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무 적용 지침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nvergence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or dementia patients cognitive programs (치매환자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개발을 위한 융합적 효과검증)

  • Ham, Min-J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5
    • /
    • pp.85-91
    • /
    • 2021
  •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explains the procedure for verifying effectiveness in developing practical guidelines for cognitive programs suitable for dementia patien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e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preliminary recommendation for the domestic dementia patient care guidelines was developed. The practical guidelines consisted of the final four types, and the content validity score of the configuration items was 0.87 to 1 point. In the sub-categories of field applicability, appropriateness score was 3.95 to 4.34 points, applicability score was 3.57 to 4.27 points, and predicted effect score was 3.84 to 4.22 poi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of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al guide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plan for dementia cognitive program managers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In future studies should further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treatment guidelines to select appropriate treatment activities for dementia patients.

A Study on Requirement analysis process for the practical guidance of e-Navigation SQA guideline (e-Navigation SQA 가이드라인 실무 지침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프로세스 연구)

  • Kim, Hyoseung;Lee, Seoje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6
    • /
    • pp.935-941
    • /
    • 2015
  • The maritime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e-Navigation strategy for safety navigation. The implementation of e-Navigation strategy will cause many needs for developing new software increasingly. For this reason, IMO referred to importance of software quality and endorsed the e-Navigation SQA/HCD guideline as an official IMO docu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guidance to apply the guideline. This paper describes the elicitation results about the detailed actions of requirement analysis stage based on quality standards. Also, the improvement measure is proposed in this paper.

Practical Instructions for Modeling Use Cases of Enterprise Project (전사적 프로젝트의 Use Case 모델링을 위한 실무 지침)

  • Kim, Min-Seon;Kim, So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66-769
    • /
    • 2000
  • OMG의 공식 표준으로 자리 잡은 UML은 9 종류의 기본 모델들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대상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모델링 하도록 지원해주고 있다. 특히 Use Case의 경우 시스템 사용자와의 대화의 수단으로 시스템이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객체 모델이나 순차도 등의 다른 모델들에 비해 설명이 보다 모호하고, 정형화 되어 있지 않아서, 특히 전사적인 규모의 실무에 Use Case 모델 을 적용할 경우, 여러 가지 어려움들이 있다. 개념 단계와 상세 단계에서의 일관성 유지 문제, 하부 시스템으로 나누어 작업 시, ${\ll}include{\gg}$${\ll}extend{\gg}$ 관계의 Use Case에 대한 배치, 전체나 일부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ll}include{\gg}$ Use Case의 표현 문제 등이 그것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무 적용 시 부딪힐 수 있는 Use Case 모델링의 그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실무적인 지침들을 사례 연구와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PR 정보 - 한국환경공단의 재활용실적 인정기준 실무 적용 방안 주요 내용 (발포합성수지 중심으로)

  • 한국발포스티렌재활용협회
    • 환경사랑
    • /
    • s.61
    • /
    • pp.7-7
    • /
    • 2011
  • EPR제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재활용의무이행에 관한 업무처리 지침' 일부 개정(환경부 예규 432호, 2011.3.11., '환경사랑' 59호 9쪽 참조)에 따른 한국환경공단의 재활용실적 인정기준의 실무 적용 방안이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협회 참여 재활용사업자들이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확정된 주요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technical guidelines for hydrologic cycle in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기술지침 개발)

  • Kim, Hyeon-Jun;Jang, Cheol-Hee;Noh, Seong-Jin;Cho, Ha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30-1634
    • /
    • 2007
  • 도시유역에서의 장기간에 대한 물순환 해석 기술은 도시하천의 복원 및 건천화 방지 사업의 점증적인 요구에 따라 필수적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기술이지만, 관련 연구와 실무에서의 이해도는 미진하다. 따라서, 사업의 계획과 실무 설계를 위하여 도시유역의 물순환에 대한 이해와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 1995년 건설성의 주요 정책으로 "도시에서 적정한 물순환계 재생에의 노력"을 추진하였으며, "도시의 물순환 재생 구상 책정 매뉴얼"을 작성하여 사례 연구로 6개 유역을 대상으로 검토하였고, 2000년에는 "도시유역 물순환계의 정량화 방안"을 우수저류침투기술협회에서 주관하여 물순환계 재생구상 또는 물순환계 마스터플랜을 수립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물순환계의 해석적인 평가방법의 해설서를 발간하였다. 호주의 경우는 1999년부터 WSUD(Water Sensitive Urban Design)란 개념을 도입하여, 정부 및 각 지방별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침서와 기술지도서를 작성하여 교육을 하고 실무에 활용하고 있고, 사례 연구와 학술회의를 통하여 기술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자연적인 요소와 인공적인 요소가 복잡하게 조합되어있는 도시지역의 물순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자연특성과 사회특성 등에 관한 기초 자료의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관측결과를 기초로 물 순환계의 구조, 인과관계를 알기 위해, 또 물순환계 구성요소의 일부가 변화한 경우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이 필요하다. 또한 이 같은 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물순환 개선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정책의 입안에 관계하는 사람들에 있어 공통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n Improvement Measures of Maintenance Cost Accounting Standard for Improving Value in Public Buildings (공공건축물의 가치제고를 위한 유지관리비 회계처리기준 개선방안)

