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제적인 교수

검색결과 777건 처리시간 0.028초

예비 과학교사들의 상대주의 인식론과 과학 교수·학습관 사이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ivist Epistemology and their Pedagogical Belief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1-233
    • /
    • 2002
  •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 등의 철학적 근거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이해력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참가한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구성주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과 일관된 철학적 개념들을 명시적으로 논의 및 검토하였다. 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들이 지닌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들이 과학교사로서의 역할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4회의 심충 인터뷰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는 각 예비 교사들의 존재론, 인식론 및 교수론적 신념에 있어서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이들 예비 교사들의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들이 그들의 과학 교수${\cdot}$학습관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어떤 예비 교사들은 관념론과 상대주의자의 관점을 내면화하였지만 그들은 이러한 상대주의 인식론적 관점을 그들의 수업의 실제상황 속으로 통합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오류 가능성이 있고 잠정적인 과학 지식의 본성 측면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이 지니고 있던 인식론적 신념이 그들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로서의 역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교사양성 프로그램 및 예비 교사들의 철학적 신념변화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수학과 화학 통합교육의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 (Teaching & Learning of Function Based on the Class Structure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 Chemistry)

  • 박조령;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497-524
    • /
    • 2011
  • 교과간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요즘 본 연구는 간학문적 통합교육이 가능한 수학의 함수단원과 화학의 분자운동단원을 선택하여 통합적 교수모형을 설계하고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총 5단계의 8차시에 걸친 사례연구를 2010년 2학기말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과학통합교육은 상호 교과의 공통내용을 학습하는데 시너지효과를 주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실생활의 자연적 현상에 대한 예로부터 MBL를 사용하여 기체의 부피, 온도, 압력 등의 측정값을 구하였고 이 측정값으로부터의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속에 함수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두 주제가 공통의 학습목표를 지향하기에 Fogarty의 통합적 교수모형이 적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통해 전체 5단계를 걸쳐 학습하는 동안 함수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어 일반화하는 단계까지 점진적 수학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통합이 가능하였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생 중심 탐구수업을 지향하는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행 -초등학교 '온도와 열' 단원에 대한 RTOP 분석을 중심으로- (The Self-Perception and Science Teaching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iming for Student-centered Inquiry Classes -Focusing on RTOP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Temperature and Heat' Unit-)

  • 신채연;김효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1호
    • /
    • pp.88-10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경력교사를 대상으로 그가 인식하는 자신의 과학수업과 수업 관찰 도구인 RTOP을 활용해 평가한 과학수업을 비교하여 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생 중심 탐구수업의 실행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의 '온도와 열' 단원 수업 녹화 자료와 교사 면담 자료, 그리고 연구 참여자의 교실 수업 스타일 설문 결과를 수집하였다. 녹화된 수업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교사의 교실 수업 스타일 설문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의 대상 교사는 탐구 지향/학생 중심 수업을 실천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RTOP 점수로 판단한 결과는 근소한 차이로 과도기적/학생 영향 수업인 것으로 밝혀졌다. H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높은 이해와 내용 지식을 바탕으로 수업을 계획, 실천하였으며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과학 교실문화를 조성하였다. 하지만 교수 설계 및 실행에서 여전히 교사 주도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며, 프로젝트 주제와 내용이 학생들이 과학 탐구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을 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결국 탐구 지향/학생 중심 과학수업을 위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업 실행 사이의 근소한 차이는 '교수 설계 및 실행'이 얼마나 학생 중심적인가, 어떻게 학생의 과학 탐구 과정 경험을 위한 '절차적 지식'이 뒷받침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것인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의도와 노력이 실제로 실행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일은 교사의 자기 평가만으로는 부족하며, 외부 관찰자에 의한 과학수업의 객관적 분석과 평가, 결과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고미례;남정희;임재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4-67
    • /
    • 2009
  • 이 연구는 교사들이 가진 교과교육학 지식은 교사의 수업 계획과 실행에 영향을 주며 그와 동시에 교수 활동과 그에 대한 반성 또한 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 하에 신임 과학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교육학 지식과 관련된 참고문헌을 조사하여 수업분석준거를 설정하였으며, 2명의 신임 과학교사들의 수업 20 차시를 관찰 및 녹화하였으며 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보고서 그리고 수업지도 계획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가진 교수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교사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들을 실제 수업에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연구기간 동안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경험을 쌓음으로써 교과교육학 지식에 많은 영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계기는 자신의 수업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반성적 보고서 작성과 단지간의 심도 있는 연수 참여, 그리고 면담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반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 등이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 양상은 각 지식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변화하기보다는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게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f Difficulti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lass on Weight)

  • 박준형;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5-30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무게 재기 단원을 지도한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무게 재기 단원을 학습하는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사 대상으로는 설문지, 면담, 자기반성성찰지를, 학생 대상으로는 설문지, 단원평가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복적으로 자료를 검토하고 범주화 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과학교육 전문가 2명과 함께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교사들의 절차적 지식의 부족,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 충분하지 못한 수업환경, 그리고 학생들의 조작능력 미숙으로부터 나타났다.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오개념의 발생,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 조작능력 미숙, 수학적 능력의 부족, 실제에 원리 적용의 어려움, 문제해결능력 부족으로부터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들은 학생들이 실험부분에서 더 어려움을 겪는다고 인식을 하였으나 학생들은 개념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편수 자료 개정을 위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mathematics glossary)

  • 김흥기;박교식;박경미;이장주;정승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79-225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ㆍ고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포함한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에서 수학 용어 및 수학자ㆍ수학교육학자 인명의 정화성과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기존의 수학과 편수 자료를 수정ㆍ보완하는 것이다. 1987년 편수 자료가 확정된 이주 두번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이 있었으나, 그에 따른 편수 자료의 수정 보완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편수 자료는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이 교과서 개발과 실제의 수학 교수-학습에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때 학교수학의 범위에서 최신의 자료를 참고하여 기존 편수 자료의 오류를 바로 잡고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편수 자료 개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1987년 편수 자료를 포함하여 이전에 편찬된 편수 자료와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기호, 인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학교수학 용어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분석하며 용어의 정비 방향과 인명의 표기 장안을 도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제안된 용어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전국적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편수자료에 포함될 용어를 확정하였다.

  • PDF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Teachers)

  • 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5-143
    • /
    • 2001
  •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교육 실제에 대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신념과 실제 교수 활동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Concern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 김선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21-234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ascertai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lative to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and (b) to determine the relative difference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nd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lthough interest in 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ot new, it has commanded considerable attention recently, reflecting concern about growing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A questionnaire measure of 4-and 5-year-old classroom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based on the guideline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hich was consisted of the Teachers' Beliefs Scale(TBS) and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Scale(IAS), was administered to 215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215 kindergarten teacher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not only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but also betwee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belief and activities, and between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beliefs and activiti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 groups on the mean scores of each subscale, revealing that kindergarten group had a greater mean score on both TBS and IAS than child care cent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teaching in either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which is not congruent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lso, the information obtained with the questionnaire has supported the contention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are need to be amalgamated based o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 PDF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안드로이드기반 협동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이명숙;손유익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1-79
    • /
    • 2011
  • 본 논문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한 협동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함으로써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글을 올리면 즉시 볼 수 있고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할수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다. 개발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과제해결을 위해 실시간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상호작용과 피드백으로 인한 학업성취도와 학습 흥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자의 수준을 세밀하게 파악하여 학습자에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