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genus classification of Accnthcmoebc by riboprinting

Riboprinting에 의한 가시아메바속의 분류

  • 정동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유학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Subgenus classification of Acanthcmoeba remains uncertain. Twenty-three reference strains of Acanthnmoeba including 18 (neo)type-strains were subjected for classification at the subgenus level by riboprinting, PCR/RFLP analysis of 185 rRNA gene (rDNA) . On the dendrogram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riboprint analyses, two type- strains (A. astronwxis and A. tubinshi) of morphological group 1 diverged early from the other strains and were quite distinct from each other. Four type-strains of morphological group 3. A. culbertsoni, A. polestinensis, A. healyi were considered taxonomically valid, but A. pustulosn was regarded as an invalid synonym of A. pclestinensis. Strains of morphological group 2 were classified into 6 subgroups. Among them, A. giulni which has an intron in its 185 rDNA was the most divergent from the remaining strains. Acanthcmoebc ccstellanii Castellani, A. quinc Vil3, A. Iugdunensis L3a. A. poIyphage Jones, A. trinngularis SH621, and A. cqstellanii Ma strains belonged to a subgroup, A. castellanii complex. However, A. quinc and A. Lugnunensis were regarded as synonyms of A. ccstellanii. The Chang strain could be regarded as A. hatchetti. Acanthcmoebo nauritaniensis, A. niuionensis, A. paranivionensis could be considered as synonyms of A. rhwsodes. Neff strain was regarded as A. polyphage rather than as A. castellanii. It is likely that riboprinting can be applied for rapid identification of Acnnthcmoebc isolated from the clinical specimens and environments.

가시아메바 (Aconthamoeba) 속의 종 동정과 분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18종의 대표주를 포함 한23분리주들의 185rRNA 유전자를 PCR로 증폭하고, RFLP를 비교 분석하는 riboprinting을 시행하였다. 이에 근거한 dendrogram은 형태학적 일 grouping과 잘 부합하였다. 형태학적 제1군에 속 한 별가시아메바와 A.tubiahi는 형태학적 제2군 및 제3군의 분리주들로부터 가장 먼저 분지해 나왔으며, 서로간에도 매우 큰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제3군의 4분리주 중 A. cuLbertsonj A. hedvi 및 A.pulesti 는neAfsis는 서로간에 큰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어 합당한 분류로 인정할 수 있었으나, A. Ppustulosa는 A. pqlestinenis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깝게 나타나 A. pdestinensis로 재동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형태학적 제2군의 분리주들은 0.2%의 유전 적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6개의 분지군으로 나누어졌다. 그 중 18S rRNA 유전자 내에 intron을 포함하고 있는 A. griffini가 나머지 분리주들과 가장 큰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었다. 카스텔라니가시 아메바 Castellani주, Ma주, A. quplnvi13주, 담수가시아메바 L3a주, 대식가시아메바 Jones주 및 A. triangdris SH621주가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하였으며, 그 중 A. quina Vil3와 담수가시아메바 L3a주는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로 재동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ng주는 A. hntchetti로, A. mcuritaniensis, A. divionensis와 A. puraAivionenis는 A. rhysodes로 재동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Neff주는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보다는 대식가시아메바와 유전적으로 훨씬 가까웠다. Riboprinting은 임상 및 환경에서 분리되는 가시아메바 분리주의 빠른 동정에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