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학연금 실업급여를 대비한 재해보상급여 활용방안 연구

  • 정인영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권혁창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수성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연금제도실)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폐교로 인해 퇴직한 사립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사학연금의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실업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폐교 퇴직 교직원 현황 및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 지급규정, 재해보상 관련 쟁점, 고용보험 임의가입방안 관련 쟁점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폐교로 인한 퇴직 교직원에 대한 정책방안들로 현행안,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한 구직급여 제공방안, 고용보험 임의가입안에 대한 재정추계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과 5년 뒤인 2024학년도부터는 대입가능자원이 대학입학정원을 크게 밑돌 것으로 전망되고 이로 인해 대학의 통·폐합과 구조조정 등이 발생하여 현재보다 훨씬 더 많은 대학이 폐교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현행 사학연금법 상연금지급개시연령은 65세이나, 공무원연금법을 준용하고 있는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해 퇴직하는 경우 퇴직 때부터 5년이 경과한 때 연금을 지급하는 규정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폐교로 인한 비자발적 퇴직 교직원의 소득활동 중단에 따른 소득 대체 및 생활안정을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산재보험과 공무원연금·군인연금 등 공적 재해보상제도들은 모두 업무상 또는 공무상 사고나 질병으로 부상·질병·장해·사망이 발생하면 재해로 정의하고 있어 사학연금에서 폐교를 재해로 포함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실업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제도인 고용보험에 포함시키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사립학교 교직원에 대한 고용보험적용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수의 법적 지위와 근로기준법의 적용가능성이 중요한데, 향후 대법원이 대학교수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판단한다면 사학 교직원의 고용보험 가입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사학연금가입자들을 위한 고용보험 도입이 바람직하나, 이것이 단기간 내에 실행되기 어렵다면 고려 가능한 대안으로 공무원연금과는 다른 사학 교직원 직무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학재해보상제도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을 재해보상에 포함시키고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또한 재정추계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제공되는 연금 대신에 재해보상기금으로 구직급여를 제공할 경우 사학연금기금에 재정적으로 상당히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폐교로 인한 2018년 현재 연금수급자(285명)의 예상 연금급여액 추계에 의하면 2050년까지 누적해서 볼 경우,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이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을 지급하는 현행안보다 2018년 현재가치로 123억 원 정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수급자와 미래 수급자의 예상 연금급여액 추계에 의하면 2028년까지 누적해서 볼 경우,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이 현행안보다 2018년 현재가치로 747억 원 정도 재정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창(2019), 「실업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제도(4장)」, 이상은 외, 사회보장론: 제도의 원리와 형태」, 학지사.
  2. 김근주(2016), 「영국 산업재해보상제도의 보호범위」, 「한양법학」 제27권 제2호, pp.41~66.
  3. 김소영(2004), 「미국의 근로자재해보상제도의 보상책임구조와 업무상 재해의 요건」, 「노동법학」 제18호, pp.185~228.
  4. 김상호.배준호.윤조덕.박종희.원종욱.이정우(2014), 「산재보험의 진화와 미래」, 21세기 북스.
  5. 동아일보, 2018, 「4년뒤 대학 폐교 도미노 온다」, 2018.1.25.
  6. 방준식(2019), 「대학구조조정에 따른 대학교수의 고용조건변경」, 「노동법학」 제70호, pp.231~264.
  7. 사학연금공단(2018),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사학연금공단.
  8. 사학연금재정재계산위원회(2016), 「사학연금 장기재정추계」, 사학연금공단
  9. 연합뉴스, 2019, 「내년 대학정원>대입자원...5년 뒤면 대학 갈 학생 40만명 밑으로」, 2019.8.11.
  10. 오진영(2016), 「공무상 재해보상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보장법학」 제5권 제2호, pp.177~218.
  11. 전윤구(2017), 「대학구조조정의 영향과 교원의 법적 지위, 계약과 책임(하경효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박영사.
  12. 정인영.김수성(2019),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 지급개시연령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제26권 제1호, pp.89~113.
  13. 정인영.김수성(2018), 「사학연금 지급개시연령 개선에 관한 연구: 이은재의원 입법 발의안을 중심으로」, 「사학연금연구」 제3호, pp.207~252.
  14. 정창률(2019), 「산업재해보상제도(5장), 이상은 외, 사회보장론: 제도의 원리와 형태」, 학지사.
  15. 중앙일보(2018), 「10여년 후 대학 절반 사라질 수도" 폐교 도미노 시작되나」, 2018.8.25.
  16. 한국사학진흥재단(2018), 「폐쇄(폐지)대학 및 해산법인의 체계적 사후조치 방안 연구」, 한국사학진흥재단 연구보고서.
  17.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 2018,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Europe, 2018, Washington DC: SSA.
  18.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 2017,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The Americas, 2017, Washington DC: S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