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버지의 양육참여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9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역할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 The Role of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 윤서희;성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99-222
    • /
    • 2014
  • This study sought to illuminate a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involvement on the associ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s emotional 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292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ged between 4 and 5. The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province in Korea. The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al efficacy,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ere distributed to mothers through their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lthough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relatively higher effects up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an their fathers' involvement, the effect of a fathers' involvement was still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fathers'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moderated the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comprehension and regulation(one of the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아버지의 직무스트레스와 양육태도가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Father's Occupational Stress and Rearing Attitude on Rearing Participation)

  • 양미란;김은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9-42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ther's occupational stress and rearing attitude on rearing particip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1 fathers who are raising children in J reg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using questionnaire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tes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total mean scores of occupational stress on the subjects were 40.98(${\pm}8.36$), rearing attitude were $68.54({\pm}7.18$), rearing participation were $73.16({\pm}11.34$). The study showed that occupational stres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aring participation and rearing attitud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aring participation. Working style and rearing attitude were identified of rearing participation. Conclusion: A father's rearing participation level was influenced by father's attitude of caring children above all. In addition, fathers' working styles were also a main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athers to learn rearing attitudes in a way that can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ncrease their rearing participation level.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Involvement of Mother and Father)

  • 장영애;이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19-62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involvement on pro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149 mothers, 149 fa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Duncan's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chool children behaved prosocially more when their mothers or their fathers took warmth-acceptance of parenting behaviors. They showed lower prosocial behaviors when their fathers conducted more rejection-restriction or more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of parenting behaviors. Second, preschool children prosocially behaved more when their mothers and their fathers were more involved in parenting. Thir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prosocial behaviors was warmth-acceptance of parenting behaviors of their mothers.

'아버지의 양육태도척도' 개발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ERNAL PARENTING INVENTORY')

  • 이종일;윤창영;송수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34-46
    • /
    • 1998
  • 이 연구는 최근 자녀양육에 있어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자들은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총 57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형 설문검사도구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설문을 서울과 부산에서 무작위 표집한 만 12세 이상의 자녀를 둔 정상가정의 어머니 126명에게 작성토록 하여 척도화 가능한 요인을 추출하고 그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능동적 참여’, ‘민주적 지도’, ‘적대’, ‘온정’, ‘교육열’의 5개 소척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의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계수는 각각 .82, .78, .65, .78, .61이었다. 또한 상기 5개 소척도, 총 29문항으로 구성된 최종적인 설문검사도구의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서울정신병원에서 치료 중인 환자로 DSM-Ⅳ 기준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과 제1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환자의 어머니를 각각 47명과 29명을 선정하였고, 대조군으로 만 18세 이상의 자녀를 둔 정상가정의 어머니 46명을 무작위 표집하였다. 변별타당도에서 ‘교육열’ 소척도를 제외한 소척도들은 정신분열병군 아버지와 대조군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잘 구별하고 있었으며 특히‘적극적 참여’, ‘온정’ 소척도에서는 대조군과 나머지 두 군 모두를 잘 구별하고 있었다.

  • PDF

아버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thers' Daily Stress and Child-Rearing Involvemen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 안설하;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4호
    • /
    • pp.89-103
    • /
    • 2012
  • Both direct and indirect courses are studied in this research to study the effect of fathers' daily stres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were 281 parents of children aged between 3 to 5 attending 9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Gyeonggi-do, Jeolla-do, and Gyeongsang-do areas. The data was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 AMOS 16.0 program. The main poi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course of fathers' daily stress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fathers' daily stress has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marital conflic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in the father's daily life, the deeper marital conflict that is found. And the deeper the marital conflict that exists, the lower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is shown. Third, the direct course of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Fourth,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marital conflict. That is, marital conflict decreases as the father becomes more involved in child rearing. In addition, the lower level of marital conflict that exists, the higher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책임성을 중심으로 본 남성들의 자녀양육 참여 (Study on Paternal Involvement in Responsibility of Child Rearing)

  • 유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5-61
    • /
    • 2017
  •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 및 생계부양 분담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 남성들의 양육 참여는 필수불가결한 현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여성이 항상 일차적 양육의 책임자인 현실에 문제제기 하면서 우리나라 남성들의 양육 참여를 책임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책임성이란 자녀를 위한 모든 사항에 대한 결정, 대비, 총괄하는 양육의 한 부분이다. 무엇보다 책임성은 성정치적 영역인 양육에서 진정한 양성 평등적 양육을 실현할 수 있는 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대기업에 재직하는 20-40대 남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양육 중 책임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남성들은 책임성에 속하는 양육에는 상대적으로 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책임성에 속하는 양육에는 참여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도 책임성을 중심으로 양육의 중심에 서야 한다는 필요성을 보임과 동시에, 관련 제도 및 정책에도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 이수미;민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9-22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how preschooler's adaptive temperament a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may be related to mother's chid-rearing stress. The subjects were 320 mothers whose children were 3, 4 or 5 age preschoolers attending day care centers in Keoungbok. Statistical techniques were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1.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adaptive temperament. 2.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3.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eschooler's adaptive temperament a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predictive to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preschooler's adaptive temperament was the stronger predictor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tha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preschooler's adaptive temperament on mother's child-rearing stress.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7-632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A total of 197 children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renting behavior index, a child-rearing involvement inventory, a father-child communication inventory, and a children's leadership index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a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the father's warmth/acceptance, the father's family activity involvement, and open/problem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 father and the child. The child's age, the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the father's warmth/acceptance, 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s 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hild's leadership may be strengthened if the father is warmer and more accepting and has open communication with the child.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아버지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ther's Play Beliefs on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 김정주;박형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48
    • /
    • 2017
  •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242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현지(2016)의 부모놀이신념 척도와 원희영(1998)의 부모 놀이참여 검사, 나은숙(2013)의 유아 놀이몰입 척도와 최혜영, 신혜영(2008)의 또래놀이행동 검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과 응답방법에 대한 안내지를 포함한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질문지를 가정에 배부하여 아버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은 담임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mediation model)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 중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사회 정서적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버지의 양육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실제적인 놀이참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아의 놀이만족과 건강한 놀이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과학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채유정;이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5-707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총 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3월,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부모양육행동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학생들은 자아존중감에 해당하는 10개 문항 모두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응답을 보였으며, 전체 평균이 4.36(SD= .546)으로 설문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지능 요소 중 정서의 사고촉진, 감정이입 영역에서는 4점에 매우 근사한 결과를 보여, 학생들이 이 영역에서 본인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에 대한 문항에서는 전체 평균이 3.89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르침, 신뢰(불신), 존중, 세 영역에서는 4.0(그렇다)에 근접하였으나 관심 영역에서는 평균3.57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평균은 4.10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관심 4.31, 가르침 4.20, 존중 4.01, 신뢰(불신) 3.96의 순서로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지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자아존중감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해당하는 네 가지 영역(신뢰, 존중, 가르침, 관심) 모두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아버지, 어머니 양육행동의 네 개 요소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존중' (${\beta}$=.422, p<.001)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신뢰' (${\beta}$=.450, p<.001)는 영재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14, p<.001)과 '신뢰' (${\beta}$=.280, p<.01),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50, p<.001)'과 '존중' (${\beta}$=.331, p<.01)이 영재학생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결론 및 논의에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