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R and RFLP variation of conserved region of small subunit ribosomal DNA among Acanthamoeba isolates assigned to either A. castellanii or A. polyphaga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혹은 대식가시아메바로 분류된 분리주간의 ribosomaIDNA conserved region의 PCR-RFLP의 다양성

  • 공현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정동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Twelve isolates of Accnthamoebc app. assigned to either A. castellanii or A. poIMphoSa, and type strains of A. culbefsoni, A. henIWi, A. pqkestinefiE, and A. astronyxi,s were examined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a conserved region of small subunit ribosomal RMh gene (ssu rDNA)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CR products of the isolates measured approximately 910-930 bp, except for that of A. astronyxis which was extraordinarily long, approximately 1,170 bp. Average of estimated sequence divergence of the amplified DNA among the isolates assigned to A. castellanii was 9.8% whereas that among the isolates assigned to A. polvphusn 9.6%. The maximum intraspecific sequence divergence among the isolates assigned to A. costellanii was observed between the Chang and Ma strains (17.3%) while that among the isolates assigned to A. poIWphosa was observed between KA/S3 and KA/S7 strains (16.1%). The both maximum sequence divergences were much greater than the minimum interspecific sequence divergence between A. cnstellnnii and A. polwphasa (2.6%) which appeared between the Castellani (or CCAP 1501/12 g) and KA/S3 strains. The PCR-RFLP patterns of A. culbertsoni, A. healyi, A. palestinensis, and A. ostronvxis were quite diverse from one another and from those of isolates assigned to either A. castellanii or A. polyphoga. It is suggested that taxonomic validity of the isolates assigned to either A. castellnnii or A. polyphoga should be reevaluated.

형태학적으로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혹은 대식가시아메바로 동정된 12 분리주들과 쿨버트손가시 아메바. 힐리가시아메바(Aconthomoeba hedwi) 팔레스타인가시아메바(A. plestinenis) 별가시아메바의 small subunitribosomal RNA유전자(ssu rDNA) 중 conserved region을 PCRR 증폭하여 제한효노절단부위를 비교하떴다. 별가시아메바의 PCR증폭 산물의 크기는 1.170 bp였고 나머지 분기주들의 것은 910-930 bp 사이였다 카스텔라너가시아메바로 분류건 여섯 주간의 추정 염기치찬율의 평근은 9.BPg였고. 대식가시아떼바로 분류된 분리주간의 그 평근은 9 6U였다. 카스텔 라니가시아메바로 분류된 여섯 분리주들 사이의 최대 염기치환율은 Chang주와 Ma주 사이의 (7 3%)였고 대식가시아메바로 분류된 여섯 분리주간의 최대 염기치환율은 1A/S3주와 KA/S7주 사이의 (16.1%)였다. 이들 종내 최대 염기치환율은 Castellani주 혹은 CCAP 1501/12g주와 KA/S3 주 사이에거 나타난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와 대식가시아떼바간의 종간 최소 염기치환율(2.6%)보 다 횔씬 컸나. 쿨버트손가시아메바. 힐리가시아메바 팔레스타인가시아메바 및 별가시아메바의 PCR-RFLP 양상은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또는 대식가시아메바로 동정된 분리주들의 것들과 그리 고 강호간에서도 높은 염기치환율(평균 23 6%)을 보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가시아메바속의 분류는 재평가 해 보아야 할 건으로 생각된다 A. healyi와 A. palestinensis의 우리말 이름을 각각 힐리가시아메바와 팔레스타인가시아메바로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