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리적

검색결과 7,469건 처리시간 0.036초

심리적거리가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Risks and Performance regarding Psychic Distance)

  • 황화철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63-87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심리적 거리가 소비자의 제품지각 및 구매의도와 같은 지각된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심리적 거리의 새로운 차원을 규명하고 심리적 거리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다. 또한 심리적 거리를 측정하여 심리적 거리의 새로운 차원을 규명하고 이론적 틀을 정립하였으며 심리적 거리가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가를 검증하고 있다. 주로 조직 간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기존의 연구들과 관점을 달리하여 소비자 관점에서의 심리적 거리가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가를 규명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첫째, 심리적 거리의 존재에 대한 몇몇 연구자들의 회의적인 견해와는 달리 국제마케팅활동에서 심리적 거리는 소비자 행동에서 외재적 단서로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심리적 거리의 새로운 영향요인이 도출되었다. 문화와 심리적 거리는 형성되는 방법에 있어서는 동질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나 심리적 거리는 문화의 변동성뿐만 아니라 다른 영향요인들에 의해 훨씬 더 복잡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문화는 심리적 거리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영향요인이지 심리적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변수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셋째, 심리적 거리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 PDF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Burnout)

  • 조상호;강대옥;김성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6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고,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32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기격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기격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격려는 연령대에서, 사회적 지지는 연령대와 경력에서, 심리적 소진은 연령대 및 결혼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기격려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지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가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격려는 사회적 지지보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한 자기격려 및 사회적 지지 증진 전략과 심리적 소진 감소 방안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효과적인 완화와 예방을 위한 자기교수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담적 접근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대와 심리적 부적응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시스템다이내믹스 컨설팅에 있어서 연구자와 고객의 심리적 격차

  • 김동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63-7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인과지도의 작성자와 독자 간의 심리적 격차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소산효과(dissipation effects)와 희석효과(dilution effects)는 인과지도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인과지도를 이해하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심리적 경향이라는 점을 이 논문에서 지적한다. 소산 효과란 인과고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인과관계의 강도를 낮게 인식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희석효과는 여러 개의 인과관게가 존재할수록 특정 인과관계의 강도를 낮게 인식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이들 심리적 경향과는 달리 집중 효과(concentration effect)가 인과지도 작성자의 심리적 경향을 보다 잘 설명하는 것으로 실험 결과 분석되었다. 집중 효과란 주의를 집중하는 영역에 대하여 많은 인과관계를 생각하고, 인과관계의 강도 역시 강하게 생각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인과지도의 작성자 즉 시스템 컨설팅을 담당하는 사람들에게는 소산효과나 희석효과 보다 집중효과가 더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비대칭성이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자와 그의 고객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야기 시킨다는 점을 본 논문에서 지적한다.

  • PDF

마음챙김 기반 MBSR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자의 자기돌봄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정주산;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38
    • /
    • 2023
  • 2000년대 들어 상담에 대한 관심과 상담 수요가 크게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직무 특성상 상담자들 또한 심리적인 어려움들을 느끼면서 상담자 스스로 자신의 정신 건강 및 유지를 위한 자기돌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담자는 많은 시간을 내담자와의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서 내담자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과 도움을 제공해 줌에 있어 지속적인 치료 과정을 함께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상황 대면을 통한 치료 과정을 함께하면서 치료의 긍정적인 면을 접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 소진과 다양한 정서적 피로도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심리적·정서적 소진과 피로도에 대해 적절하고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상담자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자기돌봄이 필요하며, 상담자 자신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마음 챙김에 기반한 MBSR 프로그램이 다양한 상담 현장에서 심리적 소진을 겪고 있는 상담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특히 상담자의 자기돌봄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경력 1년에서 5년 미만의 상담자 40명을 대상으로 주 1회기, 회기 당 2시간의 총 12주간의 MBSR 프로그램을 통한 상담자의 자기돌봄 및 효능감의 변화가 상담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요인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상담자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소진의 완화를 통한 안정적인 상담 현장이 조성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심리적 경험보고(debriefing)의 문제점들과 올바른 적용을 위한 제언 (Problems in Psychological Debriefing and Suggestions for Best Practice)

  • 이승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1호
    • /
    • pp.63-8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형 사고나 자연재해 등 외상적 사건 발생 후 초기의 심리적 중재방법 중의 하나로 제공되어온 심리적 경험보고(psychological debriefing)의 대표적 모델들에 대해 소개하고, 그 효과에 대한 논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심리적 경험보고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일관된 결론을 이끌어 내기가 어렵다. 현재로서는 CISD 등의 기법들에 대해 지적되어온 관련 문제들을 고찰하여 위기 현장에서 심리적 경험보고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며, 논의 부분에 이를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과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High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 이경미;박정환;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74-77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 대표적인 적응 지표로서 기능하는 정서지능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고등학생들의 내외통제성에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제주시 고등학교 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지능과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과 내외통제성과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이 내외통제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지능과는 높은 관련성이 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자신의 선택한 결과를 외부의 환경에 두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 노력 등으로 귀인하는 내외통제성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을 함양시키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 이용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해서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 따라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부산 울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79개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있어서 직무만족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관광업체 종사자의 잡스케이프(jobscape)와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cape and Psychological Welfare of the Employees in Tourism Industry)

  • 지명원;이강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7-289
    • /
    • 2017
  •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들의 직무만족감 개선을 위한 심리학적 융합연구이며, 관광업체 종사자의 잡스케이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러한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여행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환경을 포함하는 잡스케이프는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안녕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소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잡스케이프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업체 종사자들의 심리적 복지감에는 잡스케이프가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조절변수임을 밝힘으로써 관광업체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가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gagemen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on Proactive Behavior)

  • 박은혜;김미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127-140
    • /
    • 2022
  •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보다 차별화된 전략과 경영 변화를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행동이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함을 전제로 조직 전체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개인적인 요소로서 주도적 행동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주도적 행동의 성격을 고려하여 일정규모 이상인 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00개의 표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유능성,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주도적 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주도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열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 받음으로써 직장 내에서 스스로가 활력과 몰두, 헌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가 높을수록 주도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주도적 행동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살펴봄으로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급변하는 환경에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인적자원의 잠재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고취시키고 이를 통하여 주도적 행동을 높이므로, 관리자들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유능하고 역량을 갖춘 구성원 스스로 잠재력을 개발하고 인식하여 조직을 쇄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동인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omantic Competence)

  • 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5-147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 연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연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대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낭만적 애착, 연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낭만적 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차원과 회피차원이 모두 낮은 안정애착유형일수록 연인관계 유능성의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고, 연인관계 유능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능성은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고, 연인관계 유능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애착과 같은 정서적 측면뿐 아니라 연인관계 유능성과 같은 관계기술 능력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계발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