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업급여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Unemployment Insurance Take-up Rates in Korea (한국의 구직급여 수급률 결정요인 분석)

  • Lee, Daechang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9 no.1
    • /
    • pp.1-31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yclical behavior of UI benefit take-up rate, the share of unemployed persons who are eligible for job seekers' allowances(JSA) and actually receive them. Using Korea's Employment Insurance DB, it also identifies the factors linked to the decision to take up job seekers' allowa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ake-up rate is countercyclical and leads both unemployment rate and Coincident Composite Index cyclical component by 6 months and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placement rate and benefit duration, suggesting that extending benefit duration and raising benefit level can boost benefit claims to increase take-up rates in Korea.

  • PDF

Job Transition Process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이직사유별 일자리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 Yoon, Yoon-Gyu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3 no.2
    • /
    • pp.91-13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job transition process and its lahor market performance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using the Employment Insurance DB(2000~07). The findings show that involuntary job changers lend to suffer greater loss in job spell and real wage than voluntary job changers, which seems to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lower quality of job matching due to unsystematic job search, negative signaling effect in the labor market and decreasing availability of human capital in previous job. In addition, unemployment benefit eligible for involuntary job changers tends to prolong the period of unemployment, while increasing job spell in the following employment.

  • PDF

The Effect of the Extended Benefit Duration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의 효과 분석)

  • Moon, Weh-So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2 no.1
    • /
    • pp.131-169
    • /
    • 2010
  • I develop a matching model in which risk-averse workers face borrowing constraints and make a labor force participation decision as well as a job search decision. A sharp distinction between unemployment and out of the labor force is made: those who look for work for a certain period but find no job are classified as the unemployed and those who do not look for work are classified as those out of the labor force. In the model, the job search decision consists of two steps. First, each individual who is not working obtains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opportunities. Second, each individual who decides to search has to take costly actions to find a job. Since individuals differ with respect to asset holdings, they have different reservation job-finding probabilities at which an individual is indifferent between searching and not searching. Individuals, who have large asset holdings and thereby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have high reservation job-finding probability, and they are less likely to search if they have less quality of information. In other words, if individuals with large asset holdings search for job, they must have very high quality of information and face very high actual job-finding probability.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ith small asset holdings have low reservation job-finding probability and they are likely to search for less quality of information. They face very low actual job-finding probability and seem to remain unemployed for a long time. Therefor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information explain heterogeneous job search decisions among individuals as well as higher job finding probability for those who reenter the labor market than for those who remain in the labor force. The effect of the extended maximum dura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and the labor market flows is investigated. The benchmark benefit duration is set to three months. As maximum benefit duration is extended up to six months, the employment-population ratio decreases while the unemployment rate increases because individuals who are eligible for benefits have strong incentives to remain unemployed and decide to search even if they obtain less quality of information, which leads to low job-finding probability and then high unemployment rate. Then, the vacancy-unemployment ratio decreases and, in turn, the job-finding probability for both the unemployed and those out of the labor force decrease. Finally, the outflow from nonparticipation decreases with benefit duration because the equilibrium job-finding probability decreases. As the job-finding probability decreases, those who are out of the labor force are less likely to search for the same quality of information. I also consider the matching model with two states of employment and unemployment.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two-state model, the simulated effects of changes in benefit duration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and the labor market flows are quite large and significant.

  • PDF

A Study of Unemployment Duration: A Survival Analysis Using Log Normal Model (실업급여 수급권자의 실업기간과 재취업에 관한 실증연구: 모수적 생존모델(Log-Normal Model)을 이용한 분석)

  • Kang, Chul-Hee;Kim, Kyo-Seong;Kim, Jin-W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37
    • /
    • pp.1-31
    • /
    • 1999
  •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unemployment duration and exit rate from unemployment.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using data for the years 1996 and 1997 on unemployed individuals who are eligible for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in Korea. A parametric survival model (log-normal model) is adopted to identify factors predicting transitions to reemployment. Factors that affect unemployment duration are sex, age, employment duration (year), prior salary, region, prior employment industry, cause of unemployment, officially determined unemployment benefit duration, degree of benefit exhaustion, and amount of benefits for early reemployment. However, educ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gree of benefit exhaustion, the exit rate from unemployment decreases as benefit exhaustion is approached. In amount of benefits for early reemployment, the exit rate from unemployment increases as amount of benefits increases. Hazards for reemployment gradually increase until 80 days after unemployment and gradually decrease in the following period. Thus, we find that distribution of hazards for reemployment has log-normal shapes between inverted U and inverted L This paper takes advantage of a unique analysis about unemployment duration and exit rate from unemployment in the Korean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which functions as the most valuable social safely-net mechanism in the recent national economic crisis. Indeed, this paper provides a basic knowledge about realities of unemployed individuals in the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and identifies research areas that require further study.

