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통증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2초

4개의 도구를 이용한 아동의 통증 (Children Pain Using Four Pain Assessment Tools - Faces, Glasses, Chips, Colors)

  • 김경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16-3022
    • /
    • 2012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아동의 통증 사정을 위하여 3개의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아 96명을 대상으로 얼굴, 컵, 칩, 색상 도구를 이용하여 아동의 통증 정도를 알아보고 통증 척도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동이 선호하는 통증 도구 순으로는 얼굴, 컵, 칩, 색상 도구이었으며, 색상 도구에서 아동이 선호하는 통증이 없는 상태의 색상은 주황이었고 가장 극심한 통증의 색상은 검정이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도구별 평균의 차이에서 색상 도구를 제외하고 입원 경험이 없는 상태가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얼굴, 컵, 칩; p<0.05). 얼굴, 컵, 칩, 색상 도구는 가족을 포함한 아동과 의료진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통증 사정 도구로 임상실무 현장에서 아동의 연령별 통증 사정을 위해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at Venipuncture in Children)

  • 김윤수;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42-14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사 실험 설계로 반복 측정연구이다.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시간을 기존 1시간 적용보다 30분 단축한 30분으로 하였고, 대상자를 입원 시의 학령기 아동으로 하여 국소마취크림이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대한 반응을 피부 전기반응, 아동의 자가 보고와 심박동수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대한 피부 전기반응의 최대값과 평균값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정맥 천자 시 아동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통증의 생리적 변수 이외에 피부 전도도(SCL)라는 변수를 통증반응의 지표로 측정하였고, 이는 통증의 새로운 지표를 아동의 통증 연구에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아동의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 시간을 단축하여 향후 간호 실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능동적 및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가 예방접종 시 학령전기 아동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Distraction Intervention on Pain Responses of Preschool Children during Immunization)

  • 임은선;김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02-112
    • /
    • 2016
  • 본 연구는 예방접종을 위해 병원을 방문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고, 중재가 그들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실험 1군에는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만화 동영상)를, 실험 2군은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상호작용이 가능한 장난감)를 제공한 후 일상적인 통증관리 이외에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는 2014년 10월 22일부터 11월 5일까지 집단 별로 30명씩 수집하였고, 통증반응은 아동, 부모 및 연구자에 의해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과 대조군은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F=68.92, p=< .001),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반응(F=42.63, p=< .001) 및 연구자가 관찰한 아동의 통증반응(F=114.56, 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전환 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의 예방접종과 관련된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이고, 수동적 방법이 능동적 방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관심전환 중재 및 관심전환 중재물의 형태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아동의 통증 감소를 위한 VR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내·외 VR 콘텐츠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romoting Method for VR Contents to Reduce Pain of Child Patient -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VR Contents at Home and Abroad)

  • 김호다;주애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67-176
    • /
    • 2020
  • 의료 산업의 발전으로 환자 친화적 의료 환경 구축과 공중보건 의료 서비스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의료 환경 변화 속에서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받는 아동의 통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아동 환자의 통증은 기존의 통증 예방 및 관리 방법인 비약물적 관리방법과 약물적 관리방법을 통해 조절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비약물적 관리방법 중에 주의전환 요법의 일종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적용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VR 콘텐츠의 개발 사례와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아동을 위한 VR의 임상적용 시에 고려할 특성으로 '존재', '쌍방향 참가', '사회적 상호작용', '주문제작', '구체화'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통증 감소를 위한 6개의 VR 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동기 처치관련 관심전환요법: 국내 아동 중재연구의 비평적 고찰 (Distraction Techniques for Children Undergoing Procedures: A Critical Review of Korean Intervention Research)

