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방중격결손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9초

심방중격결손증을 동반한 관상동맥루 치험 1례 (Coronary Artery Fistula Associated with Atrial Septal Defect - Report of a Case -)

  • 표현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58-763
    • /
    • 1990
  • A congenital fistul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onary artery and the cardiac chamber or the pulmonary artery is a rare condition, but increasing cases with this anomaly are being recognized with wide spread use of cardiac catheterization and coronary arteriography. Recently we experienced one case of right coronary artery fistula which was associated with atrial septal defect. The patient was a 24 year old female who was admitted because of cardiac murmur, palpitation and dyspnea on exertion after pregnancy. Cardiac catheterization and selective coronary arteriography revealed that a fistulous communication, forming a large aneurysm, was noted from the right coronary artery emptied into the right ventricle. On the operation field, the right coronary artery was curved and markedly dilated from the aorta to the middle segment at acute margin of the right ventricle. The egg-sized aneurysm of dilated right coronary artery was noticed on right ventricle. The aneurysm was incised longitudinally and both the proximal opening and the termination site of the fistula were closed directly with aneurysmectomy. The right atrium was also opened to evaluate the fistulous termination site and repaired only small interatrial septal defect.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she was discharged without problems

  • PDF

심방중격결손증의 외과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atrial septal defect)

  • 김현순;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4호
    • /
    • pp.511-517
    • /
    • 1983
  • For the purpose of clinical analysis of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the patients with atrial septal defect operated on during the period from Aug. 1959 to Aug. 1983 were analysed. The age of the patients was ranged from 3 months to 60 years and there were 132 males [45.3%] patients and 145 female patients [54.6%] in this series. The most frequent type was oval type defect in 219 [86.9%]. The PAPVC were present in 7 patients of high defect group. Clinical analysis revealed 53 patients [19.9%] were asymptomatic. The QP/QS above than 3.61 were 45 patients and less than 1.5 were 24 patients.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10 to 100 mmHg. The majority of the defects were closed in primary suture and closed with a Dacron patch in 19 patient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35 patients [13.1%] and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 was wound problem which was present in 10 patients.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as 1.6%.

  • PDF

이차공형 심방중격 결손중 (Secundum Type Atrial Septal Defect)

  • 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4권3호
    • /
    • pp.241-246
    • /
    • 1981
  • A series of 132 consecutive cases of secundum type atrial septal defect operated from 1963 to 1980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s analysed. The ages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2 months to 57 years and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1 to 1.4. Clinical analysis revealed 33 patients [26%] were asymptomatic and 15 patients [12%]had congestive heart failure. Hemodynamic analysis revealed that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which is the most serious risk factor is ASD developed in 10 patients [9%] and pulmonary artery pressu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age of 20 years. There were 10 patients with sinus venosus defect and 7 patients with parti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2%.

  • PDF

방사성 동위원소 심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단락량 측정법: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Measurement of Shunt Amount Using Radionuclide Angiocardiography: Accuracy According to Level of Shunt and Associated Lesion)

  • 김양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4호
    • /
    • pp.200-204
    • /
    • 2006
  • 목적: 산소포화도법과 비교하여 동위원소법을 이용한 Qp/Qs측정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이와 연관된 요인이 무엇인지, 추적 검사시 두 검사법의 결과를 서로 비교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 검사법으로 Qp/Qs를 측정한 2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은 폐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시간-방사능 곡선을 얻어서 gamma variate model에 적용하여 면적으로부터 Qp/Qs를 구하였다. 환자의 연령, 좌우 단락의 종류와 동반된 질환 등에 따라서 방사성 동위원소 조영술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의 상관계수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위원소 검사법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의 평균치는 각각 $1.85{\pm}0.50,\;1.74{\pm}0.51$이며, 두 검사법으로 얻은 Qp/Qs의 상관계수는 0.86 (p<0.001)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land-Altman 분석에서 두 검사법에 의한 Qp/Qs의 일치의 한계값은 $-0.42{\sim}0.63$, 범위는 1.05였다. 심실중격 결손증 환자에서는 상관계수가 0.9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치의 한계값은 $-0.29{\sim}0.45$ 였다. 심방중격 결손증, 심실중격 결손증, 동맥관 개존증 환자와 삼첨판 부전증과 승모판 부전증이 동반된 환자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0.78, 0.90, 0.84, 0.63, 0.44 였으며, 일치의 범위는 1.52, 0.74, 0.96, 1.57. 1.50이였다. 결론: 동위원소 검사법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는 전체적으로 좋은 상관관계를 보이나 일치의 한계값이 크므로 추적 검사시 서로 호환하여 사용하기 어렵다. 방실판막 부전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낮은 상관관계와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 교정술 후 발생한 가성 상행대동맥류 수술 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of the Ascending Aorta Following the Repair of Congenital VSD -1 case report-)

