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메바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17초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혹은 대식가시아메바로 분류된 분리주간의 ribosomaIDNA conserved region의 PCR-RFLP의 다양성 (PCR and RFLP variation of conserved region of small subunit ribosomal DNA among Acanthamoeba isolates assigned to either A. castellanii or A. polyphaga)

  • 공현희;정동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2호
    • /
    • pp.127-134
    • /
    • 1996
  • 형태학적으로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혹은 대식가시아메바로 동정된 12 분리주들과 쿨버트손가시 아메바. 힐리가시아메바(Aconthomoeba hedwi) 팔레스타인가시아메바(A. plestinenis) 별가시아메바의 small subunitribosomal RNA유전자(ssu rDNA) 중 conserved region을 PCRR 증폭하여 제한효노절단부위를 비교하떴다. 별가시아메바의 PCR증폭 산물의 크기는 1.170 bp였고 나머지 분기주들의 것은 910-930 bp 사이였다 카스텔라너가시아메바로 분류건 여섯 주간의 추정 염기치찬율의 평근은 9.BPg였고. 대식가시아떼바로 분류된 분리주간의 그 평근은 9 6U였다. 카스텔 라니가시아메바로 분류된 여섯 분리주들 사이의 최대 염기치환율은 Chang주와 Ma주 사이의 (7 3%)였고 대식가시아메바로 분류된 여섯 분리주간의 최대 염기치환율은 1A/S3주와 KA/S7주 사이의 (16.1%)였다. 이들 종내 최대 염기치환율은 Castellani주 혹은 CCAP 1501/12g주와 KA/S3 주 사이에거 나타난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와 대식가시아떼바간의 종간 최소 염기치환율(2.6%)보 다 횔씬 컸나. 쿨버트손가시아메바. 힐리가시아메바 팔레스타인가시아메바 및 별가시아메바의 PCR-RFLP 양상은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또는 대식가시아메바로 동정된 분리주들의 것들과 그리 고 강호간에서도 높은 염기치환율(평균 23 6%)을 보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가시아메바속의 분류는 재평가 해 보아야 할 건으로 생각된다 A. healyi와 A. palestinensis의 우리말 이름을 각각 힐리가시아메바와 팔레스타인가시아메바로 제안한다.

  • PDF

우리 나라에서 분리한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Itica)와 동형아메바(Entamoebn dispar)의 감별 (Differentiation of Korean isolates of Entamoeba histolytica from Entamoeba dispar)

  • 최성준;이미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15-20
    • /
    • 1996
  • 이 실아메바(Entamoeba histoIytica)와 동형 아메바(Entamoebc dispar. 동형아메바)의 포낭은 형태학적으로 구분이 안되어 종 감별에 관하여 논란이 있어 왔다. 최근에 이 둘이 별종이며 특히 이질아메바는 병원성이고 동형아메바는 비병윈성입이 확인퇴어 그 감별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피었나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아메바 분리체를 중합효소 반응과 제한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두 종으로 감별하였다. 1994-1995년에 대변을 통강의 방법으로 검색하여 포낭이나 영양형이 발견된 검체를 로빈슨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영양형에서 DNA를 분리하였다. PI 유전자 염기서열 중에서 시발페(primer)를 만득어 중합효소 반응으로 482 bp 크기의 산물을 얹고 이를 제한효소(Tuq I, Xmn I, Acc I)로 처리하였다. 또한 Xmn I과 Acc I 제한 효소의 특이 염기서열온 고함하는 시발체를 제작하여 따로 중합효소 반응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3개 분리체 중에서 S9, S12, YS-6, YS-27의 482 bp 산물은 Taq I과 Xmn I 의하여 그 외의 분리체 산물은 Acc I에 의하여 절단되었다. 이 결과는 특이 염기서열 시발체의 중합효소 반응에서 얻은 산물과 일치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여 분리체 S9, S12, YS-6는 대장염 창자에서. YS-27은 간농양 환자에서 분리한 병원성의 이질아메바(E. histolytica)이고 분리체 S1, S3, S11, S15, S16, S17, S20, YS-17, YS-44는 부증상의 포낭배출자에서 얻은 비병원성의 동형아메바(E. nispur)로 구별할 수 있었다. S1은 설사 환자에서 얻은 분리체 이지탄 동형아메바임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이 환자의 설사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 된다. 이로써 비병원성인 동형아메바가 우리 나라에서도 병원성 이질아메바보다 더 흔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기록하며 E. dispar의 우리 말 이름을 동형아메바로 제안한다.

