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동 사용자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Menu Customization on Mobile Phone - Focused on designing UI of "My menu" in Mobile phone for children (휴대폰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메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아동사용자를 위한 My메뉴의 UI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 Jo, Shin-Ah;Kim, Hyun-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45-352
    • /
    • 2007
  • 오늘날 휴대폰은 20~30대의 젊은 사용자 층뿐 아니라, 고령사용자 및 아동사용자들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게 되었다. 이렇게 사용자층은 다양해지고 있으나, 휴대폰 제조사들은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인지능력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진 못한 채, 20~30대의 젊은 주 사용자 층을 기준으로 디자인하고 있다. 특히, 하드웨어적인 디자인 측면에서는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시도는 거의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 따른 유동적 인지능력 및 요구사항, 감성에 맞는 맞춤형 My메뉴(Menu)를 설정할 수 있는 휴대폰 UI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주 사용자 층과는 다른 사용패턴을 보이는 어린이들을 위한 개인화된 My메뉴를 설정하는 인터랙션 UI 디자인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문헌과 사례분석으로 통해 기존 휴대폰 제조사와 서비스 사업자들의 메뉴 개인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어린이들의 사용 패턴과 메뉴의 사용 빈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 조사 방법을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2006년 7월말부터 8월 10일까지 2주에 걸쳐, 만 9세~12세의 초등학교 아동사용자 남여 10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사용의 전반적인 특성과 사용행태을 파악하고, 환경설정 및 주 사용메뉴를 조사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1차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번 설문에서는 주 사용메뉴가 무엇이며 사용빈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선호하는 메뉴형식과 용어의 어려움은 없었는지를 파악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대기화면에 가져다 놓고 싶은지를 물어 직접적인 휴대폰 대기화면의 사용여부를 파악하였다. 2006년 12월 일주일동안, 1차 인터뷰의 아동사용자와 동일한 연령대의 아동사용자 남여 총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더욱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연령과 성별에 따라 기본 디폴트 My메뉴(Menu)를 제공하는 방법, My메뉴의 항목과 우선순위, 테마를 설정하여 개인화하는 UI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사용자를 대상으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UI 중 메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인터랙션을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UI 개인화 시도는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써 사용자 만족과 사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Blocking and investigation of child pornography using child pornography profiling system of National Police Agency (경찰청 아동음란물프로파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아동음란물 차단 및 수사 방안)

  • Lee, Sang Duk
    • Journal of Digital Forensics
    • /
    • v.12 no.3
    • /
    • pp.97-108
    • /
    • 2018
  • Computer technology and Internet advances enable easy massive file transfer by messenger, email, and web hard service users this means that a child pornography file owner who is illegally possessing itself can quickly transfer that to other users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specific ways to prevent or block the distribution of child pornography between messenger, email, and web hard service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child pornography using the MD5, SHA-1 hash value stored in the 'police Child pornography Profiling system' and to identify the child pornography suspects us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user extracts the hash value of the file before distributing the file, compared it with police system, and if it has the same value, blocks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sends warning to the owner. the service provider sends the subscriber information to investigation agency child pornography owners can conduct a quick and accurate investigation.

A Study on Educational Use of Second Life for Health impairment Children (건강장애 아동을 위한 세컨드라이프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Kim, Da-Jeong;Chun, Seok-J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27-234
    •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의 실태조사(2008)에 따르면 건강장애 아동의 비율은 전체아동의 2.3%에 불과하다. 하지만 질병으로 인한 초 중 고등학교학교 과정 유예아동을 포함한다면 건강장애로 인하여 특수교육을 받아야 하는 아동의 비율은 훨씬 높아지게 된다. 한편, 린덴랩이라는 미국 IT기업에서 2003년 개발된 3D 가상현실 사이트인 세컨드라이프의 열기가 여전히 높다. 그 이유로는 사용자가 직접 세상을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실을 살아가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켜 주는 것을 들 수 있다. 건강장애 아동의 경우는 일상생활에서 보통의 사람들보다 많은 제약을 받아야 하기에 가상현실을 통하여 좀 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컨드라이프의 다양한 교육적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 건강장애 아동의 교육에 세컨드라이프를 적용시켰을 때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 PDF

SOCIO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USE COMPUTERS EXCESSIVELY - ON THE BASIS OF CARERS' REPORT - (컴퓨터 과다사용 초등학생의 정신사회적 특성 - 보호자의 보고를 근거로 -)

  • Jhin, Hea-Kyung;Kim, Mun-S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4 no.2
    • /
    • pp.229-237
    • /
    • 2003
  • Objectives:Among the studies related to excessive computer use, the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latively rare. Because children have relatively poor ability to recognize and express themselves, the carers' information is important to assess the childre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mputer use and sociopsychiatric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carers' reports.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7 5th- and 6th-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tudent car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for children's computer use, the computer addiction test modified from Young's parent-child internet addiction test,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SPSS(version 10) was used to analyse the differnece of computer use between genders and the relation of the computer addiction test with K-PIC. Results:1) The score of computer addiction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children than in female children and more male children compared to female children were distributed in the excessive user group. 2) The score of computer addiction test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most clinical scales of K-PIC and the average scores of most clinical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cessive user group than in the general user group. 3) More children with score above 65 in HPR, DLQ, FAM scale were distributed in excessive user group than in general user group. Conclusion:The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excessive computer use were found to show more sociopsychiatric problems. With these finding we suggest that social and clinical attention to the children who use computer excessively shoud be required.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me controller for children Suited to the character by the progress step in child game (아동 놀이 발달기별 특징에 적합한 아동용 게임 컨트롤러 개발에 관한 연구 - 아동의 비행기 놀이를 착안한 비행기 슈팅 게임 컨트롤러 개발 연구 -)