  • 안병희;김광휴;나국주;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64-568
    • /
    • 1996
  • 개심술후 발생하는 가성 상행대동맥류의 빈도는 매우 낮으나 점진적으로 진행하여 크기가 커지면 커 질수록 수술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으로 조기에 발견하여 주위 조직을 압박 변위시키기 전 에 외과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교실에서는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 교정술 후 50개월이 경과하여 발견된 가성 상행대동맥류 1례 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 에 문헌고찰과 합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14세 여아로9세때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으로타병원에서 팻취봉합술에 의한근치술을받고 합병증으로 창상감염이 발생하였으나 완치된 후 정상적인 생활을 하여오다 1 개월전에 발생한 운동성 호흡곤란과 전신피로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진중 가성 상행대동맥류로 진단되어 상행대동맥성형술을 받았다. 수술소견상 대동맥 및 심정 지액 관류를 위 해 삽관하였던 부위로 추정되는 상행대동맥에 각각 장 경 1.5cm정도의 개구부가 있었으며 가성대동맥류의 크기는 10$\times$7cm로 주폐동맥, 상대정맥, 우심방, 우심실 등을 심하게 변위시키고 있었다. 2개의 개구부 사이에 위치한 대동맥 벽을 제거하여 하나의 개구부 로 만든 후 Dacron graft를 재단\ulcorner여 만든 팻취를 이용하여 대동맥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합병증은발생하지 않았으며 술후 12일째에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 PDF

성인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삼첨판막 폐쇄부전의 판막륜 성형술 후 중기성적 (Intermediate-term Result of Tricuspid Annuloplasty for Tricuspid Regurgitat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in Adult)

  • 윤태진;김상화;이준완;박정준;송현;이재원;서동만;송명근;송종민;강덕현;송재관;장완숙;김영휘;고재곤;박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36-141
    • /
    • 2003
  • 성인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삼첨판막 폐쇄부전에 대한 판막륜 성형술의 중기 성적 및 잔존폐쇄부전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8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총 73명의 성인환자가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삼첨판막 폐쇄부전으로 판막륜 성형술을 받았다. 환자의 성비는 51:22로 여자가 많았고 연령은 16∼73세(평균 43세)였다. 진단은 심방중격결손(55), 심실중격결손(6), 부분 폐정맥 환류이상(4), 기타(8)의 순 이였다. 수술 전, 후 판막 폐쇄부전의 평균 혈류 속도는 각각 3.25 m/sec, 2.56 m/sec이었고, 판막 성형술의 방법은 De Vega 형(43), Kay 형(18), Ring Annuloplasty 형(12)의 순 이었다. 외래 추적기간은 2,347 patient-month (평균: 32.6개월)이었고, 이 기간 중 총 134예의 심초음파가 시행되었다. 초음파상 III/IV 이상의 잔존 판막 폐쇄 부전이 있는 경우 판막 성명술 실패로 간주하였다. 결과: 7명의 환자(9.6%)에서 판막 성명술 실패의 소견을 보였고, 이중 1명에서 삼천판막 치환술이 시행되었다. 잔존 폐쇄부전의 위험인자로는 심방 중격 결손 이외의 진단, 폐쇄부전이 우심실 압력 과부하에 의한 경우, 수술 후 높은 판막 폐쇄부전 혈류 속도 등으로 해석되었고. 판막 성형술의 방법은 잔존 폐쇄부전과 무관하였다. 결론: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이 우심실 압력 과부하에 의한 경우 판막 성형술 시 주의를 요하며, 수술 후 우심실 압부하가 소실되지 않는 경우 잔존 폐쇄부전의 위험이 높다.

