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증

Search Result 12,84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 실증결과

  • 정우리;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74-275
    • /
    • 2022
  •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의 실증을 위하여 원격제어시스템 실증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는 크게, 원격추종테스트, 원격제어테스트, 원격조종테스트 세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제어시스템 실증을 위하여 실습선 한나라호와 육상제어센터 내 원격제어시스템을 통신네트워크(LTE, VSAT)을 통해 테스트하였다. 실습선을 활용하여 연안항해(부산-여수-부산) 중 안전수역(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부근)에서 10°/10° 지그재그 및 20/°20° 지그재그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실증 결과에 따라 원격제어시스템 내 핵심모듈의 부분적 문제점을 식별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on Affective Commitment -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

  • Ryu, In-Ae;Ko, Sung-Hoon;Moon, Tae-Wo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8 no.1
    • /
    • pp.43-61
    • /
    • 2019
  • It is true that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ies on the companionship to social welfare workers until now. Thus, this study has reduced the need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experienced and outcome variables by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the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the psychological effect formed by the psychosomatic concentration. Thi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or empirical research, the hypothesis was verified after a survey of 369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showed that the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affective commitment, the effect of the medi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lso been proven to be significant.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ffective commitment, it has been noted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s also been proven to be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compassion. This study will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social workers' behavior to be more compassionate in their attitude to customers.

Engineering-scale Validation Test for the T-H-M Behaviors of a HLW Disposal System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 규명을 위한 공학적 규모의 실증시험)

  • Lee Jae-Owan;Park Jeong-Hwa;Cho Won-Ji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4 no.2
    • /
    • pp.197-207
    • /
    • 2006
  • The engineering performance of a high level waste repository is significantly dependent upon the T-H-M behavior in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An engineering-scale test facility (KENTEX) was set up to validate the T-H-M behaviors in the buffer of a reference disposal system developed in the 2002. The validation tests started on May 31, 2005 and is now in progress. The KENTEX facility and validation test programme are introduced, and pre-operation calculations are also presented to give information on the sensitive location of sensors and operational conditions. This test will provide information (e.g., large-scale apparatus, sensors, monitoring system etc.) needed for 'in-situ' tests, make the validation of a T-H-M model for the T-H-M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reference disposal system, and demonstrate the engineering feasibility of fabricating and emplacing the buffer of a repository.

  • PDF

매출채권관리의 국내 연구동향과 연구방향

  • Lee, Jong-Gap;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67-171
    • /
    • 2018
  • 본 연구는 지난 50여 년 동안 국내 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에 등재된 총 34편의 국내 매출채권관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매출채권관리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다음과 같이 국내 매출채권관리 관련 연구의 동향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연구의 대상에서 규모의 측면을 살펴볼 때 대부분 중소기업 이상이다. 이는 매출채권관리의 전, 후 결과를 비교적 단기간에 명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연구결과의 활용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현실적인 매출채권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은 중소기업이 더욱 절실하다. 둘째, 매출채권관리 관련 연구는 매출채권관리의 성과를 제고시키기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내용은 사전적 채권관리와 사후적 채권관리로 나눌 수 있었다. 기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전적 채권관리는 신용판매관리와 신용통제관리, 사후적 채권관리는 회수관리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는 매출채권관리의 주요변수로 간주되고 있다. 셋째, 연구 분석방법의 양에 있어 질적 연구와 실증 연구는 질적 연구위주의 편협된 비율로 이루고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가 있다. 매출채권관리가 1969년대부터 1990년대 까지는 질적 연구로만 이루어져 있고, 2000년대부터 실증연구가 시작된 이후 2010년부터는 매출채권관리 연구는 실증 연구위주로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질적 연구에 비해 실증 연구가 매출채권관리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에 더 용이하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연구주제에 있어 실증 연구보다 질적 연구가 연구주제의 다양성이 높은 반면 실증 연구는 연구대상이나 연구에 사용된 변수가 한정적이어서 향후 매출채권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의 탐색이 요구된다. 질적 연구의 경우 사례연구 등을 통해 매출채권관리의 과정과 방법, 문제점,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증 연구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가 매출채권관리의 성과 검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사용된 변수가 한정적이고 유사한 변수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PDF

