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제기억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Submarine Robot Actuated by Shape Memory Alloy (형태기억합금에 의하여 구동되어지는 해저로봇)

  • Shimada, Heihachi;Furuya, Yasubumi;Park, Young Chul;Oh, Sae Wook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 no.2
    • /
    • pp.41-47
    • /
    • 1990
  • 최근 열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이 가능한 신소재인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새로운 형태의 actuator를 이용한 해저로봇의 개발에 관하여 많은 연구들이 행하고 있다. 저자들은 로봇의 모양을 실제 동물의 형태인 "게" 모양으로 하고, 로봇을 구동시키는 게의 다리의 모든 연결부분의 인공근육을 Ni-Ti계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또는 와이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구동이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한 게 형태의 모양 로봇을 실제의 1/20크기로 제작하였다. 이 로봇의 특징은 구조가 간단하고, 고강도, 고내식성 그리고 부드럽고 자유롭게 3차원적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해저 로봇의 최종목표는 심해자원의 탐사 및 채굴이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가능성 및 기술적 문제 그리고 미래의 이러한 형상기억합금 로봇에 의한 심해자원 탐사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고자 한다. 검토하고자 한다.

  • PDF

UI, Supporting Old Age's Prospective Memory (노인의 미래기억을 보조하는 UI)

  • Yoon, Yong-Sik;Lee, Seung-Yong;Lee, Kyung-Soo;Yoon, Jong-Sung;Song, Sun-Mi;Oh, Chang-Young;Sohn, Young-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655-660
    • /
    • 2006
  • 노인들은 연령에 따라 기억력의 저하가 일어나면서 일상생활을 영유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을 기억하거나 가스 불에 물을 끊인 후 끄는 것을 기억하는 것 등 의도한 행위를 실제로 수행하거나, 진행 중인 행위와 미래에 수행하여야 할 행위 등을 기억 (미래기억; prospective memory) 해야 하는 데 부담을 갖는다. 특히 노인은 시간-의존 미래기억(time-based PM)에서 다른 미래기억보다 연령에 따른 낮은 기억 수행을 보였다. (Einstein & McDaniel, 1995) 본 논문은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노인의 일상생활의 패턴을 파악하고, 일상생활과 비슷한 상황에서 노인의 시간-의존 미래기억(time-based prospective memory)과 노인의 자율성(autonomy)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UI 방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노인 실험 참가자는 사건의존 미래기억에서 의도와 연합된 '맥락 단서'를 제시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였으며, 시간의존 미래기억 실험에서는 대학생 집단보다 미래기억 수행 시 외부 도구에 대한 강한 의존도를 보였다. 이는 적절한 미래기억 보조도구가 제시된다면 더 높은 수행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Predistorter Based on Look Up Tables for the Compensation of Nonlinear Distortion with Memory in OFDM Systems (OFDM 시스템에서 기억성을 갖는 비선형 왜곡의 보상을 위한 참조 테이블 기반의 사전왜곡기)

  • Kim, Young-Sik;Shin, Yoan;Im, Sungbin;Moon, Y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6A
    • /
    • pp.965-97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OFDM 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선형 필터와 고출력 증폭기의 결합에 의한 \"기억성을 갖는 비선형 왜곡\"을 실제 하드웨어 구현에 적합하게 적은 계산량으로 보상할 수 있는 참조 테이블(look up table; LUT) 기반의 사전왜곡기를 제안한다. LUT를 이용하는 사전왜곡기들은 이미 많이 연구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다중 입력/단일 출력 형태의 기억성을 갖는 비선형 왜곡을 작은 크기의 LUT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보상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제안 방법에서는 먼저 기억성이 없는 고출력 증폭기만이 존재할 때의 사전왜곡기를 우리가 이미 제안한 고정점 반복 사전왜곡기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LUT로 구현하고, 여기에 선형 역 시스템을 결합하여 기억성을 갖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한다. 실제 구현 가능성 검토를 위해 제안된 사전왜곡기와 16-QAM, 256-IFFT/FFT OFDM 시스템 기저대역 모뎀을 TMS320C30 DSP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실험 결과 작은 크기의 LUT를 이용하여도 원래의 고정점 반복 사전왜곡기에 비해 매우 적은 계산량을 요구하면서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의료용 Ti-Ni 합금의 개발 동향

