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프리카 문화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아프리카문학의 한국적 수용현황

  • 박남정
    • 출판저널
    • /
    • 통권94호
    • /
    • pp.17-17
    • /
    • 1991
  • 지금까지 우리에게 소개된 아프리카문학은 그동안 알게 모르게 통념화돼 있던 세계문학의 공식을 깨뜨리는 데 일정한 기여을 했을 뿐 아니라 우리문학의 방향성 자립에도 유효한 관점을 제시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양으로 볼 때 우리의 아프리카문학 수용현황은 지극히 일면적이다.

  • PDF

응구기와 시옹오의 범아프리카주의 - 포스트식민 국가를 넘어서는 주변부의 기억과 연대 (Ngugi wa Thiong'o's Pan-Africanism: People's Memory and Alliance to Overcome Postcolonial Nations)

  • 이효석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107-129
    • /
    • 2016
  • 근대 이후 많은 지역이 국가 단위를 넘어선 대륙 단위의 통합체를 구상한 바 있다. 오래 전부터 지구촌의 각 대륙에서는 범아랍주의, 범라틴아메리카주의 나아가 범아시아주의를 구상한 사상가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이것들이 국민국가의 틀을 넘어선 지역과 세계의 행복한 관계를 구현할 수 있는 체제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지역 내의 국가를 하나로 묶는 작업은 국민국가의 폐쇄성을 넘어선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지만, 그것이 그 지역이 공유하는 문화적 가치와 다른 지역과 다른 역사적 특징과 지역적 경계를 전제한다는 점에서 세계시민주의와도 구별된다. 이러한 사상이 유럽연합이나 남미국가연합처럼 구체적인 정치적 행동으로 나타나게 될 때 국민국가처럼 일정한 폐쇄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점은 분명하다. 국민국가와 세계 사이의 중간지대를 지향하는 이러한 운동을 우리는 '국가를 넘어선 국가주의'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케냐라는 국민국가의 차원에서 외세로부터의 경제적, 문화적 자주독립과 독재로부터의 민중의 해방을 위해 활동해 온 응구기는 아프리카연합에 주목하면서 이 기구가 지향하는 범아프리카주의는 유엔, 미합중국, 유럽연합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응구기는 현재의 아프리카의 질곡은 다양한 문화적 기원을 가진 부족들이 혼재하던 공간에 인위적인 국경선을 채우고 그 공간 속을 살게 된 아프리카인들이 국민국가의 이기적인 틀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는 범아프리카주의를 통해 동일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아프리카의 구성원들이 근대 국민국가의 과도한 쇼비니즘적 욕망을 제어하는 민중의 연합을 꿈꾼다.

현대아프리카사회의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 황문성
    • 도서관문화
    • /
    • 제31권2호통권261호
    • /
    • pp.48-53
    • /
    • 1990
  • 윗글은 현재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Ibadaneogkr 교수로 재직중인 필자가 작년 8월 프랑스 빠리에서 개최된 제55차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총회에 참석하여 발표한 것으로 우리의 한국도서관계의 발전방안모색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이다.

  • PDF

쌀의 역사와 식미

  • 김성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주식문화
    • /
    • pp.24-48
    • /
    • 2003
  • 인류는 수렵시대를 거쳐 기르고 가꾸는 법을 터득하면서 농경시대를 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특정한 지역에서만 잘 자라는 작물이 있음을 알게 되고 이들 작물은 그 지역 인류에게 먹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이러한 인류의 먹이에 대한 취사선택 과정에서 식문화라고 하는 독특한 문화의 갈래가 나타나게 되었다. 주식의 생산과 이용에 따라 보면 동남아 지역은 쌀, 북미, 호주와 옛 소련지역은 감자, 밀, 고기, 멕시코와 아프리카 동부는 잡곡, 남미와 아프리카 중부는 서류와 과실, 지중해 연안은 밀과 채소를 중심으로 하는 식문화를 이루고 있다.(중략)

  • PDF

국내 아프리카 연구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Task of African Studies in Korea)

  • 홍명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44권
    • /
    • pp.373-391
    • /
    • 2016
  • 한국의 아프리카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상의 마지막 블루 오션이라는 인식과 함께 시작된 최근의 활발한 아프리카 연구는, 최근 몇 년간의 비약적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는 아프리카 연구의 학문적 편중성이다. 국내에서 생산된 석박사 논문과 전문학술지 논문의 60% 이상이 사회과학, 그 중에서도 정치 경제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아프리카에 대해 경제적 목적 일변도의 편향된 이해를 불러올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최근의 활발한 아프리카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피상적인 인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아프리카 연구의 결과들이 일반 대중과 젊은 세대들에게 공유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아프리카 연구 주체들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분야별 연구의 틀을 벗어나 종합적인 아프리카 연구의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다시 보기 -초.중학교 사회 교과서 아프리카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Viewing Africa based on 'Factual Contents' and 'Representation' : Centered on Africa Cont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김다원;한건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40-458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 간 이해, 인종주의적 편견 해소 등과 같은 문제의식에 대해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세계지역 내용 구성 및 내용 서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 중학교 사회교과서 아프리카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환경 서술 영역에서는 지리적으로 다양한 장점을 지닌 지역으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문화 역사 서술 영역에서는 다양한 민족과 국가로 이루어진 다양성의 아프리카로서의 재현보다는 과도한 일반화와 단순화로 인해 아프리카 문화와 역사에 대한 고정관념과 왜곡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었다. 자원 산업 서술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발전의 모습 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어 재현되었고, 변화의 모습 보다는 정체적이고 낙후된 지역으로서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었다. 이제는 '동일한 문화와 특성을 지닌 아프리카'에 대한 이미지 보다는 그 안에 살아 숨쉬고 있는 '다양하고 다층적이며 역동적인 아프리카'의 실제 모습을 보거나 떠올릴 수 있는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 PDF

한국 사회에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의 제 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과정 (A Journey of an African American'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ing in the Korean Community)

  • 엘라 키드;허선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27-539
    • /
    • 2017
  • 본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의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제 2 언어 학습 경험을 조사하였다. 한국에 많은 다문화 가정들이 있지만,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의 제 2 언어 학습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과거에, 몇 몇 미국 연구자들은 아프리카계 미국 학생들을 학습부진아들로 분석하였지만, 그들의 제 2 언어 학습의 성공적인 사례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질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본 연구자들은 메리라는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학생을 인터뷰하고 관찰조사 하였다. 또한, 메리의 어머니,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을 인터뷰하여, 메리의 한국어 발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 메리의 한국어 화자로서의 노력은 가족, 한국사회, 그리고 친구들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메리는 언어 발달에 있어서 특별한 사회적 조직적 지원들을 경험했음을 또 한 묘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다문화 학습자들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습자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토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