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면적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펌프실 면적 산정 방안 (Determination of Sizes of the Pump Rooms in Korean Nuclear Power Plants)

  • 이효승;고철균;문승재
    • 플랜트 저널
    • /
    • 제9권2호
    • /
    • pp.36-41
    • /
    • 2013
  • 펌프실 내 펌프가 1대 배치되는 경우 펌프 동력과 펌프기초 면적이 주어지면 펌프실 면적을 찾을 수 있다. 다만, 일부 펌프는 펌프와 발전소 배치 특이성에 따라 펌프실 면적이 결정된다. 그러나 펌프실 내 펌프가 2대 배치되는 경우 펌프 동력과 펌프기초 면적을 이용한 펌프실 면적을 구하는 연계관계를 찾을 수 없다. 그리고 펌프 동력과 펌프기초 면적의 연계관계도 찾을 수 없다.

  • PDF

Daylight Factor Method를 이용한 채광창의 설계 (Design of Daylighting Aperture Using Daylight Factor Method and its Evaluation by Distribution of Sky Component)

  • 지철근;권영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3권1호
    • /
    • pp.58-63
    • /
    • 1989
  • 이등분한 실의 주광율(Daylight Factor)의 비를 규제도의 지수로서 Lumen Method와 같이 정하고, 이를 만족하는 실의 깊이를 검토한 후, 설계 평균 주광율을 만족하는 창의 면적을 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창의 면적 자체가 다른 벽면의 면적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방법을 개선하였다. 이후 주광율 요소 중 가장 지배적인 양인 운천공으로부터 입사하는 성분(SCo: Sky Component from overcast Sky)의 분포를 창의 위치와 형태를 변화시켜 조사, 평가하였다.

  • PDF

유역 면적강수량 산정을 위한 레이더 강수량 활용성 평가 (Assessment of Radar Precipitation Applicability for Watershed Area Precipitation Estimation)

  • 김태정;송재현;이성호;이충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1-441
    • /
    • 2022
  • 국내외적으로 정확한 수문기상 현상의 관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재래식 관측장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첨단장비가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관악산 기상레이더를 시작으로 하천 및 도심지의 돌발홍수 정보를 제공하고자 강우레이더 신설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조사 사업에서 티센다각형법을 이용하여 유역단위 면적평균강수량을 산정하는 경우 영동권역과 같이 지상관측소 밀집도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수량의 공간적 편차를 정량적으로 검토하고자 전국 하천유역에 대하여 1.5km Constant Altitude PPI(CAPPI) 합성장의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한 유역단위 면적평균강수량을 산정하고 지상 강수량과 통계적 적합도(goodness of fit)를 평가하였다. 지상 강수량을 활용한 유역단위 면적평균강수량과 레이더 강수량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관측기법의 특성으로 발생하는 정량적 편의(bias) 보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레이더 강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활용 목적에 적합한 레이더 강수량 보정기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용량 레이더 자료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 및 레이더 강수량 품질관리 체계 구축을 통하여 수문조사 및 수문해석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chroeder 확산기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내의 필드 균일도 향상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and Improvements of Field Uniformity in a Reverberation Chamber with Schroeder Diffusers)

  • 김정훈;이중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72-3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chroeder 방식의 QRD(Quadratic Residue Diffuser)를 사용하여 전자파 잔향실 내부의 필드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전자파 잔향실 내벽 전체 면적 대비 QRD가 차지하는 면적비를 변화시키면서 필드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최적의 면적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sim}3\;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QRD를 설계하였고, 전자파 잔향실의 전계 특성 및 필드 균일도 향상을 조사하기 위해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방법의 수치 해석이 이루어졌다. 2 GHz에서 QRD 크기가 잔향실 한쪽 내벽의 약 $30{\sim}60\;%$일 경우 표준 편차가 가장 작았으며, 20 % 이하, 70 % 이상에서는 점차로 필드 균일도가 나빠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QRD의 면적이 30 %일 때와 적용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결과, 전자의 경우 표준 편차가 후자의 경우에 비하여 1.53 dB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조리장 공간구성과 면적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Allocation of Catering Facilities of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 송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33-442
    • /
    • 2017
  •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조리장 공간과 면적의 적정성에 관한 사례연구로 5개 학교의 조리장을 대상으로 공간구성과 면적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조리장의 기준면적 대비 계획면적의 확보율은 A학교 99.2%, B학교 91.1%, C학교 81.4%, D학교 110.8%, E학교 88.1%로 세부적으로 조리실의 면적은 기준에 근접하거나 초과되어 계획되었지만 그 외의 실들은 계획되지 않거나 기준에 부족한 상황으로 대체적으로 부족한 면적을 확보하고 있었다. 검수실이 계획되지 않은 학교는 3개교로 전처리실과 겸용하면서 전처리실의 실제 사용면적이 감소하여 별도의 검수실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실은 세척과정의 특성상 최소 3.6m의 유효폭과 1.6m 이상의 통로폭이 요구되었으며 세척기구 반입동선을 고려하여 식당 및 조리실 방향으로 출입구를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 면담결과 공통적으로 조리/세척영역의 면적, 공간구성에 대해서 불만사항이 나타난 반면 보관 및 사용자영역에서는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다. 이는 사용자들이 보관 및 사용자 영역보다 조리활동의 주요공간인 조리/세척 영역의 면적확보와 공간구성을 중요시하는 결과이며 현재의 조리장 기준 면적에서 각 영역 및 공간별 면적의 조정과 분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CRD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 내 전기장 균일도 향상 (Improved Field Uniformity Characteristics in a Reverberation Chamber with a CRD)