  • PDF

이질아메바 (Entamoeba histolytica)와 치은아메바 (Entamoeba gingivalis)의 Acid Phosphatase 활성에 관한 세포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Acid Phosphatase in Entamoeba histolytica and Entamoeba gingivalis)

  • 조기목;차혜영;소진탁
    • Applied Microscopy
    • /
    • 제3권1호
    • /
    • pp.1-16
    • /
    • 1973
  • 이질아메바와 치은아메바의 Gomori 뱀에 의한 acid phosphatase 활성의 분포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서 비교 관찰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cid phosphatase 활성부위를 광학 현미경으로서 관찰한 바 이질아메바와 치은아메바간에 각별한 차이가 없으며, 세포막에서는 약한 양성반응을 보였고 세포질 내부의 구조물에서는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2) 전자현미경 소견으로는 이질아메바의 세포막상에는 전반적으로 약한 양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세포막 소돌기에 해당하는 부위에 강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치은아메바에 있어서는 세포막은 대체로 음성이었으나 세포막의 국한된 부분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도 있었다. 3) 세포질내부의 acid phosphatase 활성분포는 이질아메바에 있어서는 lysosome양 구조물, 형질내망 식포등에 강한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식포에서는 각종 단계의 반응이 관찰되었다. 치은아메바에 있어서도 이질아메바에서 관찰된 반응이 거이 나타났으며 특히 식포내용물은 강한 양성반응이나 그 막은 음성인 것이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4) 핵내의 acid phosphatase 활성은 이질아메바에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치은 아메바에서는 핵질내에서 과립상 양성 침착물이 관찰되었다.

  • PDF

조직내 및 배야기내 자유생활아메바의 전자현미경적 비교연구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f Naegleyiu fowleri trophozoite in mouse brain and axonic culture)

  • 유재숙;소진탁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59-266
    • /
    • 1984
  •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 (primary amoebic rneningoencephalitis; PAM)을 일으키는 자유생황아메바인 Svaegleria few입번를 사용하여 액체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된 영양형과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얻은 마우스 뇌조직에 존재하는 영 양형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마우스 뇌 조직내의 영양형은 다소 등근 모양인데 반해 액체배지에서 무균배양하여 엎은 영양형은 불규칙한 모양을 보였다. 2. 배 양기에서 얻은 아메바 세포질내 mitochondria 는 난원형, 구형 및 원통형 등 형태가 다양한데 마우스 뇌 조직내의 아메바에서는 이러한 형태 이외에 아령 모양이 특이하게 있었고 배양기내 아메바의 mitochondr심는 진하게 염색되나 마우스 뇌 조직내의 아메바에서 는 진한 것과 흐린 것이 모두 있었다. 3. 조면세포질내세망(rER)의 형태에 있어 마우스뇌조직내 아메바에서는 세관(microtubule)모양인데 비해 배 양기내 아에 바에서는 세관모양 이외에도 소낭(vesiole) 모양이 관찰된다. Ribosome은 배양기내 아메바에서는 free ribosome이 많은 반면 마우스 뇌조직내 아메바에서는 polysome이 많았다. 4. 배양기내 아메바에서는 내용물이 없는 액포(vacuole)가 많고 그 안에 미엘린양 구조가 존재함을 보앗다. 이것으로 아메바는 마우스 뇌조직내에서 강한 식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5. Naegleria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 뇌조직은 괴사가 심하였다. 침윤된 염증세포로 다핵백혈구가 많았고, 아메바는 혈관 주위에 많았다.

  • PDF

한국 주요 상수원수에서의 가시아메바와 파울러자유아메바 조사 (Surveillance of viable Acanthamoeba spp. and Naegleria fowleri in major water sources for tap water in Korea)

  • 김민정;이규철;김건우;이현지;김민영;서대근;이정엽;조영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37-243
    • /
    • 2018
  • 자유생활아메바인 가시아메바(Acanthamoeba spp.)와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 fowleri)는 아메바성 뇌염 등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며, 물을 포함한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한다. 가시아메바와 파울러자유아메바가 한국의 주요 상수원수에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배양법에 기초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2017년 7월부터 12월 사이에 한국의 52개 주요 상수원수를 조사하였다. 가시아메바와 파울러자유아메바가 각각 42개 시료(80.8%)와 6개 시료(11.5%)에서 검출되었다. 가시아메바의 경우 계절과 상관없이 고른 검출율을 보였으나, 파울러자유아메바는 주로 여름과 가을에 검출되었으며 겨울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이러한 자유생활아메바가 한국의 상수 원수에도 고루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면역이적법을 이용한 아질아메바와 동형아메바의 감별진단 (Differentiation of Entomoeba histolyticn and Entcmoeba dispor in cyst-passers by immunoblot)