Review of CO2 Storage Projects and Driving Strategy of CO2 Storage Program in Korea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사업의 추진현황 검토 및 한국의 추진방향 제안)

  • Gwon, Lee-Gyun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2 no.2
    • /
    • pp.167-185
    • /
    • 2016
  • $CO_2$ 지중저장 기술은 가장 유력한 대용량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여 국제적으로 노르웨이, 알제리, 캐나다, 미국 등에서 이미 대규모 실증 및 상용화 사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호주, 일본, 네덜란드, 독일 등 그 밖의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내용과 규모를 갖는 중소규모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도 소규모 육상 파일럿 저장 프로젝트와 중규모 해상 저장실증 프로젝트가 추진되어 착실하게 기술개발과 경험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CO_2$ 지중저장 사업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온실가스 감축시장의 불안전성, 사업의 수익구조와 관련된 경제성, 누출에 대한 안전성 등의 위협요소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과 안전한 지중저장 기술의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 저장소가 주요 포집원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갖고 있는 해저에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지중저장 사업의 경제성 확보가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따라서 정부나 기업이 CCS 기술을 주요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채택하여 대규모 지중저장 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한국과 같은 불리한 조건을 갖는 국가의 경우에 특히 대규모 저장소의 확보를 포함한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의 실용화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CO_2$ 지중저장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소의 확보,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의 개발과 실증을 통한 실용화, 중소규모 지중저장 실증사업으로 축적한 기술과 경험으로 대규모 지중저장 사업의 효율화 달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실천적인 로드맵과 프로그램의 작성과 착실한 이행 역시 중요하다. 이러한 기반이 착실하게 다져질 경우에 한국에서 대규모 CCS 통합실증과 $CO_2$ 지중저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nd Selection criteria of Intelligent Security Technology Test-be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 개념 정립 및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 Shin, JuHo;Han, SunHee;Lee, JaeY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45-54
    • /
    • 2014
  • Establishment of safety ne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ttracts large attention because of the recent crime increasing against vulnerable groups.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social safety net, the test-bed for evaluation and realization of crime-related research results is required. However, previous R&D test-bed projects such as The Korean Land Specialization Program or U-Eco City project remains only to the stage of verification. Therefore, there are limitedness for realization of result technologies or sustainable operation & management of test-bed after projects finished. So, sustainable operation & management system and guideline of test-bed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test-bed cases and intelligent security researches. After reviewing, the concept of a Intelligent Security Test-bed is established and appropriate test-bed selection criteria is also suggested. Based on objective criteria, selected test-bed can achieve sustainable management even after finishing the project and contribute the construction of standard model for citizen's safety.

German Historicism, Positive Historical Sci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rchival System of the 19th Century: Ranke, Sybel, Lehmann and the Principle of Provenance/Original Order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 랑케, 지벨 그리고 레만과 출처주의/ 원질서 원칙)

  • Noh, Meung-Hoa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14
    • /
    • pp.359-388
    • /
    • 2006
  • This article shows how the tradition of German historicism and positive historical scienc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German archival system, especially the principle of provenance and original order. The theory of historicism focused on the recognition and realization of the individuality of the history as a whole unit which is made up of the mutually and organically organized cultural entities. The theory of historicism as this kind of world view got its academic basis from the methodology of the positive historical science, namely the critical reviews on the archival sources which exist in mutually and organically organized record entities. In this context, the scholars of the historicism saw the establishment of the efficient archival systems as necessary. To some great degree, the emergence of the principle of the provenance and original order was its logical result.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highlight this point of view historically, on the basis of the activities of Ranke, Sybel and Lehmann around and in the Prussia Privy State Archives throughout the 19th century.