  • 임은선;김진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40-349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처치관련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관심전환중재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들을 분석, 평가하고, 추후 아동의 처치관련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관심전환중재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통증과 관련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관심전환요법의 국내 간호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실무 및 연구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비판적 고찰 연구이다. 결과 국내에서 실시된 관심전환을 중재로 적용한 연구는 대부분이 학령전기 및 학령기 초기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사실험연구 설계였으며, 시청각 자극을 통해 관심을 전환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관심전환중재는 아동의 통증과 두려움 등의 행동반응 결과변수의 변화에는 분석 연구의 대부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그리고 생리적 반응 결과변수의 변화에는 분석 연구의 46.7%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석에 포함된 논문들의 연구설계, 시행, 보고 등에 있어서 방법론적인 엄격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각 연구들은 시행한 관심전환중재의 절차에 대한 제한된 정보만을 제시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반복연구를 시행한다거나 중재를 실무로 중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결론 관심전환요법이 아동의 절차관련 통증과 두려움을 경감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좀 더 확실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방법론적 엄격함이 요구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관심전환중재의 임상적 활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용과 시간 효과성 그리고 보호자와 건강관리 제공자의 만족도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수술 후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Management of Children's Postoperative Pain)

  • 조은영;최혜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71-8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management of children's postoperative pain.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20 pediatric nurses who worked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survey questionnaires used to assess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children's postoperative pain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knowledge was 67.7 out of 100. The mean score for attitude was 72.5 out of 100. The factor related to the knowledge level was education for pain management. Moreover, age, working department, position, working experience,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attitud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pain management of children in the postoperative condition.

캐릭터를 이용한 관심전환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의 정맥주사 시 통증과 주사공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aracter Distraction on Intravenous Injection Pain of Hospitalized Preschooler)

  • 임옥우;조결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15-22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distraction generated by character stamp and stickers on reduction of intravenous injection pai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si 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60 preschool children who admitted to a Pediatric Department in a C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as subjects. Convenience assignment was used. The two groups were homogeneous on characteristics.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bjective pain(t=3.666, p=.001), subjective pain (t=3.415, p=.001) and perceived pain by the mother(t=2.528, p=0.014) decreased after intravenous injection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lse rate or fear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sing character stamp and stickers c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intravenous injection pain reduction in preschooler.

  • PDF

간호학생의 아동 통증에 대한 지식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Children's Pain)

  • 이경민;구현영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6권2호
    • /
    • pp.113-12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children's pain. Methods: The subjects were 389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a colleg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children's pain were generally low. Knowledge on analgesics was ranked the lowest. The levels of knowledge on children's pain of the students were different by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the learning experience on pain, and the experience with chronic pa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ing students do not know children's pain thoroughl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xperience of the students make an effect on the knowledge. Therefore, the education programs on children's pain are needed to improve the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풍선 아트를 이용한 관심 전환이 학령전기 아동의 정맥 주사 삽입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on Pain during Intravenous Injections in Preschool Children)

  • 구현영;임정혜;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on pain experienced by preschool children when undergoing an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40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20) were distracted by balloon art while undergoing an intravenous injectio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20) received regular care. Pain experienced by the children was measured using self-report, observation tools,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as shown by pulse rate. However,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decrease in pain in the self-report or behavior observation when compared with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can be used to reduce pain for preschool children when undergoing an intravenous injection. Further nursing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preschool children when undergoing painful procedures.

  • PDF

배낭형 책가방 사용습관이 아동의 근골격계 통증과 연관이 있는가? (Do Backpack Habits of School Children Affect Their Musculoskeletal Pain?)

  • 신영희;이성혜;김진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76-18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extent of backpack use and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pai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pack use and musculoskeletal pain.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one elementary school and one middle school in D city. Participants were 273 children, aged 12-14, who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ody weight, height, and backpack weight of participants were measured. Results: Mean backpack weight was 3.78 Kg and relative backpack weight (RBW) was 7.42%. Of backpack users, 23.8% carried more than 10% of their RBW and 9.2% carried more than 15%. Only 44.3% organized the contents in their backpack correctly. For more than three fourth of the students (76.2%), the bottom of backpack in the standing position drooped more than 10 cm below the waistline, and 46.3% complained of musculoskeletal pain. Use of a waist bel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usculoskeletal pain. Conclusions: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school children were not following guidelines for safe backpack use.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pack use and musculoskeletal pain in this study was not significant, the fact that 46.3% of the students experienced musculoskeletal pain is very meaningful informati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pain among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