위급한 객혈을 동반한 일측성 폐정맥 협착증 (Unilateral Pulmonary Vein Stenosis with Life-threatening Hemoptysis - A case report -)

  • 이재항;강창현;노정일;서정욱;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25-728
    • /
    • 2005
  • 환아는 생후 18개월 된 여아로 반복적인 위급한 과량의 객혈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과거력상 생후 6개월에 중증의 심비대 소견을 보이는 심방중격결손증을 진단받았으며 폐정맥 협착이 심비대에 의한 압박으로 생긴 이차적인 병변일 것이라 추정하여 심방중격결손폐쇄술만 시행하였다. 술 후 환아는 심비대와 폐정맥 협착이 완화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 중 환아는 반복적인 다량의 객혈로 다시 입원하였고 전산화단충촬영 소견 상 폐정맥 협착이 다시 심해진 것으로 판독되었으며 기관지 주변에 성상을 알 수 없는 연조직 종괴들이 좌측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반복적인 객혈로 인해 시험적 개흉술이 불가피하였고, 수술 소견상 좌폐정맥은 하나였으며 외견상 협착의 소견을 보였다. 좌측 기관지 주변에는 다발성 임파절 비대가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또한 수술 중 다량의 객혈이 발생하여 전폐절제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술 후 병리 소견은 폐정맥 협착과 일치하였다. 환아는 2일간의 중환자실 관리 후 6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2개월간 추적 관찰되었으며 증상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아 및 소아에서의 대동맥궁의 형성부전을 포함한 대동맥 교약증의 수술요법 -21년간의 수술 경험- (Repair of Aortic Coarctation and Arch Hypoplasia in Infants and Children)

  • 신윤철;이정렬;김용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85-291
    • /
    • 1996
  • 1973년 3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수술을 시행한 영아 및 소아 연령의 대동맥 교약증 157례를분석하 였다. 남아가 93명 여아가 64명 이 었고 연령은 1개 월부터 15세까지로 평균 23.8 $\pm$ 41.6개월이 었다. 영아 기의 주증상은 심부전이 었고(781113) 그 이상의 연령 에서 무증상이 빈번하였다(15/44). 단독 대동맥 교약증은 31례의 환아에서 있었고, 9례의 환아에서 심방중격결손이 있었으며(I군), 73명 의 환아에서 심실중격결손이 동반됐고(ll군), 44명의 환아에서 복잡 심기형이 있었다(III군).대동맥궁 의 형 성 부전은 17례의 환아에서 발견되었다. 수술은 71례의 환아에서 쇄골하동맥 편 성형술이 시행됐고, 단순 단단문합술이 32례, 조직편 대동맥 성형술이 26례, 확장 단단문합술이 27례, 기타 1례가 있었다, 전체 수술사망률은 17.2% (27/157)이었고, 재 협착률은 18.0% (28/157)이 었다. 수술합병증은 영아기에 서는 호흡기질환이, 그 이상의 연령 에서는 고혈압이 가장 많았다.

  • PDF

Cor Triatriatum with Infracardiac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Drainage

  • Man Jong Baek;Woong-Han Kim;Chan Young Na;Sam Se Oh;Soo Cheol Kim;Jae young Lee;Yang Bin Jeon;Seog Ki Lee;Chang-Ha L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52-55
    • /
    • 2002
  • 저자들은 심한 청색증을 주소로 내원한 체중 3.4kg의 생후 18일된 여아를 보고한다. 환자는 경흉부 심장초음파로만 진단되었으며 직경이 2mm 정도의 매우 작은 구멍을 가진 삼심방증과 횡격막하형의 폐쇄성 총폐정맥환류 이상, 매우 작은 심방중격결손, 그리고 승모판과 대동맥판의 전향성 혈류가 거의 없는 상태였다. 환자는 술전 검사에서 삼심방증의 매우 작은 구멍을 통한 전향성 혈류가 거의 없고 원위부 좌심방 및 좌심실의 심한 허탈로 인해 수술 전 양심실성 교정 가능성에 대한 판단이 매우 어려웠다. 심한 청색증으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중에 관찰한 승모판 및 좌심실 구조물들의 발육부전이 있었지만 체순환을 감당할수 있다고 판단되어 양심실성 교정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매우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환아는 퇴원 후 4개월째 외래추적중으로 심장초음파 검사에서 폐정맥 협착이나 승모판 기능에 이상은 없었다

2.8 kg 신생아에서 시행한 무혈 개심술 (Bloodless Cardiac Surgery in a Neonate Weighing 2.8 kg)

  • 최진호;김웅한;남진혜;이영옥;민병주;임홍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21-724
    • /
    • 2010
  • 심혈관계 수술에 있어서도 무혈수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무혈 심혈관계 수술은 성인 환자 층에 주로 국한되어 있다. 특히 심폐회로를 이용한 소아의 심혈관계 수술 시에는 혈액희석의 문제로 무혈수술은 기피되어 왔다. 저자들은 최근 여호와의 증인 신자를 부모로 둔 2.8 kg 환아에서 심폐회로를 이용하여 대동맥축착성형술,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무혈수술로 시행한 1예를 경험하여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