  • 이미정;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47-254
    • /
    • 1996
  • 임상증상 없이 검변을 통하여 검출된 이질아메바 포낭양성자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으나 이중에서 병원성이 강한 이질아메바(E. histolytica)만 치료하고 병원성이 없는 동형아메바(E. dispar)는 치료하지 않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져 있다. 따라서 이 두 종을 감별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중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동위효소 분석 유전자 분석. 혈청학적인 검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의 두 분석법은 원충을 배양하여야 가능하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혈청학적인 감별이 실제적으로 유용하다. 이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무균배양에 성공한 이질 아메바 YS-27의 항원성을 확인된 아메바 감염자 혈청과 면역이적법으로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증상 포낭배출자에서 두 종의 감염을 감별하고자 하였다. 시스테인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가한 이질아메바의 항원은 117. 110. 99. 68. 66. 60. 54. 52 46. 45 kDa 분획이 이질아메바 감염이 확인된 사람의 혈청내 IgG 항체와 반응하였고 동형아메바 대장아메바 Beastnystis 및 대조군의 혈청과는 117 kDa 분획이 미약하게 반응하였다. 포낭양성자의 혈청내 IgA 항체와 많은 분획이 반응하였으나 두 종 양성자간에 차이가 없었고 혈청내 IgM과 IgE 항체와 반응하는 분획이 없었다. 동형아메바의 항원은 두 종 양성자 혈청내 모든 군의 항체와의 반응에서 두종을 감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질아메바의 항원과 혈청내 IgG 항체 반응이 두 아메바 감염 을 감별할 수 있었다. 증상이 없는 포낭배출자 24명의 혈청을 면역이적 반응시킨 결과 2명에서 46 과 45 kDa 분획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분획과 반응하여 이질아메바 감염자로 확인하였고 22명은 동 형아메바 양성자로 확인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하면 우리 냐라에서 검출되는 단순 포낭배출자 의 90% 이상은 이질아메바가 아니라 동형아메바 감염자이고. 이에 따라서 포낭양성자 중 환자가 많지 않은 사실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질아베바 조항원을 이용한 면역이적법은 증상이 없는 아메바 포낭배출자 중 치료를 꼭 필요로 하는 사람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Riboprinting에 의한 가시아메바속의 분류 (Subgenus classification of Accnthcmoebc by riboprinting)

  • 정동일;유학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69-80
    • /
    • 1998
  • 가시아메바 (Aconthamoeba) 속의 종 동정과 분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18종의 대표주를 포함 한23분리주들의 185rRNA 유전자를 PCR로 증폭하고, RFLP를 비교 분석하는 riboprinting을 시행하였다. 이에 근거한 dendrogram은 형태학적 일 grouping과 잘 부합하였다. 형태학적 제1군에 속 한 별가시아메바와 A.tubiahi는 형태학적 제2군 및 제3군의 분리주들로부터 가장 먼저 분지해 나왔으며, 서로간에도 매우 큰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제3군의 4분리주 중 A. cuLbertsonj A. hedvi 및 A.pulesti 는neAfsis는 서로간에 큰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어 합당한 분류로 인정할 수 있었으나, A. Ppustulosa는 A. pqlestinenis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깝게 나타나 A. pdestinensis로 재동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형태학적 제2군의 분리주들은 0.2%의 유전 적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6개의 분지군으로 나누어졌다. 그 중 18S rRNA 유전자 내에 intron을 포함하고 있는 A. griffini가 나머지 분리주들과 가장 큰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었다. 카스텔라니가시 아메바 Castellani주, Ma주, A. quplnvi13주, 담수가시아메바 L3a주, 대식가시아메바 Jones주 및 A. triangdris SH621주가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하였으며, 그 중 A. quina Vil3와 담수가시아메바 L3a주는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로 재동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ng주는 A. hntchetti로, A. mcuritaniensis, A. divionensis와 A. puraAivionenis는 A. rhysodes로 재동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Neff주는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보다는 대식가시아메바와 유전적으로 훨씬 가까웠다. Riboprinting은 임상 및 환경에서 분리되는 가시아메바 분리주의 빠른 동정에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uplex real-time PCR을 이용한 수계 중 가시아메바와 파울러자유아메바 조사 (Surveillance of Acanthamoeba spp. and Naegleria fowleri in environmental water by using the duplex real-time PCR)