  • 손용호;이중근;김정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2호
    • /
    • pp.79-8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CRD(Cubical Residue Diffuser)를 이용하여 전자파 잔향실 내의 전기장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잔향실 내의 전기장 균일도가 최적화되는 CRD 면적비를 연구하였다. $1\sim3$ GHz 주파수 대역에서 Schroeder 방식의 CRD를 설계하였고, 전자파 잔향실 내의 전기장 분포 해석을 위해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수치해석이 이루어졌다. 해석결과 2 GHz에서 CRD의 면적이 잔향실 한쪽 내벽의 약 $40\sim80%$일 경우 전기장 강도 표준 편차가 낮고 균일하게 분포되었으며, 40 % 이하, 또는 80 % 이상의 면적에서는 표준 편차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장 나쁜 경우와 비교하여 44%일 때 전기장 균일도가 1 dB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의 변화패턴 분석 (Analysis of Pattern Change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 김정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0
    • /
    • 2014
  •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실거래가자료를 이용하여 2006~2010년까지 5년간의 서울시 아파트실거래가 변화패턴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파트별 평균 실거래가, 동별 평균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위치정보자료와 연결하여 GIS데이터로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공간보간기법 중 크리깅(kriging)을 이용하여 개별 아파트의 시기별/면적별 실거래가의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둘째 행정구역(행정동)별 아파트실거래가의 변화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단위 면적별 실거래가의 평균을 계산하여 Moran I 값으로 변환한 후 거래가격의 공간상의 군집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간상의 분포패턴을 파악하고, 변화유형까지 유추할 수 있어 주택 및 지역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종적인 변화패턴과 GIS를 이용한 횡적 변화패턴을 분석하기 때문에 아파트가격의 지역 불균형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연소 불안정 억제를 위한 반파장 공명기 최적 설계 조건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Optimum Design of Half-Wave Resonators for Combustion Stabilization)

  • 박주현;손채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14
    • /
    • 2008
  • 로켓엔진 연소기의 음향 불안정 억제를 위해 고안된 반파장 공명기의 음향학적 최적 설계 조건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표준 음향시험 절차에 따라 음향파관에 공명기를 장착하여 음향파 응답 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신호를 토대로, 흡음계수를 계산하였고, 이로부터 공명기의 음향감쇠 성능을 파악하였다. 연소실을 모사하는 음향파관의 직경을 변화시켰고, 각 음향파관에 대해 공명기의 최적 면적비를 구하였다. 공명기의 면적비가 최적 값을 초과할 때 과감쇠가 발생하였다. 연소실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최적 면적비가 감소하였고, 공명기 직경이 증가 할수록 더 작은 면적비에서 최적 흡음성능이 나타남을 알았다.

  • PDF

보육시설 평면사례분석을 통한 시설규모별 소요실 및 면적특성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nd Spatial Elements Based on the Building Size of Childcare Center)

  • 박정아;최목화;김영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5-7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nd spat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building size and provide the guidelines for space planning of the child care center. This study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was made on the floor plans for 51 cases and the floor plans were converted to Autocad drawings to analyze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hild care centers over 70% were single-attached building types which made it possible for creating outdoor environments for children. However, most small-size centers which had under 50 children did not have the facilities for outdoor activities. 2) In terms of spatial elements, the basic spaces of the small-size center were the classroom, bathroom, kitchen, office and reference room. The medium or large size centers had extra rooms for special activities and service spaces in addition to the basic spaces. 3) Classroom area per child was 2.65 m2 on average. Space composition ratio on average for care, staff, and service was programmed by 57%, 9%, 34% respectively. Small-size center had relatively more care space when compared to the others. In the case of large-size centers, there was a tendency that service space was increased, but care space was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