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of fatherhood in Korea: Fathers whom daughters remember

한국사회 부성의 구조 - 딸들이 기억하는 아버지 -

  • Received : 2008.08.01
  • Accepted : 2008.08.28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paper analyses the stories of 38 women of the in-depth survey, enforced by the Institute for Gender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urvey focused on motherhood, but many memories were told by most of women. That shows strong existence of fatherhood in the process of personality formation in Korean society. The stories of 38 women could be divided into 5 types: (1) 5 cases where there is no mention about father; (2) 5 cases where simple and negative mentions are made about fathers; (3) 6 cases where no instrumental fatherhood but expressive fatherhood is found; (4) 11 cases of women who experienced both instrumental and expressive fatherhood, and (5) 12 cases (1 case is overlapped with one of the 3rd type)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daughter and father is very close. The analyses denies the dichotomy of instrumental and expressive fatherhood, and the theories of "New Men" with expressive fatherhood who appeared as a result of social change and feminist movement. It also shows the various aspects of expressive fatherhood, and that clos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empowerment of daughter.

이글은 서울대 여성연구소가 학력, 연령, 지역을 고려하여 선정한 38명에 대하여 '모성'을 주제로 시행한 구술생애사 면접조사 자료에서, 모성에 관한 이야기 틈틈이 발견된 아버지에 대한 기억들을 정리한 것이다. 38명의 구술은 아버지의 역할과 관련하여, 첫째, 아버지에 대해 전혀 말하지 않은 사람(5명), 둘째, 아버지에 대해서 간단한 부정적인 언급을 한 경우(5명), 셋째, 아버지가 경제적으로 무능력했지만 훈육과 따뜻한 보살핌을 준 경우(6명), 넷째,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 아버지(11명), 그리고 다섯째, 아버지와 매우 친밀하고 아버지 역할이 중요하게 구술된 경우(12명, 그중 1명은 경제적 무능으로 세 번째 범주에도 속하여 겹침)로 유형화된다. 이 연구결과는 보편적 부성의 존재와 함께, 부성없는 부모됨이나 전통적 부성-새로운 부성의 이분법, 그리고 사회변화와 함께 등장한 새로운 부성의 명제가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부정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것은 양육적 부성의 다층성과도 연관된다. 또한 대체로 따듯하고 양성평등의 가치관을 가진 아버지가 딸의 임파워먼트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4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다(KRF-2004-074-BS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