  • 김민정;이규철;김건우;이현지;김민영;서대근;이정엽;조영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8-104
    • /
    • 2018
  • 가시아메바(Acanthamoeba spp.)와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 fowleri)는 자유생활아메바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사람과 동물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가사아메바와 파울러자유아메바를 물 환경에서 조사하기 위해 기존에 보고된 네 종류의 분자생물학적 방법과 상용 real-time PCR 키트의 분석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duplex real-time PCR 방법이 민감도가 가장 좋았으며, 동시에 두 종류의 자유생활아메바를 검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대전시에 위치한 3개 하천, 6개 지점을 대상으로 그 분포를 2회 조사하였다. 가시아메바는 12개 시료 중 10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83.3%), 파울러자유아메바는 2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16.6%). 향후 이러한 유해 아메바로부터 먹는 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분포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이질아메바에 의한 인체 대장상피세포주 HT-29에서의 interleukin-8 유전자의 발현 (Interleukin-8 gene expression in the human colon epithelial cell line, HT-29, exposed to Entamoeba histolytica)

  • 김정목;정현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57-364
    • /
    • 1995
  • 이질아메바에 의한 장염 환자의 조직 또는 이질아메바를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동물의 조직 검사에서 호중구의 침윤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호중구의 침윤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아메바 감염 초기에 인체 대장상피 세포에서 interleukin-8(IL-8)이 유도되어 호중구 침윤과 같은 염증반응이 유발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체 대장상피세포주인 HT-29에 이질아메바 영양형을 실험적으로 노출시킨 뒤 발현되는 IL-S mRNA를 역전사 중합효소법(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으로 검사함과 퐁시에 발현된 IL-8 mRNA를 인공적으로 합성시킨 표준 RNA와 RT-PCR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이질아메바 영양형에 노출된 30분 후 부터 IL-8 mRAN가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 발현 분자수는 노출 시간의 증가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3시간 대에는 $3.1{\;}{\times}{\;}10^7{\;}molecules/\mu\textrm{g}$ total RNA를 나타내었다. 동시에 IL-8 mRNA의 발현은 노출시킨 이질아메바 영양형의 수에 비례하였다. 즉 HT-29/아메바 영양형의 비율이 10:1인 경우 IL-8 mRNA의 발현 분자수는 $1.2{\;}{\times}{\;}10^7{\;}molecules/\mu\textrm{g}$ total RNA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IL-8 mRNA의 발현은 IL-8 단백질 분비로 이어짐을 ELISA 검사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질아메바 파쇄액(Iysate)도 대장상피세포군인 Caco-2에서 IL-8 mRNA발현을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은 이질아메바 감염 초기에 대장상피세포로 부터 IL-8이 발현되며, 이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면역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Acnnthamoeba 분리주별 병원성 평가 (Comparison of virulence by Acanthamoeba strains in a murine model of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 공현희;이성태;정동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1호
    • /
    • pp.23-32
    • /
    • 1998
  • 마우스 백혈병 바이러스인 LP-BM5 MuLV를 감염시켜 면역결핍 상태 (Murine AIDS: MfdDS)로 유도한 C57BL/6 마우스에 10 종류의 가시아메바 분리주를 감염시켜 가시아메바 분리 주별 병원성을 평가하였다. LP-BM5 MuLV에 감염된 C57BL/6 마우스는 MfdDS 모델의 특징적 소견인 비장 종대와 임파절 종대를 나타내었고, 가시아메바의 배양 온도에 따른 MAIDS 모델 마 우스의 치사율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분리주에 따른 MAIDS 마우스의 치사율은 상당한 차이 가 있었다. 아메바성 육아종성 뇌염 환자의 뇌에서 분리한 A. henlvioc-3A주가 가장 높은 치사 율을 나타내었고. 조직 배양 중 분리된 A. culbensonih-1주가 2번째로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 다. 국내 토양에서 분리한 A. ccstellanii KA/S2주와 A.polvphagaga KAS3주는 매우 낮은 치사율 을 보였다. 가시아메바를 비강 내 접종으로 감염시킨 마우스는 정맥 내 주사로 감염시킨 마우스에 비해 만성적 경과를 보였다. 사망한 마우스의 폐와 뇌의 육안적 병리 소견은 일관된 성적을 나타 내지는 않았고. 마우스 개체마다 다양하였다 병리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뇌 조직에서보다 폐 조직 에서 더 심한 염증과 괴사를 보였으나. OC-3A주로 감염시켜 사망한 마우스의 뇌조직에서는 심한 염증반응과 가시아메바 영양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가시아메바 분리주마다 병원성이 다른 것으로 미루어 보아 가시아메바의 병원성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가시아메바 병원성 결정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