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버지 역할수행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5초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역할수행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Father's Participant Program at Kindergarten : Influences o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양진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17-44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fter fathers' participating in the father's program at kindergarten. Subjects were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H kindergarten, 38 fathers (18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s) and 38 mothers (wiv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athers).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Findings were that : father's participant program at kindergarten affecte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reduction : the experimental group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was improv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mothers' parenting str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아버지의 부성경험: 다양한 역할수행의 긴장과 갈등 (Men's fathering experiences focused on tensions and conflict of multiple roles)

  • 양소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75-383
    • /
    • 2013
  • 본 연구는 기혼 유자녀 맞벌이 남성의 부성역할 수행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과 문서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맞벌이 아버지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분석적 귀납에 근거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바람직한 아버지 상에 대한 인식과 실제적인 역할 수행의 불일치, 생계부양자와 돌봄 제공자 역할 수행으로 인한 긴장, 그리고 자녀에 대한 헌신과 직업적 성취욕구 간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갈등은 점진적으로 가족 의사소통과정에서의 소외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토대로 아버지의 적극적인 가족생활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 제고방안과 함께 가족, 노동시장, 지역사회, 그리고 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접근과 제도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한국사회 부성의 구조 - 딸들이 기억하는 아버지 - (Structure of fatherhood in Korea: Fathers whom daughters remember)

  • 정진성
    • 페미니즘연구
    • /
    • 제9권1호
    • /
    • pp.79-111
    • /
    • 2009
  • 이글은 서울대 여성연구소가 학력, 연령, 지역을 고려하여 선정한 38명에 대하여 '모성'을 주제로 시행한 구술생애사 면접조사 자료에서, 모성에 관한 이야기 틈틈이 발견된 아버지에 대한 기억들을 정리한 것이다. 38명의 구술은 아버지의 역할과 관련하여, 첫째, 아버지에 대해 전혀 말하지 않은 사람(5명), 둘째, 아버지에 대해서 간단한 부정적인 언급을 한 경우(5명), 셋째, 아버지가 경제적으로 무능력했지만 훈육과 따뜻한 보살핌을 준 경우(6명), 넷째,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 아버지(11명), 그리고 다섯째, 아버지와 매우 친밀하고 아버지 역할이 중요하게 구술된 경우(12명, 그중 1명은 경제적 무능으로 세 번째 범주에도 속하여 겹침)로 유형화된다. 이 연구결과는 보편적 부성의 존재와 함께, 부성없는 부모됨이나 전통적 부성-새로운 부성의 이분법, 그리고 사회변화와 함께 등장한 새로운 부성의 명제가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부정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것은 양육적 부성의 다층성과도 연관된다. 또한 대체로 따듯하고 양성평등의 가치관을 가진 아버지가 딸의 임파워먼트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아버지 역할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Needs for Father's Roles Education Programs - Focusing on the Fa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

  • 정회연;김진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가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 역할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프로그램 실시에 관련된 요구도를 조사하여 남성의 아버지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아버지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관심을 갖는 프로그램의 주제가 다르다.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주 1회 90분 정도로 진행되는 4주 정도의 프로그램이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형식으로는 적합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주말보다는 평일에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교육 시간대도 일과 시간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어 프로그램 운영의 주체가 학교나 직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Children's Sociality and Perceptions of Fathering Practice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송요현;현온강
    • 아동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9-3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fathering practice and their sociality. The subjects were 569 grade 6 students and 511 grade 3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ajor results showed (1) the effectiveness of quantity; that is, children's sociality increased with increase in fathering practice. (2)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fathering practice and children's sociality was higher in middle childhood than in early adolescence. (3) Children's sociality was influenced by child variables and fathering practice variables, especially more by the variables of Fathering Practice. Among the variables of Fathering Practice Scales, the variable of "Education of children" is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for improving "Children's Soci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