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무자

Search Result 1,13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Study on the Applying Methods for EBLIP in Korean Librarianship (실무자의 근거출판 활성화를 통한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국내 적용 방안)

  • Pyo, Soo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4 no.3
    • /
    • pp.219-239
    • /
    • 2010
  • EBLIP seeks to improve library practice by utilizing the best available evidence in conjunction with a pragmatic perspective developed from working experiences in libraria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vidence-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EBLIP) in Korean librarianship with encouraging the practitioners to publish in their workplace. Content analysis on papers accepted for publication among five LIS journals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exts and perceptions on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practicing librarians. While the proportion of papers that librarians wrote was calculated at 26 percent among the sample, the percentage of papers with librarians as a single author was only 9.2. Significant obstacles for librarians to publish papers due to organizational level were observed. The author suggests organizational support and better framework for communicating research based on practice such as public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al journal and the adoption of structural abstract. The findings reinforce the importance of teaching rigorous research methods in workplace.

IS Knowledge and Skills Requisite on IS Practitioners : Comparative Study of IS Practitioners' Perception and Recruiters' Perception (IS 실무자에 대한 IS 지식 및 기술 수요: IS 실무자와 채용 담당자의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 Go, Seok-Ha;Lee, Hy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55-2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S 채용 담당자들이 한국의 신규 IS 실무자들에게 어느 IS 지식과 소프트웨어/IT 전문 기술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실증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서 IS 실무자들을 초급 전문가, 중급 전문가, 고급 전문가, 그리고 제너럴리스트로 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이들 각 집단이 필요로 하는 수준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IS 채용 담당자들이 IS 채용 담당자들이 전체적으로는 IS 실무자들에게 어떤 지식 및 전문 기술이 필요한지를 잘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조직의 지식 및 지술 수요에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또한 IS 채용 담당자들이 기존의 초급 전문가에게 요구되고 있는 정도보다도 더 높은 수준의 "제품-지향성"을 신규 IS 실무자에게 요구하고 있으며, 도리어 중급 전문가에 더 가까운 지식 및 기술 구성을 갖고 있기를 신규 IS 실무자에게 기대하는 사람의 비율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대학이 산업 지식 및 기술 수요에 맞추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지 못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동적 집단 면접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과정 개발

  • Lee, Dong-Il;Lee, Hye-Jun;Lee, Ju-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293-308
    • /
    • 2009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과정 개발의 방향을 의미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밝히기 위해 프랜차이즈 CEO 그룹, 실무자 그룹을 대상으로 동적집단 면접(DGI)을 실시하였다. 실무자 대상 교육에 있어서 의사결정자인 CEO 그룹과 교육 당사자인 실무자의 교육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여 교육의 개발 방향을 종합하였다. 연구결과 프랜차이즈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1) 교육의 전문화와 세분화, 2) 프랜차이즈 내부 노하우의 공유 및 이전, 3) 교육 운영 과정의 현장 지향성의 세 가지가 도출되었다.

  • PDF

2006 자율지도원 및 실무자 교육-식품안전 지킴이와 협회행정의 달인 키움의 장

  • Kim, Mi-Seon
    • 베이커리
    • /
    • no.6 s.455
    • /
    • pp.160-160
    • /
    • 2006
  • (사)대한제과협회 2006년 자율지도원 및 실무자 교육이 열린 대전 유성로얄호텔은 베이커리업계 식품안전 지킴이로 역할을 하게 될 자율지도원과 협회 행정의 달인을 꿈꾸는 실무자들의 열기로 후끈 달아올랐다. 달라진 식품위생정책을 익히고 중앙회와 지회ㆍ지부사이 소통의 장으로 자리 잡은 '2006 자율지도원 및 실무자 교육'의 현장을 들여다본다.

  • PDF

IS/IT 기술 및 지식에 대한 충북 지역 IS 실무자 재교육 수요 조사

  • Lee, Hyeon-U;Gyeong, Won-Hyeon;Min, Bong-Gyu;Go, Seok-H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59-18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청주와 그 인근 지역에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운영하고 있는 업체의 IS 실무자들에게 (1) IS 실무자의 업무 수행 성과, (2) 소프트웨서 및 IT 전문기술수준, (3) IS 지식 및 능력 수준, 그리고 (5) 재교육 수요에 대해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들은 주로 Sl(system integration) 업체에 종사하는 IT(information technology) 실무자들과 e-Business를 수행하는 일반 기업에서 전산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산시스템 운영자, 시스템/데이터베이스 분석/설계자, 어플리케이션/웹 프로그래머, 최종사용자 지원 담당자, e-Business를 위한 IT 지원 인력 등이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충북 지역에서 IS 실무자들은 자신들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식 및 기술의 다양한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지식 및 기술의 결핍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의 업무 성과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고, 업무 관련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 또한, 충북 지역의 IS 실무자들은 주된 활동이나 업무가 시스템 개발과 유지보수, 최종 사용자 지원 등의 활동이며, 이에 대한 최신의 기술과 고객 중심의 시각화된 도구(GUI)를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며, 기존의 반복적인 개발 업무에서 점차 경력이 쌓임에 따라 고객 중심적인 새로운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획과 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조직 운영 및 의사결정 등과 같은 기술/지식들에는 낮은 관심을 보였다. IT전문 기술들 중 IS 실무자들이 필요로 하고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한 기술들은 대다수가 웹 개발에 관련된 기술이며, IS 실무자들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수행에 필요한 공동 작업 수행 능력의 제고와 그를 위한 재교육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본 조사는 충북의 IS 실무자들을 위한 대학 교육과 재교육을 포함하는 최적의 평생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S 지식에 대한 IS 실무자와 전공 교수 간의 인식 차이 분석

