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행체계

검색결과 816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the Design of System Access Control Softwar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and Survivability of Naval Combat Management System

  • Jong-Hyeon 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37-14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보안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함정 전투관리체계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체계접근통제 소프트웨어를 제안한다. 함정 전투관리체계를 구성하는 체계접근통제 소프트웨어의 운용 환경 구성 및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 개선, 함정 전투관리체계 운용 환경 분류 정의, 부하율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병렬 실행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체계접근통제 소프트웨어를 개선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구성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운용자에게 신속한 운용을 제공하고, 긴급한 상황 속에서도 환경 구성이 완료되지 않으면 함정 전투관리체계를 운용할 수 없는 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그리고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기존 함정전투관리체계를 모의하여 시험환경을 구성하였으며, 운용 분류 별 실행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기존 함정 전투관리체계 대비 기본 전투관리체계 실행시간은 약 69.3% 감소하였으며, 교전 전투관리체계 실행시간은 약 54.9% 감소하였으며, 통합 전투관리체계 실행시간은 약 8.4%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컴퓨터 대수체계(CAS) Module이 포함된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 -연립 일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Casio fx2.0-

  • 허만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0권
    • /
    • pp.505-517
    • /
    • 2000
  • 수학 학습에서 컴퓨터와 계산기의 활용은 시각화의 강화로부터 직관력과 사고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컴퓨터 대수체계(Computer Algebra System)가 탑재된 수학 학습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계산기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교수매체로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전달 체계와 학습자의 지식 구성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다. 특히 수학학습용 그래픽 계산기(Graphing Calculator)는 휴대형(Hand-held Technology)으로 학습공간의 이동(Mobil Education)이 가능하며, 수학학습 전용기라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는 계산기를 가지고, 기호연산 실행 조작을 통해 자신의 사고과정을 표현하고,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는 실행 조작에 즉각적으로 과정과 결과를 제공하며, 다른 표상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의 규제가 강화된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지식 정보전달 체계인 대화형 실행매체(IMTs)를 작성하여 학습자의 지식 형성에 안내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CASIO fx 2.0을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을 그래프 표상과 연계한 방정식의 풀이과정을 통해 알아본다.

  • PDF

공동주택에 대한 부위별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 -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lemental Costs for an Apartment Building)

  • 강현욱;유종환;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73-18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적용하여 사례대상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를 산정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적공사비제도, 표준품셈제도, 공사비지수에 대해 고찰하고, 현행 공동주택 공사비 산정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H사가 시행한 공동주택 사례를 선정하여 부위별 분류체계를 정립한 후 하도급 업체와 거래한 실행단가를 분류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 분류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으로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의 부위별 분류 체계를 정립하였고, 둘째, 부위별 분류 체계에 따른 공사비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IMC 연구의 체계적 이론 모델 구성을 위한 비판적 탐색

  • 이재진;최민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4권
    • /
    • pp.119-150
    • /
    • 2004
  •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래 IMC는 국내외적으로 실무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1990년대 이래 학문적으로도 많은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IMC는 여전히 새로운 학문분야로서 아직도 학문적으로 많은 논쟁이 일어나고 있으며 체계적인 이론 정립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국내외 IMC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IMC 연구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쟁점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IMC 관련 연구를 IMC의 개념 및 인식에 관한 연구, IMC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IMC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IMC 실행의 효과에 관한 연구 등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각 분야 연구들의 논점들을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IMC 연구에 있어서 주요 쟁점으로 학문적 체계에 관한 문제, IMC 실행 수준의 측정 문제, 연구방법상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문제 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IMC 연구방향으로 IMC 정의 및 개념의 통일, 객관적인 IMC 측정방법의 연구, 광고주나 대행사뿐만 아니라 소비자 측면에서의 연구, 광고주와 대행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 구체적인 통합의 범위와 정도 및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 주수언;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
    • /
    • 2016
  • 본 연구는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세 행동체계 중심의 교육과정 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큰 어려움 없이 개별 가정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세 행동체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는 2009 개정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명의 개발진, 3명의 검토진, 15명의 전문가 협의진을 구성하고 3차안에 걸쳐 세 행동체계 중심 교육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1차안은 의, 식, 주, 가족 아동, 소비 가정경역과 세 행동체계를, 2차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중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최종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지역실행연구(CBR)에 의한 지역아웃리치(Community Outreach) 실천분석 -농촌지역사회를 대상으로- (A Community-Based Research on Rural Community Outreach)

  • 홍현미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105-129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지역사회에 대한 지역아웃리치를 실천하는 사례를 대상으로 지역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재구성한 실행계획 중 지역아웃리치의 성과는 첫째, 서비스 전달체계의 변화, 둘째, 자원동원, 셋째, 주민조직화 및 옹호활동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실행계획에 의한 실천결과 지역아웃리치의 절차를 지역사회 들어가기, 지역사회 뿌리내리기, 사업의 이양과 종결하기로 도출하였다. 또한 재구성된 실천결과를 분석해서 발견한 지역아웃리치의 함의는 첫째, 지역아웃리치 접근법은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로부터 단절 고립된 농촌지역을 발견하고 그 곳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지역아웃리치 접근법은 복지 소외지역사회와 일반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실천이다. 셋째, 지역아웃리치 접근법은 복지 소외지역을 위한 사회자본의 재구조화를 촉진하는 함의를 지닌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한다. 첫째, 농어촌이동복지관 사업 법령 제정과 전달체계 마련, 둘째, 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셋째, 의료 전문직 전달체계와의 연계 시급, 넷째, 농어촌 형 사회복지전달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 PDF