  • Kim, G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9-12
    • /
    • 2008
  • 현재 게임 역사를 보면 조이스틱의 인기가 눈에 띄게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비행 시뮬레이션 장르의 게임의 수가 적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이스틱들은 일인용 슈팅 게임을 지원하지만 마우스나 컴퓨터 키보드에 견주어 보면 정확성이 떨어진다. 최근에 나온 소수의 게임들은 콘솔 PC와 연계가 되지만 PC 사용자들에게 자동 발사 기능을 사용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게임 컨트롤러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아동의 조작능력과 신체발달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아동의 놀이 발달기별 특징에 적합한 게임 컨트롤러를 개발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Pronunciation Training Digital Service for the Deaf Children (청각장애아동의 조음훈련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연구)

  • Lee, Ye-Jin;Lee, Jae-Eun;Kim, Chae-Yun;Lee, Yoon-Ji;Park, Su-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4
    • /
    • pp.407-415
    • /
    • 2019
  • Hearing - impaired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hearing and hearing go through pronunciation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onunci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digital contents that can be used for repeated hearing training while maintaining interest in hearing - impaired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for users and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we developed a digital content based pronunciation training system. Finally,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igital service implemented, the user test was conducted for the hearing - impaired childre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repeated training and interest factors were found to be essential factors affecting pronunciation training. In implementing digital services, we have used fairy tales and a variety of interactive elements to derive children's interests and designed a user flow that can train multiple words and sentences for effective repetition training. As a result of the test, this digital content was evaluated positively.

Interactions between AI Speaker and Children : A Field Study on the Success/Failure Cases by Types of Interactions (인공지능 스피커와 아동들의 상호작용 :유형별 성공/실패 사례 도출을 위한 현장 연구)

  • Hong, Junglim;Choi, Boreu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7
    • /
    • pp.19-29
    • /
    • 2020
  • As the AI speaker market is grow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for the preoccupation of children who are the main users and the future prospective customers of the related companies is very intens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how children interact with AI speakers.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I speakers, primarily through field studies, to extract what functions they use and what features they have. For this purpose, 799 convers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log data of the AI speaker recorded in real time. As a result,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use children's songs, fairy tales, emotional conversations, and personification compared to adults. In addition, content analysis by specific types resulted in success/failure cases of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AI speakers and proposed improvements by failure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children's AI speaker preferences, content, and major conversation patterns, and provides guidelines for developing services that meet children's eye level.

동화와 놀이를 결합한 스토리텔링의 하천개발 적용방안

  • Park, Ki-Bum;Park, So-Yoon;Lee,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1-764
    • /
    • 2012
  • 하천공간을 개발하는 것에 있어 공간계획의 구분은 자연보전 공간, 학습공간, 운동공간, 친수공간, 위락공간 등 다양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개발하는 것에 있어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가가 중요하다. 또한 하천과 같이 공공의 서비스 공간에서 투자한 사업비에 비교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의 이용과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진다면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다. 도심지 하천 혹은 관광지 주변의 하천의 경우 최근의 여가의 트랜드를 비추어 볼 때 가족중심의 여가문화와 유 아동을 동반한 부모, 성인의 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가족중심의 하천변 개발에 있어 유 아동들이 즐길만한 공간의 제공이 필요하다. 현재의 하천공간은 체육시설 그리고 잔디광장 중심의 공간개발이었다. 그러나 최근 스토리텔링의 하천개발에 접목에 따라서 다양한 하천공간이 개발되고 있다. 역사, 문화, 전통, 동화 등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하천의 접목으로 다양한 연령층과 즐길 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하천공간을 동화와 놀이를 접목시켜 유 아동들의 놀이와 나아가 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하천공간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유 아동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동화를 스토리텔링화 하여 하천공간을 뛰어다니면서 동화의 체험과 놀이 그리고 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Us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Children (아동 대상 원격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 Jung, Tae-Won;Ha, Kwa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3
    • /
    • pp.121-130
    • /
    • 2021
  • The increased competition in service development in various industrial sector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ducing high-quality services that provide a positive user experience. Although usability evalu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thod of verification of high quality service and utility, the general usability evaluation method has limitations of not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articipants due to its uniform composition to account. As the following flaws can reduce evaluation efficiency, developing a new guideline seems to be the next step. Thus, this study focused on criteria on how to evaluate the usability for children and proposed non-face-to-face remote usability evaluation configurations and progress guidelin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The following usability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oposed guidelines and in this process,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s was verified and the items that needed to be supplemented were derived. It is expected that the non-face-to-face remote us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proposed through the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designing usability evaluations of services developed for children.

The Content Development for Language Learning bas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증강현실 기반 언어 학습 콘텐츠 개발)

  • Jang, Soo-Kyung;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625-627
    • /
    • 2018
  • 본 연구는 전 연령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제안하고, 아동이 사용가능한 교육용 책 교구를 설명한다. 현재 시중에 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분석하고, 사용자의 동기유발과 집중력 향상을 목적으로 학습 구조를 도출한다. 학습의 집중을 위한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증강현실 기술과 접목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는 책이 가진 지식의 보고를 유지하며 스마트 폰을 통한 자율학습을 유지할 수 있다. 경제적 소비 감소와 스마트 폰의 활용도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