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이템의 수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경매 방식 전자상거래 설계 기법 (A Design Method of Auction type e-Commerce for Online Game Items exchange)

  • 김종수;김태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3-160
    • /
    • 2010
  • 일반적인 온라인 게임의 목표는 자신이 소유한 캐릭터의 레벨을 얻는 것인데, 캐릭터의 성장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에 맞는 아이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지만 각 유저들이 게임 중에 획득하는 아이템은 자신이 소유한 캐릭터의 특징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각자의 아이템을 교환한다. 아이템을 교환하는데 있어서 게임이 제공해주는 기능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게임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매매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아이템 거래 사이트처럼 다양한 거래 방식을 게임 내에서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매매 방식 외에 경매와 같은 방법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아이템 거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인터넷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몇몇 온라인 게임에서 구현된 아이템 매매 기능과 인터넷 아이템 거래 사이트의 기능을 분석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린 경매방식 전자상거래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특정한 아이템을 매매하고자하는 사용자들이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고, 다양한 거래 방법을 통하여 필요한 아이템을 매매할 수 있다.

상이한 특성을 갖는 아이템 그룹에 대한 가중 연관 규칙 탐사 (Weighted Association Rule Discovery for Item Groups with Different Properties)

  • 김정자;정희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84-1290
    • /
    • 2004
  • 장바구니 분석에서, 가중 연관 규칙 탐사는 특정 상품에 대한 아이템의 중요도를 반영함으로써 더 많은 이익을 주는 정보를 규칙으로 탐사하였다. 그러나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아이템들이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나누어진다면, 각 그룹의 특성을 반영하는 서로 다른 측정 방법으로 평가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가중연관규칙 탐사 방법을 적용할 수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중 연관 규칙의 새로운 탐사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각 아이템들은 유사한 특성에 따라 서브 그룹으로 나누고, 아이템 중요도(아이템 가중치)는 서브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들 단위로 계산한다 이때 적용되는 여러 가중 인자들은 아이템의 특성을 반영하는 아이템 그룹별로 재 정의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에 적용하여 위험을 일으키는 요소에 대한 위험 규칙 집합을 생성함으로써 네트워크 위험관리의 정성평가와, 규칙 생성 시 적용된 가중치와 같은 여러 통계인자들에 의해서 위험도를 계산함으로써 정량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데이터 아이템들이 상이하게 구별될 수 있는 특성을 만족하는 마켓 데이터의 새로운 응용분야에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연관 아이템 트리를 이용한 추천 에이전트 (A Recommender Agent using Association Item Trees)

  • 고수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4호
    • /
    • pp.298-305
    • /
    • 2009
  • 협력적 여과 시스템은 내용 기반 여과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흥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을 경우 추천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여과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관 아이템 트리를 이용한 추천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벡터 공간 모델과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군집시킨 후 그룹의 대표 평가값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군집된 그룹별로 아이템간의 상호정보량을 계산하여 아이템간의 연관도를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연관 아이템 트리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한 각 그룹의 연관 아이템 트리와 그룹의 대표 평가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한다. 제안된 추천 에이전트는 사용자 정보와 아이템 정보를 병합하여 새로운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하며, 아이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상호정보량을 사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관 아이템 트리를 생성함으로써 초기에 아이템에 대하여 평가한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에게 정확도가 높은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안된 방법은 MovieLens 추천 시스템의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 방식이 사용자의 재미와 유용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The Effects of Users' Motivation on their Perception to Trading Systems of Online Game Items)

  • 이기호;최보름;이인성;정승기;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15
    • /
    • 2007
  • 최근 온라인 게임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은 컴퓨터 게임의 장르 중에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을 매일 즐기고 있다. 온라인 게임 시장이 커지면서,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 시장 역시 성장하고 있으며, 온라인 게임 아이템은 게임 안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게임 밖에서도 실제 화폐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 게임 아이템에 대한 경매 사이트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존재하여 활발히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2004년에는 게임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서 최대 8억 8000만 달러에 이르는 실제 화폐가 지불될 정도로 게임 아이템의 거래 시장은 거대하다. 이렇게 규모가 커진 게임 아이템 거래 시장은 학술적으로, 실용적으로 많은 중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몇몇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연구는 게임 아이템의 권리를 중심으로 연구가 되었으며, 게임에 대한 많은 연구는 게임 아이템보다는 몬스터와 싸우는 것이나 게임 캐릭터를 만드는 것과 같은 게임 플레잉 설계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분야에서는 사용자들이 거래를 통해 최대한의 이윤을 얻기 위할 것이라는, 즉 외적 동기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거래의 효율성과 거래 비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아이템은 실용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유희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에서 사용자는 외적 동기뿐만 아니라 내적 동기도 함께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거래 비용이론과 몰입, 그리고 재미와 관련된 이론을 바탕으로,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 방식이 사용자의 지각된 재미와 사용자가 느끼는 거래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방법론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거래에서 내적 동기를 가진 사용자는 게임 아이템 거래 의도에 지각된 재미가 거래 비용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외적 동기를 가진 사용자는 게임 아이템 거래 의도에 지각된 거래비용이 지각된 재미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거 대부분의 관련 연구가 거래 방법의 유용성만을 강조해왔던 것과는 달리, 거래 자체의 재미와 즐거움,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몰입 등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거래 비용 이론을 확장했다는 데 이론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실용적 측면에서 게임 아이템 거래 방식을 어떻게 설정해야 사용자들에게 유용성과 더불어 재미를 제공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온라인게임 아이템의 재물성에 대한 재검토 (Reinterpretation on Propertiness of Online Game Item)