  • Nam, Tae-Hy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7-7
    • /
    • 2010
  • 형상기억합금은 합금이 갖는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효과 때문에 학문적으로 공업적으로 큰 흥미를 끌어왔다. 형상 기억효과는 Au-Cd 합금과 Cu-Zn 합금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지만 당시에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후 1962년 Ti-Ni 합금에서 형상기억효과가 발견된 이래로 크게 주목을 받게 되었고, 곧바로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져 리벳, 열엔진, 커플링, 회로차단기 등에 적용이 시도되었다. 현재까지 약 300여종에 이르는 형상기억합금이 개발되어 있지만 형상기억효과의 안정성, 우수성, 내식성, 가공성, 내피로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Ti-Ni 합금이 가장 실용화에 적합한 합금으로 인식되고 있다. Ti-Ni합금은 1960년대에 개발되었지만 의료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이고, 그 후 미국의 FDA가 Ti-Ni 합금으로 제조된 몇몇 3급(Class III) 임플란트를 인증하면서 시장규모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80년대 초부터 Ti-Ni 합금을 치과용 임플란트로써 사용하여 왔, 독일, 중국, 러시아도 1980년대부터 임상에 적용해 왔다. 우리나라는 2004년 식약청(식품의약안정청)으로부터 제조 및 판매가 허가되어 현재 실제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Ti-Ni 합금이 의료용 금속재료로서 널리 쓰이게 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말할 나위 없이 합금이 갖는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효과 때문이다. 본 강연에서는 Ti-Ni 합금을 의료용 금속재료의 입장에서 재조명해보고, 본 합금이 의료용 금속재료로서 어떠한 장점이 있으며, 그러한 장점을 의료분야에서 어떻게 응용하고 있는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의료용 Ti-Ni 합금에서 향후 개선되어야 할 요소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Sugar and Cognitive Performance (당 섭취와 인지능력)

  • Kim, Woo-Kyoung;Cho, Susa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0 no.sup
    • /
    • pp.50-65
    • /
    • 2007
  • 감미료는 감각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에너지를 공급하는 영양적 감미료와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 비 영양적 감미료로 분류 될 수 있다. 영양적 감미료들은(설탕, 과당 등) 미국 식약청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되고 있다. 그러나 감미료 섭취는 적절한 영양섭취와 건강과 관련하여 아직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 첨가당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가 총 에너지 섭취의 25% 이상이면 식사의 질(quality)이 낮아진다. 지난 수 십 년 간, 당 섭취가 행동적인 면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많은 이론들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포도당은 뇌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포도당의 기억력 향상기능은 모든 연령에서 보고되었으며, 특히 젊은 층보다는 노인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특히 적당량으로 섭취하였을 때 포도당의 섭취는 단어기억, 이야기 기억, 24시간 전에 학습한 정보에 대한 기억, 경계(vigilance)의 향상, 반응시간의 단축, 정신적 계산 능력의 향상, 시뮬레이터 조절에서의 실수감소, 스투르프효과(Stroop effect)의 감소, 지능검사의 향상, 실제사건에 대한 기억력 검사와 웩슬러 척도(Wechsler Scale)에서의 향상과 같은 여러 인지능력 검사에서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포도당 용액과 간식의 섭취는 기억력을 개선한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은 아동들에서 낮은 학습능력을 보인다. 인지능력 변화와 관련 있는 식이는 뇌에 포도당을 공급하는 것과 관련 있다. 과당도 동물실험에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당 섭취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들을 종합하여 정리한 것이다.

The Changing Trace of Emotional state by Memory retrieval and Knowledge Reasoning process (기억회상과 지식추론에 따른 감정 상태 변화의 추이)

  • Shim, JeongY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4
    • /
    • pp.83-88
    • /
    • 2013
  • Many studies adopting brain functions to the engineering systems have been made for recent years as the brain Science has developed. If we investigate the parts which take part in memorizing and emotional process, we can know that Hippocampus of memorizing center and Amygdala of Emotional center closely cooperate each other. Actually Knowledge effects on Emotion and Emotion effects on Knowledge. During the human decision making, emotional factor has much important effects on Decision making process. For implementing more delicate intelligent system, the knowledge base coupled to emotional factor should be designed. Accordingly in this paper starting from the idea of cooperating system between Hippocampus and Amygdala,, we design Knowledge Emotion Binding System and propose Emotional changing mechanism by Memory retrieval and knowledge reasoning process.