  • PDF

Integra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with Retirement Insurance and Its Welfare Analysis (통합실업보험제의 후생분석)

  • Yun, Jungyol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6 no.2
    • /
    • pp.31-59
    • /
    • 2003
  • This paper analyzes a social insurance system that integrates unemployment insurance with a pension program, allowing workers to borrow against their future wage income to finance consumption during an unemployment episode and thus improving their search incentives while reducing risks. This paper identifi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integration improves welfare and th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optimal degree of integration. A fully integrated system is one in which no reliance is placed at all on a separate tax-funded unemployment insurance program. We show that when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is very short compared to the period of employment or retirement, the optimal system involves an exclusive reliance on pension-funded self-insurance. This system imposes a negligible risk burden for workers while avoiding attenuating search incentives. We also argue that a joint integration of several social insurance programs with a pension program through an individual account is desirable unless the risks are perfectly correlated to each other.

  • PDF

Toward A New Scheme for Unemployment Protection - UI Benefit vs. Self-insurance Through Borrowings - (실업자 보호정책의 개편 방향: 실업급여와 연금 통합을 중심으로)

  • Yun, Jungyol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7 no.1
    • /
    • pp.77-105
    • /
    • 2004
  • Given the limitations of UI benefit and self-insurance through precautionary savings, this paper suggests a new scheme of income support for the unemployed, which offers unemployed workers not only UI benefit but also borrowings from their future pension incomes. Allowing individuals to have effective self-insurance through pension- borrowing, this scheme provides them with consumption-smoothing and reduction in risk burden while maintaining search incentives of the unemployed. Simulation study based upon household panel data in Korea suggests that a heavy reliance should be set upon self-insurance through pension-borrowings rather than upon UI benefit, even for the low-income individuals who are subsidized under UI system. This result provides us with insightful implications for a social safety net in (fast-growing) developing countries, where people cannot afford a good amount of UI benefit or of precautionary savings against unemployment although they expect their incomes to be much higher in the future. Indeed, it is consumption-smoothing effect of self-insurance through pension- borrowings, as well as its incentive-maintaining effect, that makes it a promising alternative of social safety net in developing countries.

  • PDF

Hot Issue-IT SoC 산업 현황 조사

  • Jo, Beom-Sik
    • IT SoC Magazine
    • /
    • s.8
    • /
    • pp.32-41
    • /
    • 2005
  •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고실업률과는 대조적으로 SoC 기업의 인력난에 대한 문제는 예전부터 재기되어 온 문제이다. 인력 수급에 대한 애로는 이번 조사에서도 여실히 드러나 한 업체당 시급히 충원이 필요한 인력이 평균 학사급 2.2명, 석사급 3.8명, 박사급 0.6명으로 인력부족현상의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석사급 인력수급에 가장 큰 애로사항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사학연금 실업급여를 대비한 재해보상급여 활용방안 연구

  • Jeong, In-Yeong;Gwon, Hyeok-Chang;Kim, Su-S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4
    • /
    • pp.175-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교로 인해 퇴직한 사립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사학연금의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실업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폐교 퇴직 교직원 현황 및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 지급규정, 재해보상 관련 쟁점, 고용보험 임의가입방안 관련 쟁점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폐교로 인한 퇴직 교직원에 대한 정책방안들로 현행안,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한 구직급여 제공방안, 고용보험 임의가입안에 대한 재정추계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과 5년 뒤인 2024학년도부터는 대입가능자원이 대학입학정원을 크게 밑돌 것으로 전망되고 이로 인해 대학의 통·폐합과 구조조정 등이 발생하여 현재보다 훨씬 더 많은 대학이 폐교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현행 사학연금법 상연금지급개시연령은 65세이나, 공무원연금법을 준용하고 있는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해 퇴직하는 경우 퇴직 때부터 5년이 경과한 때 연금을 지급하는 규정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폐교로 인한 비자발적 퇴직 교직원의 소득활동 중단에 따른 소득 대체 및 생활안정을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산재보험과 공무원연금·군인연금 등 공적 재해보상제도들은 모두 업무상 또는 공무상 사고나 질병으로 부상·질병·장해·사망이 발생하면 재해로 정의하고 있어 사학연금에서 폐교를 재해로 포함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실업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제도인 고용보험에 포함시키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사립학교 교직원에 대한 고용보험적용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수의 법적 지위와 근로기준법의 적용가능성이 중요한데, 향후 대법원이 대학교수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판단한다면 사학 교직원의 고용보험 가입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사학연금가입자들을 위한 고용보험 도입이 바람직하나, 이것이 단기간 내에 실행되기 어렵다면 고려 가능한 대안으로 공무원연금과는 다른 사학 교직원 직무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학재해보상제도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을 재해보상에 포함시키고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또한 재정추계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제공되는 연금 대신에 재해보상기금으로 구직급여를 제공할 경우 사학연금기금에 재정적으로 상당히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폐교로 인한 2018년 현재 연금수급자(285명)의 예상 연금급여액 추계에 의하면 2050년까지 누적해서 볼 경우,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이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을 지급하는 현행안보다 2018년 현재가치로 123억 원 정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수급자와 미래 수급자의 예상 연금급여액 추계에 의하면 2028년까지 누적해서 볼 경우,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이 현행안보다 2018년 현재가치로 747억 원 정도 재정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n Efficient Unemployment Benefit System with Income-Contingent Loans (소득연계식 대출(ICL)을 활용한 효율적 실업보호제도의 모색)