A Study on Sleep-Wake Assessment for Substantiation of Sleep Products (수면 제품 실증을 위한 수면-각성 평가에 대한 고찰)

  • Lee, Yu Jin;Kim, Da-Jeong;Lee, Hayou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7 no.2
    • /
    • pp.51-55
    • /
    • 2020
  • In this paper, we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evaluation methods for validation of sleep products for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leep industry. Foreig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trying to verify products relatively systematically for demonstration purposes, but they are using different method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and standardized validation guideline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Korea, there has been little evaluation including objective verification for sleep products. Sleep-wake evaluation for validation of sleep products requires expert evaluation of the product and of the product effectiveness by users,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sleep-wake evaluations and circadian rhythm evaluation methods can be used. For more accurate verification, experimental designs such as randomization method, control product utilization method, and cross-experiment design can be used.

Development of Demonstration Technology for Flash Flood Forecasting using Rainfall Radar in Flood Vulnerable Area of Nakdong River Basin (강우레이더 자료를 활용한 낙동강유역 홍수예보 취약지역 돌발홍수예보 실증 기술 개발)

  • Hwang, Seok Hwan;Shin, Chang Ho;Kim, Keuk Soo;Choi, Kyu Hyun;Cho, Hyo 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20-320
    • /
    • 2021
  • 홍수피해가 빈발하는 도시 및 소규모 산지 유역에서와 같이 지체시간이 짧은 유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돌발홍수는 우량계와 기존 하천유역 예보시스템만으론 예보가 불가능하다. 동일한 강우에서도 지역에 따라 침수시간이나 침수심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돌발홍수예보를 위해서는 지역에 따른 침수특성과 유속특성을 달리 고려해야 한다.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유역 시공간 상세 홍수예보기술 개발(환경부)'에서 개발한 '국지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은 지역별 검증된 침수특성과 유속특성의 관계식을 산정하여 돌발홍수예보 기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도달시간이 짧은 도시 및 산지에서 홍수예보 선행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강우레이더 기반 돌발홍수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범 운영 중이다. 그러나 도시·산지 중소하천유역 등 홍수예보 취약지역에 대한 돌발홍수예보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돌발홍수위험 예보 기준을 정밀하게 평가·검증·개선 할 수 있는 실증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21년부터 3개년 동안 홍수예보 취약지역에 강우레이더와 경제적 IoT 관측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홍수예보 실증기술을 개발하여 전국 돌발홍수예보 실용화 기반 구축하고자 한다. 홍수피해 취약지역인 도심지, 산지·계곡, 해안지역에 실증 테스트베드를 선정하고 강우레이더-IoT 실증 관측망을 구축하여 돌발홍수예보 기술 실증과 돌발홍수 위험기준 설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불어 도시 중소하천유역 홍수예보 활용을 위한 소형강우레이더 강우량 정확도 개선 기술 개발과 홍수기 강우레이더 기반 홍수예보 관-연 협업 시범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며, 최종적으로는 강우레이더와 IoT 정보 기반 돌발홍수 실증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Demonstration Procedure for Onboard Ship Equipment (선내 장비 실선시험을 위한 절차연구)

  • Hyoseung Kim;Geonhong Kim;Seoje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18-219
    • /
    • 2022
  •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the Ulsan ICT Promotion Agency are building an electric smart ship using a full range of ICT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are expected to demonstrate it in 2022. For the demonstration of onboard ship equipment, it needs to develop a demonstration procedure. There are 4 types of onboard equipment preferentially se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monstration test procedure which are an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a ship RADAR system, a voyage data recorder, and a ship energy efficiency monitoring system. This paper describes the demonstration procedure based on the equipment standard for the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among 4 selected types of demonstration equipment, and also the verification test checklist and template is introdu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