  • Lee, Hyeon-Woo;Lee, Hye-Jin;Go, Seok-H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281-299
    • /
    • 2007
  • IS/IT 분야 실무자가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지식과 전문 기술들을 '지식/능력 영역'과 '소프트웨어 전문 기술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세부 항목을 명세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두 영역에 대하여 IS/IT 분야 실무자가 생각하는 필요한 지식 및 전문 기술들의 중요도와 IS/IT 전공 교수가 생각하는 IS/IT 실무자에게 필요한 지식 및 전문 기술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두 그룹간의 인식차 비교를 시도하였다. 조사지역은 실무자는 충청지역 및 수도권 지역에 분포하는 SI 업체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IS/IT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는 실무자 본인의 일장에서 IS/IT 실무자가 갖추어야 된다고 판단되는 지식 및 전문 기술들의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그와 더불어 그들이 수행하는 IS 활동에 대하여 투자한 시간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세가지 그룹으로 구분하여 실무자 전체와 세 그룹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조차되었다. 비교 결과, 지식/능력 영역에서는 IS 실무자들이 상대적으로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 '특정 조직', '운영체제에 대한 지식'에 대해 더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전문 기술 영역에서는 실무자보다 전공교수가 생각하는 중요도가 보편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전공 교수는 '프리젠테이션 도구', '객체지향 언어(C++, Java 등)'에 4점 대의 높은 점수를 주어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하는 인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무자 그룹에서는 특별히 중요시 여기는 항목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고 보편적인 값이 median 값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현재 실무자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S/IT 환경에서 본인의 경력경로 (career path)을 위해 무엇이 중요한 갓인지 아직 명확히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자세한 비교/분석 및 해석은 현재 진행 중이며, 여러 흥미로운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합형 파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단계/과정이 결합내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접착과정의 단순화가 반드시 접착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저작 운동 잔에는 2군에서 Heliomolar가 Pyramid보다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p < 0.05) 그 외의 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저작 운동 후에는 모든 군에서 재료간 유의차가 없었다. 각 부위별 변연적합도를 비교하면, 저작 운동 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4군이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 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 2, 4군이 1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 운동 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3군이 1,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rner}$적당하다${\lrcorner}$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이 이러한 음식을 즐겨 먹었으며(49.5%), 그 다음은 뚱뚱한 경우도 비교적 많이 먹고

  • PDF

The Difference of Staff Perceptions in Performance Evaluations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지역자활센터 성과평가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Moon, Young-J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3 no.2
    • /
    • pp.113-139
    • /
    • 2012
  •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staff perceptions in performance evaluations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would be found between team leaders or those in higher positions and the common staff in criteria, procedures, implementation, rewards, and feedback of performance evaluation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by mail with staff working for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15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from September 6 to 30, 2010. Of 672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439 were returned. Of these, a total of 432 were used in latent mea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ff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had a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erms of rewards for evaluation results. Secondly, the team leaders or those in higher positions had a more negative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erms of evaluation criteria and rewards for evaluation results than common staff.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some implications with regard to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Performance of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Coordinators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Kyung-soon;Park, Yeong-ran
    • 한국노년학
    • /
    • v.30 no.4
    • /
    • pp.1059-1075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coordinators an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n which they work affect their job performance. A survey of 251 coordinators who were working in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agencies were retrieved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PSS Win.12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a sense of self efficacy, the individual traits(understanding of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an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the level of formalization of ag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ordinators who were more confident about themselves, who had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who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who were working in agencies with higher level of formalization had a higher level of job performance than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more policy and program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empowering the coordinators, and in providing them with standardized organizational process. This in turn will ultimately enable them to better serve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s.

Exploring on the job competence of the staff i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직무역량 탐색)

  • Kim, Jeongkyou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2
    • /
    • pp.6163-6172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job competence of the staff at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CTL) in university and to find out the level of job competence, which has been asked to the staff of the CTL. For that, the factor of the job competence, which is required of the staff of the CTL, was inquir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job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d the required job competence of the staff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job competence required of staff are the basic job competence, planning-analysis job competence, management job competence for the project, and evaluation job competence. The first factor in basic job competence is the attitude to change and innovation. In the planning-analysis job competence, the first factor is an analysis and consultation of instruction. In managing the job competence for the project, the first factor is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first factor in evaluating the job competence is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 Therefore, to revitalize the CTL, there is a need to organize an expert pool, plan and support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Knowledge and Skill Requisites on IS Practitioner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Discrepancy Among Practitioners, Recruiters, Professors, and Students (IS 실무자의 지식 및 기술 필요: IS 실무자, 채용 담당자, 교수, 학생 간의 인식 차에 대한 비교 연구)

  • Koh, Seok-Ha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2 no.2
    • /
    • pp.205-223
    • /
    • 2010
  • Korean professors and students majoring IS (information systems) were asked "How much knowledge and skills will be required for entry level IS practitioner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perception gaps between IS academics and IS practitioners and that the perception of IS academics is obsolet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obsolete perception of IS academics is one of the major causes that Korean IS practitioners are experiencing so severe knowledge and skill de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