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싱크로 시스템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 study of deterministic anchor node to mobile sink systems (이동 싱크 시스템에 대한 결정적 앵커 노드 방식의 연구)

  • Park, Sangjoon;Lee, J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65-5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이동 싱크 시스템을 위한 앵커 노드의 결정 방식에 대해 고려한다. 분산 지역의 센서 시스템에 대한 싱크 시스템의 방문에서 주기적 이동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싱크가 분산된 지역을 주기적으로 방문할 경우 분리된 지역의 센서 시스템은 싱크 시스템의 방문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싱크 시스템은 지정된 시간 안에 방문 지역에 접근하며 앵커 노드는 싱크 시스템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 PDF

Eight-Direction Anchor system and Location-based Shortest Rela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obile Sinks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를 위한 8방향 앵커 시스템과 위치기반 최단거리 전송 프로토콜)

  • Jeon, Hyeon-Jae;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667-670
    • /
    • 2008
  • 센서노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서 감지한 정보를 싱크에게 전송한다. 최근 휴대 무선장비의 이용률 증가로 센서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싱크를 휴대 무선장비로 대체하여 이동성을 보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 즉, 싱크가 이동성을 가짐으로써 센서노드가 감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싱크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알리고, 다중 소스노드에서 다중 싱크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고정된 싱크에서 사용하던 데이터 전송경로는 모바일 싱크 환경에서 더 이상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노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8방향 앵커시스템(Eight-Direction Anchor system: EDA)을 제안한다. EDA는 센서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센서노드의 편중된 에너지 소모를 막고, 전체 센서노드를 균형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균등한 에너지 소모를 보장한다. 또한, 모바일 싱크가 소스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받기위해서 위치기반 최단거리 전송(Location-based Shortest Relay: LSR)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LSR은 소스노드에서 싱크로의 우회하는 경로를 막고, 최소 지연경로를 통하여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제안 프로토콜은 효율적인 위치서비스의 제공뿐만 아니라, 다중 소스와 다중 모바일 싱크 환경에서 평균 데이터 전송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A study of static designation in asynchronous sensor systems (비동기 센서 네트워크에서 정적 지정에 대한 연구)

  • Park, Sangjoon;Lee, J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51-25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싱크에 대한 앵커리지 시스템 지정 방안을 고려한다. 동기식 이동 방식의 경우 싱크 시스템의 진입 지점이 노출되어 정보 제공에 대한 주기가 결정될 수 있지만, 비동기식의 경우 이동 싱크 시스템의 진입 지점이 각기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싱크 시스템에 의한 정적 지정방식을 고려하여, 앵커리지 시스템을 지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Multi-Line Data Gathering Scheme for Efficient Operation of a Mobile Sink in Solar-Powered Wireless Sensor Networks (태양 에너지 수집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멀티라인 데이터 수집 기법)

  • Lee, Seungwoo;Kang, Minjae;Son, Youngjae;Gil, Gun Wook;Cheong, Seok Hyun;Bae, Ha Neul;Noh, Dong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35-138
    • /
    • 2020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의 도입은 기존의 고정된 위치의 싱크를 사용하는 WSN에서 발생하는, 싱크 주변 노드들과 외곽 노드들 간의 에너지 불균형 문제(에너지 핫스팟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싱크의 에너지 제약으로 인해 싱크가 모든 노드를 방문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앵커(또는 헤드)라고 불리는 특정 노드에서 데이터를 모으고, 모바일 싱크는 이러한 앵커 노드들만을 방문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모바일 싱크가 보다 효율적으로 에너지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싱크 이동 경로 및 앵커 노드 선정 최적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 에너지 기반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영역 기반 앵커 선정 기법 및 모바일 싱크 이동 경로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각 노드가 수집하는 태양 에너지의 활용을 최대화하고, 에너지 핫스팟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두 개의 라인(영역)을 설정하고 이 라인을 따라 앵커 노드가 선정된다. 모바일 싱크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이 두 라인을 왕복 이동 경로로 택하여 라인 내의 앵커 노드를 방문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에너지 불균형 문제가 완화되어 노드의 정전 시간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모바일 싱크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visiting changing scheme of mobile sink in distributed regions (분산 구역에서 이동 싱크의 방문 변경 방식)

  • Park, Sangjoon;Lee, J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543-544
    • /
    • 2021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visiting changing scheme in distributed regions. To the sensor networks of remote separated regions, the mobile sink visits each area by the determinated method. However, as the property of network environments, the mobile sink system visiting might be irregular, and its visiting area can be changed. Hence, in the sensor network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bile sink visiting can be altered by the gathered data property.