  • 유인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53-160
    • /
    • 2013
  • 온라인게임은 게임의 흥미를 더하기 위하여 게임도구인 아이템을 사용한다. 게임이용자들은 더 높고 더 강한 레벨의 아이템을 원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요와 공급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문제는 이러한 아이템의 거래과정에서 빈번하게 불법행위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 중 해킹 등 어떠한 방법이든지 권원없이 타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아내어 아이템을 훔쳐가거나, 위탁관리하고 있는 아이템을 되돌려주지 않거나, 절취한 아이템을 그 정을 알고 있는 타인에게 주거나, 타인의 아이템을 손괴하는 등의 행위에 대해서는 형법상 재산에 관한 죄를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현행 법리상 아이템을 재산죄의 객체인 재물로 인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가상공간의 아이템은 형법상 보호할 가치와 필요성이 있는 새롭게 등장한 재화이다. 형법은 현실적 범죄행위와 법규범과의 유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대적 현실문화와 가치를 반영하여야 한다. 가상공간은 가상공간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재물성의 성립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합리적이므로 확장해석에 의한다면 아이템을 형법상 유체물의 범위에 포섭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시대의 시대적 요청에 의한 제346조의 재물성의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BMO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업 아이템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usiness Item Selection using BMO Evaluation Program)

  • 문송철;노시춘;김대응
    • 서비스연구
    • /
    • 제3권1호
    • /
    • pp.1-7
    • /
    • 2013
  • 사업 아이템을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한 가지 사업을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사업 아이템 중에서 가장 적합한 사업 아이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기위하여 비주얼베이직을 이용해 각 사업 아이템별로 기술력, 자본금, 경영능력, 마케팅, 매출가능성, 미래성장상품성, 경쟁상품예상, 제품독창성, 매니지먼트 등의 값을 입력하여 종합점수가 가장 높은 사업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업은 처음에 본인의 상황에 맞는 사업을 잘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러 가지 사업 아이템을 놓고 결정하기 어려울 때 가장 적합한 사업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 홍대웅;이일한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41
    • /
    • 2017
  •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종구분 없이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SmartPLS 2.0를 이용해 빈도분석(頻度分析), 신뢰도분석(信賴度分析), 그리고 구조모형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빈발 패턴 네트워크에서 연관 규칙 발견을 위한 아이템 클러스터링

  • 오경진;정진국;조근식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
    • pp.321-328
    • /
    • 2007
  • 데이터마이닝은 대용량의 데이터에 숨겨진 의미있고 유용한 패턴과 상관관계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작업이다. 그 중에서도 고객 트랜잭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규칙을 찾는 것은 중요한 일이 되었다. Apriori 알고리즘 이후 연관규칙을 찾기 위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압축된 의미있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정점으로 아이템을 표현하고, 간선으로 두 아이템집합을 표현하는 빈발 패턴 네트워크(FPN)이라 불리는 새 자료 구조를 제안한다. 빈발 패턴 네트워크에서 아이템 사이의 연관 관계를 발견하기 위해 이 구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 하느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조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한 아이템이 클러스터 내의 아이템과는 유사도가 높고, 다른 클러스터의 아이템과는 유사도가 낮도록 네트워크의 정점을 클러스터링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실험은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간선 가중치 유사도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아이템 클러스터링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를 통해 신뢰도 유사도가 네트워크의 정점을 클러스터링할 때 클러스터의 정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데이터 방송 스케줄링에서 핫아이템과 콜드아이템의 분리를 위한 효율적인 컷오프 포인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Cut-off Point between Hot and Cold Items for Data Broadcast Scheduling)

  • 강상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845-852
    • /
    • 2010
  •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메시지의 통계를 바탕으로 하여 방송 서버는 데이터 아이템에 대하여 최적의 컷오프 포인트를 이용하여 핫 아이템과 콜드 아이템으로 나눈다. 핫 아이템은 주기적으로 방송되는데 이 때, 방송 주기는 아이템들의 인기도, 즉 요구확률에 따라 정해진다. 핫 아이템이 방송되지 않은 빈 슬롯에는 적절한 콜드 아이템을 골라 방송하게 되는데, 이 때 대기시간과 대기 중인 요구 메시지의 수 등을 고려하여 콜드 아이템을 정한다. 최적의 컷오프 포인트를 해석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평균 응답시간을 컷오프 포인트의 함수로 나타나도록 계산하였다. 요청 도착율과 아이템의 인기도를 변화하면서 수행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더욱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온라인게임 유저의 과금 성향 분석 (The Study on Game Users' Payment Intention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 김은비;위정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7-130
    • /
    • 2021
  •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기능성 아이템과 장식용 아이템, 두 집단 간의 아이템 중요도 및 과금에 대한 생각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기능성 아이템을 구매하는 유저는 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때 경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투력과 능력치 요소가 함유된 유료 아이템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장식용 아이템을 구매하는 유저는 자기만족감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캐릭터의 외형 변화를 통한 치장과 이러한 치장용 아이템 수집욕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아이템 구매를 통해 게임의 재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나아가 게임 캐릭터를 통해 자기 자신의 투영과 '또 다른 나'를 인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