  • Cho, Sangouk;Hwang, Jeongha;Lee, Chan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2
    • /
    • pp.12-20
    • /
    • 2016
  • Along with the change of national accounting,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management of assets is emphasized and the awareness that the concept termed Asset Management should be introduced to the construction field too to manage facilities. The present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Asset Management and proposed accounting guidelines(proposal) for public building maintenance cost that can clarify maintenance cost accounting. Existing literatures and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were examined and the actual states of maintenance cost accounting of public buildings in A metropolitan city were examined to draw problems. For the practice guidelines(proposal), the types and contents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maintenance expenditures were analyzed and items that must be treated as OPEX and CAPEX were presente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presented. The practice guidelines(proposal) were applied to the public buildings in A metropolitan city to identify situations of changes in asset values and review the effects of the practice guidelines(proposal) on increases in asset values. When applied to practices, the practice guidelines(proposal) suggested in the present study are considered to increase building asset values and provide consistent financial information to help stakeholders' decision making.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eport for e-navigation SQA and HCD Guideline (e-navigation SQA/HCD 통합 가이드라인을 위한 국제 논의 동향)

  • Kim, Hyo-Seung;Jung, Ji-Eun;Lim, Sang-Woo;Lee, Se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7-8
    • /
    • 2015
  • In MSC $95^{th}$ commitee, the Guideline on software quality assurance and human-centred design for e-navigation was approved as a circular. After that, the practical guidance to apply the guidance for marine-industry is developing. This guidance presents detailed actions which is done with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and it provides templates of basic outcomes of the detailed actions. In April 2015, the "e-navigation SQA and HCD Guideline Workshop 2015" was held. There was discussions about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plans of the guideline. Also, various opinions of marine-industry about IMO SQA were gathered and how to apply to the marine-industry with harmonization of SQA and HCD was discussed. This paper subscribes the future work to improve the guideline discussed on the workshop.

  • PDF

Arc Flash Hazard Analysis (전력기술.정보 - 아크 플래시 위험 분석)

  • Lee, Seong-U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50
    • /
    • pp.21-25
    • /
    • 2011
  • 전기설비에 접근하여 활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안전조치, 작업공구, 먼지, 분진, 쥐, 절연" 등의 문제로 기인하는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플라즈마(plasma) 아크 형태의 전기적 방전이 일어나므로, 아크 플래시 위험에 노출된 작업자는 심각한 화상은 물론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IEEE Std. 1584에 수행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NFPA 70E는 보호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 기준 등을 참고하여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작업에 관한 기술지침(KOSHA CODE E-3G-2005)과 난연성 전기 작업복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CODE E-32-2006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외국 기업 일부를 제외하고는 아크 플래시 위험분석 업무를 실무에 적용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적용 범위에 있어서도 난연성 전기 작업복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을 600V 이상의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 작업시만 착용하도록 한정한 것은 아크 플래시 위험에 대한 보호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고압보다도 저압회로 고장 지점의 최소 단락전류에서 차단기의 동작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사고에너지를 더 증가시키기 때문에 위험성과 빈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문에서는 "아크 플래시 위험" 분석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Raid Response to Acute Deteriorating of Hospitalized Patients (입원환자의 급성 악화 신속대응 가이드라인 개발)

  • Lee, Ha-Nui;Park, Jeo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359-37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rapid response to acute deteriora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guidelin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and evaluated using AGREE II tool. The guidelines were checked content validation by an expert group, final 130 recommendations in 5 sections including management, recognition, activation, response, and evaluation. The average of the overall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guidelines was 4.41±0.78 out of 5, which showed high applicability in clinical work.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actice Application Program of Intravenous Infusion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 for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근거기반 정맥주입요법 간호실무지침 실무적용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 Hong, Inhwa;Eun, Yo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50 no.6
    • /
    • pp.863-87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 program for practice applic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EBP) guidelin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was used, combin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ith qualitative study analysis. The subjects consisted of 55 nurses. The practice appli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vancing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through close Collaboration (ARCC) model. Data were collected for analysis in the following areas: nurses' EBP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adiness, EBP beliefs, EBP implementation, importance about intravenous infusion, and performance about intravenous infusion, with data assessed using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s. Patient outcomes were collected from the hospital's medical record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χ2-test, and Shapiro-Wilk test,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ed for interview data. Results: Following the intervention, nurses' EBP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adiness, EBP beliefs, EBP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intravenous infusion and perceptions of its importa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Phlebitis rate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nurse's perception and practice of evidence based nursing. Therefore we recommend to use this program at same levels of hospit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