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버지 의사소통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구조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 이지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021-103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mother,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The other was to test the structural equivalence among researched variabl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amples. The subjects were 419 sophomor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hile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2) Ego-identity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mediated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mother in school adjustment. 3) Multiple-group analysis reveale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had the same structural relationships, but had different regression weights.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 정연호;류점숙;신효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5-158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에게 가족내에서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남지역 고등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차이는 부개방형은 출생순위에 따라, 부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 가족형태에 따라, 모개방형은 성별에 따라, 모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장자가 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고 막내인 경우에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가족인 경우에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을 살펴보면 가족 응집성은 성별과 생활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가족 적응성은 성별 출생순위,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인 경우, 독자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적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지각되었다. 셋째, 가족 응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이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적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아버지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않을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일수록 가족 적응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 PDF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 및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 장영애;이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29-54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on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182 children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grade, gender,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Secon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arenting behavior, warmth acceptance, rejection restriction and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s, and to leisure activity, life guidance, study guidance of parenting involvement and to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Third, It was also found that children's grade, gender,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armth acceptance behavior,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s and open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parents should be warmer and more accepting and have open commnication with their children.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의사소통, 중학생의 자아관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th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 채진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39-48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ested a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relating the variables to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2,829 (1,411 boys and 1,418 girls) pupil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Survey on the Familial Consciousness of Youth and Parents (KSYC-Familial Consciousness) in 2010.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18.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oposed model, as revised,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llustrated that all three variables (fathers' parenting behavi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self-concept) indicated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Fathers' parenting behavior had the greatest total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Fathers' parenting behavi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self-concept explained 59% of the total vari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ren's Happiness)

  • 황연덕;이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236
    • /
    • 201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fathers and their children's happin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09 elementary school (225 5th, 6th graders) and middle school (284 1st, 2nd graders) students in Seoul and Jeonju city.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Barnes & Olson, 1982), the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s (Moon, 2002), and the Happiness Inventory for Children (Lee, 2005).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0 ver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a father's communication style on children's happin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onclusio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s a mediating effect upon a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it relates to the happiness of their children.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과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steem of Children)

  • 홍연란;최청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17-223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고학년 472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를 수행하였고 어떠한 독립변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그 다음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교성적(r=-.245 p<.001), 경제상태(r=-.189 p<.001), 어버지의 학력(r=.193 p<.001), 어머니의 학력(r=.136 p=.003), 가정분위기(r=-.256 p<.001), 아버지와의 의사소통(r=.345 p<.001), 어머니와의 의사소통(r=.503 p<.001), 양육태도(r=.421 p<.001)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은 학교 성적, 양육태도,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모형은 투입된 요인을 통하여 32.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련되는 가정적, 환경적 변인을 고려하여 성장하고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및 중재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 이신애;방윤이;임윤미;민혜영;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88-196
    • /
    • 2018
  • 본 연구는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S 도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교의 여대생 151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스마트폰 중독, 우울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1월 1일에서 12월 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35.08(SD=6.83)점으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이며 문제가 있다고 인식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beta}=.27$, p=.028).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7$, p=.030). 여대생의 우울은 15.86(SD=10.45)점으로 45% 정도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으며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문제가 있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beta}=.29$, p=.022).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여대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의 정도를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의사소통보다는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는 개방적인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맞춤형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이다.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The Study of the Comparison on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권진;박지은;오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5-8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09년 한국 아동 청소년 온라인 게임 및 가족여가활동 실태 조사"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남자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공통적으로 평일 평균 게임시간과 일요일 및 공휴일 및 게임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 여가 장애 수준이 높을수록 게임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의사소통 변수 또한 게임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생의 경우 어머니와 문제형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경우 아버지와 문제형 의사소통과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올바른 인터넷 사용법 및 인터넷 게임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발달특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 (Belief in the value of children's father, grow, influence parenting participation on the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change factor)

  • 전홍주;조수경;김미정;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78-268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의 발달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그의 아버지이며 이를 대상으로 한 육아 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자녀가치는 영아의 문제해결능력, 소근육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영아의 대근육 활동에는 아버지의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영아의 의사소통, 개인-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아버지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 서용원;이지숙;김현순;임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73-18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 1일부터 한 달 간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소재하는 4개의 중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에서 중학생 399명, 고등학생 366명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부적 상관관계가, 우울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 결정유형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중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