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크폭발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154 kV급 절연부싱에서의 폭발사고 원인분석 (The cause analysis of explosion on bushing of 154 kV cable)

  • 송길목;방선배;김종민;김영석;최명일
    • 한국화재조사학회학술대회
    • /
    • 한국화재조사학회 2011년도 제21회 춘계학술대회
    • /
    • pp.137-160
    • /
    • 2011
  • 본 사고분석을 통해 154 kV 절연부싱에서의 폭발사고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결과적으로, 절연부싱의 사양은 국제표준에 적합하였다. 사고당일 기록된 자료에 의하면 R상과 S상에서 거의 동시에 지락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지락지속시간은 약 75 ms로써 사고의 영향을 준 시간은 약 67 ms인 것으로 나타났다. R상은 아크에 의한 탄화 흔적, S상은 아크에 의한 탄화흔적과 외부열에 의한 탄화흔적, T상은 외부열에 의한 탄화흔적, 용융흔적은 R상과 S상의 케이블접속부와 플랜지에서 각각 발생하였다. S상의 절연부싱을 이용하여 탄화패턴 중 아크에 의한 것과 일반 열에 의한 것을 분류하여 연면방전이 발생한 것을 입증하였다. 사고추정 시나리오는 현장조사과정에서 나타난 현상과 목격자 진술, 사고원인 분석자료 등을 토대로 하여 작성되었다. 따라서 사고추정을 통해 분석된 자료는 아크생성단계, 열폭주 단계, 폭발단계, 화재단계로 구성하였다. 사고원인 가능성은 사고의 원인, 형태, 영향을 통해 나타난 연결고리를 검토하여 가능성이 낮은 부분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절연부싱의 사고원인은 표면의 오염물질 부착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이를 근거로 하여 제조, 시공, 관리적 측면에서의 방지대책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저항회로의 개폐불꽃에 의한 폭발성 가스의 점화한계에 관한 연구

  • 김재욱;이춘하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7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9-134
    • /
    • 1997
  • 가스폭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폭형 전기기기중에서 본질안전 방폭구조는 폭발위험장소에 설치되는 전기기기 및 배선의 어떤 부분에서 정상동작 및 사고시(단락, 지락, 단선 등)에 발생하는 불꽃, 아크, 과열이 주위에 있는 폭발성 가스에 점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로서,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폭발성 가스의 점화한계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원리이며 국내외에서 사용이 증가추세에 있다. (중략)

  • PDF

아크릴릭산의 연소특성치의 신뢰성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for Acrylic Acid)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4권3호
    • /
    • pp.20-26
    • /
    • 2015
  • 아크릴릭산 연소특성치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폭발한계에 대해서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Setaflash와 Pensky-Martens 밀폐식 장치에 의한 아크릴릭산의 하부인화점은 $48^{\circ}C$$51^{\circ}C$로 측정되었으며, Tag와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56^{\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아크릴릭산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17^{\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과 상부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2.2 Vol%, 상한계는 7.9 Vol%로 계산되었다.

Arc Fault에 의해 발생되는 배전반 내부의 압력변화에 대한 전산해석 및 실험적 연구 (Analysis and Experiment of the Pressure Rise in Switchgear of Arc Fault)

  • 임남혁;민병수;김주연;박상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1176
    • /
    • 2004
  • To develop and improve a switchgear, the prediction of the pressure rising within the switchgear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sure rising characteristics of switchgear in order to evaluate the result of arc fault test. The pressure rising time at the four points of measurement calculated by CFD is well accor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aximum pressure within the switchgear estimated by CFD is about 1.0bar, the pressure from experiment is 0.7 b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ble to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switchgear and to develop a new type switchgear.

  • PDF

가스배관과 철탑접지의 이격거리 관련 기준 (Standards of Distance between Gas Pipeline and Tower Ground)

  • 이현구;하태현;하윤철;배정효;김대경
    • 한국가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1-195
    • /
    • 2006
  • 전력선에 지락고장이 발생할 경우 대지로 유입된 고장전류에 의하여 인접한 배관에 아크 용융이 발생하면 가스폭발이나 기름유출과 같은 대형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배관의 유지 및 보수를 담당하는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지를 통한 철탑과 배관 사이의 아크 발생에 대하여 알아보고,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철탑 인근에 매설된 배관의 이격거리 기준을 조사하였다.

  • PDF

가스배관과 철탑접지의 이격거리 관련 기준 (Standards of Distance between Gas Pipeline and Tower Ground)

  • 이현구;하태현;하윤철;배정효;김대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2
    • /
    • 2007
  • 전력선에 지락고장이 발생할 경우 대지로 유입된 고장전류에 의하여 인접한 배관에 아크 용융이 발생하면 가스폭발이나 기름유출과 같은 대형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배관의 유지 및 보수를 담당하는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지를 통한 철탑과 배관 사이의 아크 발생에 대하여 알아보고,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철탑 인근에 매설된 배관의 이격거리 기준을 조사하였다.

