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ing & Learning of Function Based on the Class Structure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 Chemistry

수학과 화학 통합교육의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5.04
  • Accepted : 2011.09.20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tudents' learning about the function of math combined with molecular motions of science using the block scheduling. It was based on the revised Class Structure Model of Lee et al.(2010) where MBL as a tool was used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integrated concepts. The researcher provided the 6th grade students who lived in Sung Nam-Si, Kyung Gi-Do with 8 unit lessons, consisting of 5 stages of CS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showed synergic effect in studying both subjects and brought a positive result in gradual mathematization. It may be hard to combine all the contents of mathematics and science together. However, learning the relation between volume and pressure, and between volume and temperature of gas used as an example of function shown in our daily life was appropriate through Fogarty's integrated education model because it supported the objective of both subjects. Also, it was a good idea to develop CSM because it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from both subjects held in the same period of a year. Through the five stages, students were able to establish and generalize the definitions and the concepts of function.

교과간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요즘 본 연구는 간학문적 통합교육이 가능한 수학의 함수단원과 화학의 분자운동단원을 선택하여 통합적 교수모형을 설계하고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총 5단계의 8차시에 걸친 사례연구를 2010년 2학기말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과학통합교육은 상호 교과의 공통내용을 학습하는데 시너지효과를 주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실생활의 자연적 현상에 대한 예로부터 MBL를 사용하여 기체의 부피, 온도, 압력 등의 측정값을 구하였고 이 측정값으로부터의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속에 함수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두 주제가 공통의 학습목표를 지향하기에 Fogarty의 통합적 교수모형이 적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통해 전체 5단계를 걸쳐 학습하는 동안 함수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어 일반화하는 단계까지 점진적 수학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통합이 가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09-41호.
  2. 김남희 (1997). 변수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및 학습지도 방향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대환 (2009). 팀티칭을 활용한 과학과 수학의 통합 교과형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정 (1996). 수학 교과가 과학 교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5. 김용식 (2002).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6. 김정화 (2008). 수학교과와 과학 교과의 통합 교육을 위한 연구 : 중학교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교식 (1992). 함수 개념 지도의 교수현상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박창균 (2010). 수학과 학문융합, 한국수학사학회지, 23(1), 67-78.
  9. 신은주 (2005)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4), 419-444.
  10. 신은주 (2006) 등가속도 운동에서 미적분의 기본 아이디어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수학교육학연구, 16(1), 59-78.
  11. 서보억․김혜경․김주영․김종재․김현지․채정림 (2008). 수학의 이해가 과학의 학습에 미치는 경향 분석 및 교과연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77-694.
  12. 안경찬 (2005). 초등학교 6학년 통합교육과정 실행연구.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염규아 (2007). 중학교 수학/과학 통합 교육을 통한 중학교 일차함수 개념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우정호 (1998).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이종희 (1999). 함수 개념의 역사적 발달과 인식론적 장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4(2), 133-150.
  16. 이종희․김부미 (2003). 교수학적 처방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차함수 오개념의 변화와 그 효과분석, 학교수학, 5(1), 115-133.
  17. 이혜숙․임혜미․문종은 (2010). 수학과학통합 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2), 175-198.
  18. 정광순 (2010).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1), 381-402.
  19. Bastia, B., Tomlin, J., Pennington. K., & Pugh. D.(2001). Inquiry-Based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Education. 121(3), 615-624
  20. Berlin, D. F. (1991). Integrating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bibliography.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 Beane, J. A. (1993). A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rhetric to reality(2nd Ed.). Columbus, OH: National Middle School Association
  22. Berlin, D. F., & Hyonyong, L. (2003). A Bibliography of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literature(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association topics for teachers series number 7). Columbus OH : ERIC Clearing 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 Drake, S. M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4. Fogarty, R. (1991). The mindful school :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um. Palatine, IL: IRI/Skylight.
  25. Freudenthal, H. (1983). Dida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6. Harlan, J. D., & Rivkin, M. S. (2000).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An integrated approach. Englewood Cliffs, NJ : Merrill Prentice Hall.
  27. Howell, R. W., & Bradley, W. J. (2001). Mathematics in a Postmodern Age. Cambridg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8. Huntley, M. A. (1998).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middle grades.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9. Hurley, M. (2001). Reviewing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the search for evidence and definitions from new perspectiv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5), 259-268.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1.tb18028.x
  30. Michelsen. C. (2006). Functions: a modeling tool in mathematics and science. ZDM, 38(3), 269-280. https://doi.org/10.1007/BF02652810
  3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i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5). Connecting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The 1995 Yearbook. Reston, VA: NCTM.
  33.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4. Pang, J., & Ron, G.(2000). A review of the integration or science and mathematic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2), 73-82.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239.x
  35. Resnick. L. B. (1987). Learning In School and Out. Educational Researcher, 16, 13-20.
  36. Vars, G. F. (1991). Integrated curriculum in historical perspective. Educational Leadership, 49(2), 14 - 15.
  37.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14(3), 293-305. https://doi.org/10.1080/0020739830140305
  38. Vinner, S., & Dreyfus, T. (1989). Image and definitions for the concept of fun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56-366. https://doi.org/10.2307/749441
  39. Ziman, J. (1991). Reliable Knowledge: An exploration of the grounds for belief in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ited by

  1. Two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stant Rate of Change Emerg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Interpreting the Function Graphs vol.66, pp.2, 2018, https://doi.org/10.25152/ser.2018.66.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