자료 기지 관리를 위한 낙관적 동시성 제어 기법의 재시작 부담 (RESTART OVERHEAD IN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SCHEMES FOR DATEBASE MANAGEMENT)

  • 이혜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9-118
    • /
    • 1995
  • 자료 기지관리 체계(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에서 실시간 처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동시성 제어 기법 중의 하나가 낙관적 기법이다. 낙관적 기법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Kung에 의해 제안된 이래 여러가지 변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변형된 기법들에 대한 성능 차원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실시간 체계 등에 적용시 기법의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ung이 제안한 원형 기법과 이의 대표적 변형 기법들의 근간이 되는 순간 검증을 이용한 기법을 비교하였다. 원형 기법은 거래의 직렬화 가능성을 파괴하지 않는 거래간의 충돌까지 철회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충돌된 거래를 재시작하는 측면에서는 순간 검증 방법보다 불필요한 재실행을 해야 하는 만큼의 시간적 부담이 크다. 그러나 원형 검증 방법은 버퍼 보유 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를 제공하지 않는 순간 검증 기법보다 충돌된 거래의 재시작으로 인한 부담이 적다. 왜냐하면 충돌된 거래에 대한 실행시 필요한 모든 객체들이 이미 준비되어 있다면 거래의 재실행시 드는 시간적인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처리 기간이 긴 장기거래 위주로 실행하는 환경에서는 순간 검증을 이용한 기법이 불리하였다. 왜냐하면 한 거래가 처리 단계에 있을 때 실행을 완료한 거래들의 수많은 순간 검증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 PDF

공공도서관의 운영체계 및 지위적 역할 설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하여 -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ructure and Status Role of Korean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노지현;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9-122
    • /
    • 2018
  • 우리 정부에서는 외국 도서관의 운영사례를 참고하여 지역중앙관과 거점도서관, 소규모 분관으로 구분하는 '지역 도서관 서비스 실행 체계'에 관한 추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도서관계의 관심이 저조하고, 무엇보다 운영주체의 이원화로 인한 구조적 문제에 가로막혀 지금까지 어떠한 실행전략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하여 지역 공공도서관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통합 운영체계(안)을 제안하고, 이러한 통합 운영체계 속에서 도서관의 지위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구상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1) 공공도서관의 통합적 운영체계에 대한 그간의 실행계획을 검토하고, (2) 해외 도서관의 운영체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시도한 다음, (3)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하여 통합 운영체계를 전제로 한 도서관별 지위와 역할 설정 등 현실적인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방문조사 및 문헌연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이메일 질의와 각종 통계자료로 보완하였다.

1/1,000 수치지도 구축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1/1,000 Digital Map Construction System)

  • 박찬혁;송영선;김원대;이상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38
    • /
    • 2016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현재 제작 관리중인 우리나라의 지도는 축척에 따라 1/1,000, 1/2,500, 1/5,000의 대축척 지도와 1/25,000, 1/50,000 및 이하 소축척 지도가 있다. 이 중에서 1/1,000 수치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대축척 수치지도로서 1995년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의 추진과 함께 구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1/1,000 수치지도는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계획에 근거한 기본측량에 의한 제작보다는 지방자치단체의 당해 연도 목적에 의한 공공측량으로 많은 부분이 제작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1/5,000 수치지도가 최신성의 확보를 위해 상시수정체계로 제작됨에 비해서 1/1,000 수치지도는 대축척 지도로써 정확도 확보와 정밀한 공간정보의 제공을 위해서 많은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지금까지 원활한 지도의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구축된 1/1,000 수치지도를 측량 주체별, 자자체별, 대상지별로 구축현황을 조사하고, 구축을 위한 실행체계, 구축대상지 선정 등에 대한 문제점과 수치지의 수정주기 및 최신성 등을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제시하였다. 문제점의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으로서, 3년 이내 정비 및 3년 주기 상시수정을 위한 전국의 3권역화, 지형 지물을 이용한 핵심도심지 경계의 재설정, 예산집행 방식의 다양화 및 실행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PI 정보 저장소를 활용한 동적 재구성 지원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e Dynamic Binding Systems using API Information Repository)

  • 윤석진;김선자;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8-201
    • /
    • 2009
  • 오늘날 운영체계와 미들웨어는 수많은 API를 제공하고 있다. 최종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API를 활용하여 개발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문서와 같은 형태의 API에 대한 기술은 기계가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힘들며 개발자 입장에서도 API를 이해하기 위해서 책을 직접 읽고 이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docgen과 같은 도구들이 있으나 결국은 개발자 관점에서는 API를 직접 숙지하여야 하며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직접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API 호출 부분을 작성하여 개발하여야 한다는 부분은 동일하다. 또한 서로 다른 다양한 운영체계에서는 형식은 다르지만 유사한 기능을 제공을 하는 API들이 있으나 개발자는 특정 운영체계의 API에 맞추어서 각각의 운용체계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PI에 대한 정보에 대한 규격을 정의하고 각각의 API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하여 메타 기술언어를 사용하여 기술하여 저장소에 저장해두고 실행시에 이러한 API정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동적으로 바인딩시켜서 실행시키는 체계에 대해서 논의한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려고 하는 API와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API를 동적으로 결합시키는 엔진에서는 운영체계별 API의 차이에 의한 부분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체계를 활용하면 동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응용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하부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표준 API를 기술하는데 있어서도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메타 방식의 API 기술표현을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표준 규약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