  • PDF

전력용 콘덴서의 화재메커니즘과 실제 화재상관관계 연구 (The Study Fire Mechanism and Real Fire Correlation of Power Condenser)

  • 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12-117
    • /
    • 2017
  • 본 논문은 전력용 콘덴서의 화재메커니즘에 대하여 실제 화재사례를 근거로 상관관계를 논한 것이다. 전력용 콘덴서의 고장 메커니즘에서는 7단계, 화재 발생메커니즘은 12단계로 분류되었다. 이 중 5단계인 보호회로의 보호계전기가 동작하는 과정은 고장시와 화재발생시의 메커니즘과 동일하였다. 6단계에서부터 화재 발생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전력용 콘덴서 내부의 연소현상 및 아크로 인한 가스발생으로 내부압력이 증가되어 화재 발생메커니즘 10단계에서 폭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1단계인 아크 등의 불꽃이 절연유와 함께 외부로 분출되고 2차 사고인 화재 발생으로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단계별 상관관계는 화재조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부스닥트용 에폭시 분체도료의 열 및 수중열화에 대한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about Thermal and Water Degradation of Epoxy Powder for Bus Duct)

  • 김현희;김상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7-22
    • /
    • 2009
  • 에폭시 분체도료는 부스닥트, 및 전기기기에 절연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진다. 특히 Coating 절연 방식의 경우 전류에 의한 줄 열로 인해 전기화재 및 폭발의 점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에폭시분체도료의 열화특성에 대해 절연파괴, 아크방전, 수명특성(V-t)을 중심으로 비교검토하고 이에 대한 기초데이터 확보 및 전기화재 원인인 절연특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절연특성은 시편 KS가 유리전이온도(Tg) 이전까지 $8{\sim}10%$ 정도의 감소로 안정적이었다. V-t 및 아크방전특성의 경우, 열화시편에서도 안정적 특성을 유지하였다. 열화에 의한 전기적특성의 경우 시편KS가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과전류 차단과 보호협조 성능이 향상된 한류형 COS 퓨즈링크 개발 (Development of Current Limiting COS Fuse Link with Improved Overcurrent and Protection Coordination performance)

  • 김윤현;김영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29-136
    • /
    • 2020
  • 컷아웃스위치(COS: Cut Out Switch 이하 COS)는 전력계통에서 수용가로 전력을 송배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압기의 입력단에 설치되어 사고전류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호장치이다. COS는 크게 퓨즈링크와 COS몸체 및 접속부로 구성되어 사고전류시 퓨즈링크의 엘리먼트가 용단되어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COS 퓨즈링크가 용단되어 발생하는 강력한 아크가 화염과 소음을 유발시켜 주변지역 거주자에게 불쾌감 및 공포감을 주며, 아크화염으로 인하여 주변기기의 2차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 동작 시 발생되는 아크와 소음 및 보호협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폭발형이 아닌 한류형 COS 퓨즈를 개발하였다. 또한 과전류 차단 기능이 없는 한류형 퓨즈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퓨즈 엘리멘트, 스트라이커와 COS 퓨즈금구 개발을 통하여 과전류 차단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COS의 동작 특성 향상은 퓨즈 엘리멘트의 최적 형상 도출, 스트라이커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동작선의 재질과 두께 및 저항 산정, 그리고 스트라이커와 연계된 하부금구류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OS 퓨즈링크는 공인기관의 시험을 통하여 차단성능과 보호협조 성능을 검증하였다. 시험은 본 연구의 한류형 COS와 기존의 폭발형 비한류형 COS의 비교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345 kV 케이블 종단접속부에서의 폭발사고 원인분석 (The cause analysis of explosion on junction termination of 345kV cable)

  • 송길목;방선배;김종민;김영석;최명일
    • 한국화재조사학회학술대회
    • /
    • 한국화재조사학회 2011년도 제20회 추계학술대회
    • /
    • pp.63-79
    • /
    • 2010
  • 345 kV 케이블의 종단접속부에서는 다수의 아크흔적이 발견된다. 재료분석에 의하면 케이블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된다. 제조 및 설계상의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공상의 결함요인 중 절연유 레벨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XLPE에서는 다수의 Arc trace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oots mark가 없고, Yellow band 확인되지 않았으며, 방사형의 spider leg와 연결되지 않은 아크흔적이 없다. 이견사항으로는 XLPE의 내부에 보이드, 이물질 또는 돌기로 의심되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XLPE에서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절연파괴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