  • PDF

Sinkhole Tracking by Deep Learning and Data Association (딥 러닝과 데이터 결합에 의한 싱크홀 트래킹)

  • Ro, Soonghwan;Hoai, Nam Vu;Choi, Bokgil;Dung, Nguyen Manh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7 no.6
    • /
    • pp.17-25
    • /
    • 2019
  • Accurate tracking of the sinkholes that are appearing frequently now is an important method of protecting human and property damage. Although many sinkhole detection systems have been proposed, it is still far from completely solved especially in-depth area. Furthermore, detection of sinkhole algorithms experienced the problem of unstable result that makes the system difficult to fire a warning in real-tim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sinkhole tracking by deep learning and data association, that takes advantage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CNN transfer learning. Our system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which are binary segmentation, sinkhole classification, and sinkhole tracking.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sinkhole can be tracked in real-time on the dataset. These achievements have proven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apply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Design of Cloud-based Sensor Data Acquisition System Using Kubernetes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쿠버네티스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센서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

  • Park, Soo-Yong;Moon, Ju-Hyeon;Park, Seul-Woo;Sh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68-171
    • /
    • 2019
  • 센서 네트워크는 스마트 시티와 같은 4차 산업혁명 분야의 핵심기술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는 여러개의 센서 노드가 한 개의 싱크 노드를 통해 인터넷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트래픽 또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싱크 노드가 중지될 경우 그 싱크노드와 연결된 센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도커를 사용하여 싱크노드를 컨테이너화 하고 쿠버네티스를 통해 중지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재시작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Solar-CTP : An Enhanced CTP for Solar-Powered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a Mobile Sink (Solar-CTP : 모바일 싱크 기반 태양 에너지 수집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향상된 CTP)

  • Cheong, Seok Hyun;Kang, Minjae;Noh, Dong Ku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9 no.4
    • /
    • pp.77-82
    • /
    • 2020
  •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suffer from not only a short lifetime due to limited energy but also an energy imbalance between nodes close to the sink and others.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short lifetime, recent studies utilize the environmental energy such as solar power. Additionally, WSNs using mobile sinks are being studied to address the energy imbalance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CTP (Collection Tree Protocol) scheme which uses these two approaches simultaneously. Basically, it is based on a CTP scheme which is a very popular data collection strategy designed for the typical battery-based WSNs with a fixed sink. Therefore, we tailored it for solar-powered WSNs with a mobile sink. Performance verification confirms that our scheme reduces the number of blackout node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typical CTP, thus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collected by the sink.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tabase and Sync Module for Nurse Informations Svstem Using PDA (PDA를 이용한 간호사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싱크 모듈 구현)

  • 김기언;전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64-366
    • /
    • 1999
  • 간호사 정보 시스템은 간호사들이 사용하던 기존의 차트 대신에 PDA를 사용하여 의료 정보 데이터의 입력과 조회를 장소와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항상 가능하게 하며, 위급한 상황이나 바른 임상판단을 요하는 상황의 발생이 빈번한 병원 환경에서 신속한 임상적 의사결정을 도모하기 위해 설계 구현된 시스템이다. 간호사 정보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휴대형 정보단말기를 지원하는 이동지원시스템(MSS), 병원정보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원활한 연동과 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간호사를 위해 특화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이질적인 스키마간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싱크 모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간호사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MSS와 PDA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또한, PDA와 MSS의 데이터 동기화 시 PDA와 MSS의 스키마 불일치 때문에 발생하는 복제와 동기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싱크 모듈을 구현하였다.

  • PDF

Local Update-based Multicasting Scheme for Mobile S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망에서 이동싱크 지원을 위한 지역 수정 기반 멀티캐스팅 기법)

  • Lee, Jeong-Cheol;Park, Ho-Sung;Oh, Seung-Min;Jung, Ju-Hyun;Park, Soo-Chang;Lee, Eui-Sin;Kim, Sang-Ha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1
    • /
    • pp.80-84
    • /
    • 2010
  • Data multicasting from a source to multiple s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s used to achieve both reducing communication costs and energy efficiency. Almost all existing schemes for the multicasting might be effectively performed by optimal construction of a multicasting tree between a source and multiple stationary sinks. However, in practical sensor applications, sinks could move around on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own missions, such as scouting of soldiers and saving lives of victims by firefighters. Unfortunately, the sink mobility causes frequent entire reconstruction of the multicasting tree and thus it leads to exhaustion of battery power of sensors. Hence, we propose an energy-efficient multicast protocol to support multiple mobile sinks by the local multicast tree reconstruction, called Local Update-based geographic Multicasting for Mobile sinks (LUM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for mobile sinks is more efficient in terms of energy resource management than other exist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