  • Yun, Jungyol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7 no.1
    • /
    • pp.29-57
    • /
    • 2014
  • Using unemployment insurance and income-contingent loan (ICL) that conditions repayment by debtors upon their incomes this paper characterizes an efficient income support system for the unemployed, which maximizes their lifetime utilities by effectively enhancing inter-state and inter-temporal consumption-smoothing subject to incentive constraints on the part of the beneficiaries.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e generality of the argument for a mix of ICL and subsidy that may be applied potentially to many types of government welfare program.

  • PDF

사학연금 지급개시연령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은재의원 입법 발의안을 중심으로

  • Jeong, In-Yeong;Kim, Su-S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3
    • /
    • pp.207-252
    • /
    • 2018
  • 현행 사학연금법은 공무원연금법 제46조 제1항 제4호 "정원 감소로 퇴직한 때부터 연금 지급" 조항을 준용함에 따라 정원감축 및 폐교에 따른 퇴직을 할 경우 법에 명시된 연금지급 개시연령이 아닌 퇴직 후 5년 이후에 조기연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지급개시연령 규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학연금 지급개시연령 현황 및 사립학교 폐교 현황과 사학연금이 공무원연금법을 준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 및 현행 규정에 따른 연금지급 시 사학연금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법 개정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65세 정년이 되어 은퇴하지 않고 중도에 퇴직하거나 고용이 취소되어 지급개시연령 보다 훨씬 일찍 조기연금을 지급하게 될 경우에는 퇴직연금 자체가 노후소득보장제도이기 보다는 실업급여의 성격으로 전락하게 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폐교에 재직 중인 교직원은 근로가 가능한 연령과 건강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즉시 연금을 수급하게 됨으로써 재취업을 하지 않을 경우 연금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고 근로유인을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잦은 폐교로 인한 연금수급자 과다 발생 및 재정적 지속가능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사학연금 가입자와 공무원연금 가입자의 특성을 비교하면 중요한 차이점이 발견된다. 국공립학교의 경우에는 해당 학교가 폐교 또는 정원이 감소될 경우 다른 지역 학교로 해당 재직 교직원을 이동 배치하는 등의 대처 방안을 시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퇴직하는 사례가 거의 없는 반면, 사학연금 가입자의 경우 공무원연금 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불안에 노출되어 있고,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사립학교 폐교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이들에 대한 생활안정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공무원 조직의 개폐 및 정원 감소는 법령으로 정하고 있지만, 사립학교 교직원의 개폐 및 정원의 감소는 사학기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리고 공무원의 경우 공무원연금의 대상이면서도 고용형태의 상대적 취약점을 감안하여 임기제 공무원의 경우 고용보험의 가입이 일부 허용되나, 사학연금 가입자의 경우에는 전면적으로 가입이 제한되어 직역연금 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연금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국민연금법의 경우 사업장가입자로 적용받고 있다 하더라도 준용법과 같은 사립학교 폐교 시 조기연금 수급 규정이 없으며, 고용보험법의 적용으로 실직 시 실업급여 등의 대응책이 있긴 하나 연금 수급을 통한 소득보장 수준에는 못 미치는 제도적 보완책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국민연금 가입자는 고용보험에 적용되나, 사학연금 가입자는 실업상태에 놓였을 경우 고용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폐교 시 사학연금 가입자의 생활안정을 위해 고용보험 가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재정안정화를 위해 연금을 전액지급하기 보다는 퇴직일부터 지급개시연령까지의 잔여기간에 따라 차등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으며, 고용보험법상의 실업급여 제도를 원용하고 소정의 연금지급기간을 설정하여 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사학연금제도 내에서 별도의 고용보험기금을 마련하는 방안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