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선 캐비테이션 시험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MR Tanker 실선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시험 및 LCT 모형시험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Full-Scale Propeller Cavitation Test and LCT Model Test for MR Tanker)

  • 안종우;백부근;설한신;박영하;김건도;김기섭;정보준;최성준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171-179
    • /
    • 2016
  • In order to study correlation of the propeller cavitation performance between a full-scale ship and a model ship for the MR Tanker, the full-scale ship and the model tests were conducted. The full-scale ship test is composed of cavitation observation, pressure fluctuation and noise measurements, which are conducted using 2 observation windows and 8 pressure transducers installed inside the full-scale ship above the propeller. The model test in the Large Cavitation Tunnel(LCT) was conducted at the same conditions as that of the full-scale ship and its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ull-scale ship. Through the model-ship correlation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erimental technique for the MR Tanker class ship was verified in LCT.

고속 프로펠러의 형상변화에 따른 캐비테이션 및 소음 특성 (Cavitation and Noise Characteristics of High-Speed Propellers with Geometric Variations)

  • 안종우;박영하;문일성;김기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23-30
    • /
    • 2001
  • 고속 프로펠러들의 단면 및 기하학적 형상변화에 대한 캐비테이션 및 소음특성 연구가 새로운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KRISO의 캐비테이션 터널에서 실험적으로 연구되었다. 대형 고속선형 프로펠러에 대한 날개단면, 부하분포 및 전개면적비 변화에 대한 일련의 캐비테이션 소음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이런 실험결과로부터 캐비테이션 형태 및 프로펠러 형상에 대한 소음성능이 분석되었다. 새로운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소음결과는 실선추정 및 고부하 저소음 추진기 설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캐비테이션 터널에서의 수중청음기 설치 방법에 따른 유동소음 특성 (The Flow Noise Characteristics on Hydrophone Installation Method in the Cavitation Tunnel)

  • 안종우;박영하;김기섭;이진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1-7
    • /
    • 2002
  • 기존의 소음계측 장치가 유동장 및 구조적 진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새로이 설계된 2개의 Hydrophone Box에 수중청음기를 설치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KRISO 캐비테이션 터널과 외국의 다른 캐비테이션 터널들과 배경소음 특성을 비교하였다. 현재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소음의 실선성능 예측이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저주파에서의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선미변동압력 계측시험에서의 불확실성 해석 (Measurement Uncertainty Analysis for Fluctuating Hull Pressure)

  • 최군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46-60
    • /
    • 1993
  • 캐비테이션 터널에서 변동압력의 정확한 계측은 실선에서의 진동과 소음세기 예측에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프로펠러 케비테이션에 의해 야기되는 변동압력의 실험적연구 결과를 나타내고 논의 한다. 문제시 되고 있는 프로펠러 회전수에 의한 영향을 이해하고자 변동압력을 캐비테이션 터널에서 평판을 이용하여 여러 회전수에서 계측 하였다. 균일류에서 오차를 추정하기 위하여 계측 및 계측결과에서의 불확실성 해석이 사용 되었다.

  • PDF

선체 부착 소음/진동 센서를 이용한 함정 추진기 캐비테이션 초생 분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avitation inception of naval ship's propeller using on-board noise and vibration signals)

  • 정홍석;설한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3-249
    • /
    • 2023
  • 함정 추진기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은 함의 생존성과 직결되어 있으며, 생존성 향상을 위해 추진기 캐비테이션 초생이 지연되는 추진기 형상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한번 함정이 건조되고 나면 다양한 운용 조건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어, 설계 뿐만 아니라 운용 시에도 추진기 캐비테이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선내에서 계측한 신호를 이용한 캐비테이션 발생 여부 판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추진기 상방 선체에 하이드로폰과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추진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진동 신호의 상관관계와 각 센서를 이용한 캐비테이션 초생 분석 성능에 대해 비교를 수행하였다. 캐비테이션 발생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선미부에 관측창을 설치하여 고속카메라 계측을 수행하였다. 계측 결과 음향과 진동 신호 간 스펙트럼 형상은 다르게 나타났으나, 선속에 따른 밴드별 레벨 증가분, 1 kHz ~ 10 kHz 대역의 전체 레벨 등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Detction of Envelope Modulation On Noise(DEMON) 분석에서도 음향과 진동신호 모두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추진기 캐비테이션 발생분석에는 하이드로폰과 가속도계 모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캐비테이션 터널에서의 반류분포 재현에 미치는 유동조절체의 영향 (Effect of Flow Liners on Ship′s Wake Simulation in a Cavitation Tunnel)

  • 이진태;김영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66-75
    • /
    • 1993
  • 캐비테이션 터널에서 모형선 혹은 부분모형선을 사용하여 3차원 반류분포를 재현시키고자 할 때, 유동조절체를 사용하여 터널 위벽효과(Tunnel wall effect)를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다. 유동조절체가 선미후류 유동에 미치는 영향과 터널 위벽효과를 해석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단면의 시험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형선과 유동조절체 주위 유동을 표면양력판 이론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Sydney Express 모형선 주위 유동에 대한 계산결과에 의하면 선체 표면 압력분포에 미치는 캐비테이션 터널의 위벽효과는 막음비(Blockage)가 5% 이내인 경우에는 무시할 정도이며, 막음비가 20% 이상인 경우에는 상당히 큼을 알 수 있다. 유동조절체를 선미 부근 터널벽에 설치함으로써 선미 유동중 축방향속도가 증가되었으며, 선체표면에서의 압력구배(pressure gradient)는 선미 경계층의 두께가 덜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동조절체를 설치하여 재현된 반류분포는 등속도곡선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추정된 실선반류 분포를 재현하기 위하여 유동조절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표면양력판에 의해 계산된 반류분포는 이상유체 가정을 토대로 계산되었기 때문에 계측된 반류분포와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경계층 계산이나 점성유동계산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