Industrial Complex during the Summer (여름철 여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VOCs의 농도특성)

  • 임득용;황인조;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58-359
    • /
    • 2003
  •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삶의 질은 향상된 반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대기 중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은 인체에 독성을 가지며 암을 유발하고, 오존의 전구물질(precursor),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물질,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Derwent et al., 1996) 악취를 유발하기도 한다. 악취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르캅탄류(mercaptans), 아민류(amines) 등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되며, 주로 인체의 위해성보다는 정신적ㆍ심리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감각공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 2002). (중략)

  • PDF

A Fundamental Experiment of $NH_3$ Analysis Using Passive Sampler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암모니아측정에 대한 기초실험)

  • 김학만;이범진;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40-341
    • /
    • 2000
  • 환경부에서 규제하고 있는 악취규제물질 중 자극적이며 화장실에서 나는 냄새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암모니아는 식품 및 화학공장 둥의 산업시설은 물론 환경기초시설, 대규모 농수산시장 등에서 발생하여 생활환경에서 빈번하게 감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악취유발물질의 하나이다. 이러한 암모니아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피리딘-피라졸론법, 네슬러법, 인도페놀법, CG-FTD법 둥 여러 실험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붕산흡수액과 접촉시켜 암모니아를 채취하고, 발색시약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푸른색의 인도페놀을 측정하여 암모니아를 정량하는 인도페놀법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A Fundamental Experiment of Odor Unit Estimation for Water-body Diffuse Odor (수체발산 악취물질 악취단위 산정에 관한 기초실험)

  • 김학민;이범진;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15-116
    • /
    • 1999
  • 대기 중으로 발산되어 인간의 감각기관을 자극함으로써 불쾌감을 유발하고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등 일상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악취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취기를 감지할 수 있는 최저농도를 평가하는 감지역취(Threshold)의 결정, 냄새가 얼마나 강한가를 평가하는 악취강도(Odor Intensity) 측정, 냄새의 종류를 판단하는 냄새 질(Odor Quality) 판정 등 악취의 성질을 표현하는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Biofil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Gases (생물탈취상에 의한 도시폐기물 매립지가스내 악취물질의 처리)

  • 남궁완;박준석;황의영;이노섭;인병훈;김정대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4 no.1
    • /
    • pp.85-96
    • /
    • 1999
  • Biofiltration is an attractive technique for elimination of VOCs and odorous compounds from low-concentration, high-volume waste gas streams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cost-effectiven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including $H_2$S, $NH_3$End BTEX in MSW landfill g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Nanjido landfill site. A compost from the Nanjido composting facility was used as a filling material for biofiltration. Extracted landfill gases were injected into biofilter reactors after mixing with air.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n incubator being set to $20^{\circ}C$ $H_2$S concentrations were monitored at the depths of 25, 50, 75 and 100cm from the bottom Of the biofilter reactors. 98% of $H_2$S was removed at the filling depth of only 25cm. NH$_3$removal rate was about 85%. Toluene removal rate was the highest among BTEX. Significant pH drop of a filling material was not observed during the biofilter operation of 1 month. Without mixing the landfill gas stream with all, the removal rate of $H_2$S decreased down to 30%.

  • PDF

Real-time Monitoring Systems for Malodor Compounds Sources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s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악취유발물질 배출원의 모니터링 시스템)

  • Lee, Hyung-Don;Lim, Hae-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2
    • /
    • pp.856-865
    • /
    • 2012
  • Maintenance systems are demanded to manage malodor-information and deal effectively with the odor-related civil complaints by constructing the database for sources of malodor compounds in real time. In this paper, to carry out these tasks, a real-time monitering system for malodor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s(USN) is presented. The constructed monitering system stores the malodor data collected periodically from industrial complex into the database and shows in real time the circumstances of the odor sources being emitted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 by indicating on the map where it is taking place. Besides, by clicking an icon indicating the sensor node on the map, we can figure out what firms are located near the malodor source and possible material related with those firms. The proposed system is consider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of malodor-emitting firms based on the malodor-related information.

Biofilter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 윤인길;박창호;권오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39-240
    • /
    • 2000
  • 열건조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발생하는 VOC의 분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물여과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현장 생물여과기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물질은 총 50여 가지 물질이 검출되었다. 주요 악취 유발물질은 isoprene, dimethyl sulfide (DMS), dimethyl disulfide (DMDS), limonene 등으로 파악되었다. 칼럼 반응기를 이용한 휘발성 물질 분해는 20일 정도의 적응기 후 제거되었으며, 제거 효율은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