An Empirical Study for the Existence of Long-term Memory Properties and Influential Factors in Financial Time Series (주식가격변화의 장기기억속성 존재 및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Eom, Cheol-Jun;Oh, Gab-Jin;Kim, Seung-Hwan;Kim, Tae-Hyu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4 no.3
    • /
    • pp.63-89
    • /
    • 2007
  •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verifying whether long memory properties exist in returns and volatility of the financial time series and then, empirically observing influential factors of long-memory properties. The presence of long memory properties in the financial time series is examined with the Hurst exponent. The Hurst exponent is measured by DFA(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ce of significant long memory properties is not identified in return time series. But, in volatility time series, as the Hurst exponent has the high value on average, a strong presence of long memory properties is observed. Then, according to the results empirically confirming influential factors of long memory properties, as the Hurst exponent measured with volatility of residual returns filtered by GARCH(1, 1) model reflecting properties of volatility clustering has the level of $H{\approx}0.5$ on average, long memory properties presented in the data before filtering are no longer observed. That is, we positively find out that the observed long memory properties are considerably due to volatility clustering effect.

  • PDF

Subjective Well-Being and Memory of Valenced Life Ev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Ratio and Memory Reconstruction of Positive Events (주관적 안녕감과 정서가가 있는 사건에 대한 기억: 긍정적인 사건을 인식하는 비율과 기억 재구성의 관계)

  • Lee, Ji-Eun;Sohn, Young-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3
    • /
    • pp.397-418
    • /
    • 2008
  • This research investigated differences of perception ratio and processes of memory reconstruc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for positive or negative events related to individual subjective well-level, 199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port the perceived ratio of positive versus negative events for the provided event list. Also, recall differences of positive versus negative event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happiness. Results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happy people perceive more positive stimulus in a given situation than less happy people. Happy people also showed more positive percentage in recalled events than actual ratio while unhappy people reported less positive recall percentage than actual ratio. These findings indicate existence of cognitive process that enhances positive or negative memor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ratio and recalled ratio further supports this proposition.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PDF

The Impact of Interactivity in Smart Signage and Flow on the Engagement and Memory Accessibility (스마트 사이니지의 상호작용성과 플로우(Flow)가 인게이지먼트와 기억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

  • Han,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2
    • /
    • pp.171-17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mart signage in a certain space and to analyze not only media ingestion and advertising inducement as well as any information (high vs. low vs. low) and flow level And the memory effect related to whether or not to rememb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interac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engagement level, the higher the advertising engagement is. In addition, media involvement was high when interaction level was low and flow level was high. Finally, if the level of interactivity is low and the level of flow is high, then non - valued attribution information is more likely to be recalled tha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formation. If the interaction of smart signage is high and the flow of users is low, Recalled more recall information. In the future, detailed strategies for enhancing user flow will be needed rather than a strategy for unconditional enhancement of interaction in smart signage strategy.

Distortion of the Visual Working Memory Induced by Stroop Interference (스트룹 간섭에 의한 시각작업기억의 왜곡 현상)

  • Kim, Daegyu;Hyun, Joo-Seo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6 no.1
    • /
    • pp.27-51
    • /
    • 2015
  •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effect of a top-down influence on recalling the colors of Stroop words. Participants remembered the colors of 1, 2, 3 or 6 Stroop words. After 1 second of a memory delay, they were asked to recall the color of a cued Stroop word by selecting out its corresponding color on a color-wheel stimulus. The correct recall was defined when the participants chose a color that was within ${\pm}45^{\circ}$ from the exact location of Stroop word's color on the color-wheel. Otherwise, the recall was defined as incorrect. The analyses of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error trial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choosing the color-name of the target Stroop word was higher than the probability of other five color-names on the color-wheel.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Stroop words to manipulate memory load did not affect the probability of the Stroop inter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op-down interference by Stroop manipulation may induce systematic distortion of the stored representation in visual working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