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린더헤드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실린더내 흡기유동개선이 천연가스엔진의 연소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Performance by the Improvement of In Cylinder Flow Motion in the Natural Gas Engine)

  • 정동수;서승우;오승묵;엄종호;장영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90-96
    • /
    • 1995
  • In general, natural gas engine converted from gasoline engine has disadvantage of power decrease. In order to increase power output in natural gas engine, the improvement of in-cylinder flow motion has been believ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this study, the geometry of combustion chamber in 4 valve DOHC natural gas engine is modified, and in-cylinder flow patterns is analyized. Also engine performance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in-cylinder flow motion.

  • PDF

실린더 헤드에서의 진동신호를 이용한 밸브간극 진단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valve lash diagnosis using cylinder head vibration signal)

  • 석정호;김원진;박윤식
    • 오토저널
    • /
    • 제14권5호
    • /
    • pp.117-127
    • /
    • 1992
  • In this work, the possibility to diagnose valve lashes of an automotive diesel engine via cylinder head vibration/noise analysis is studied. First of all the measurement signals and conditions are selected after considering which signals and conditions are most suitable to diagonse valve lashes. Both accelerometer and microphone are used to measure cylinder head accelerations and acoustic pressure due to valve impact on cylinder head. The signals are measured in both cranking and engine firing conditions. Finally, it was found that acceleration signal obtained in engine operating condition is the most reliable signal to diagnose the valve lash condition. The valve closing angle and the peak acceleration due to valve close are chosen to analyze the valve lash condition. The measured cylinder head acceleration signals are statistically tested to derive information which are useful to judge the valve lash.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technique can be one of feasible methods to diagnose the valve conditions while the engine is in operation.

  • PDF

흡기3밸브 실린더 헤드의 흡입 정상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ady Intak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ntake 3-Valve Cylinder Head)

  • 정재우;이기형;김우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6호
    • /
    • pp.880-885
    • /
    • 2000
  • Flow patterns and steady flow characteristics of an intake 3valve cylinder head are not obviously declared. Thus, in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 of intake flow coefficient which applied to multi intake valve engine are introduced. The flow coefficient and tumble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steady flow test and flow visualization method. As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intake flow rate is dominated by effective valve open area.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mass flow rate of intake 3valve engine is greater than that of intake 2valve engine and tumble flow of intake 3valve engine is superior to that of intake 2valve engine.

고성능 디젤 엔진 밸브 개발을 위한 마모 시험 (Wear Testing for Diesel Engine Valve of High Ability)

  • 홍재수;전경진;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0-183
    • /
    • 2006
  • 엔진 밸브와 밸브시트의 마모는 엔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엔진 밸브와 밸브시트는 엔진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 밸브 스프링의 빠른 움직임, 엔진 폭발 과정의 고압, 균일하지 못한 냉각시스템으로 발생하는 실린더 헤드의 뒤틀림이 만들어 내는 극한 환경을 이겨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밸브 및 밸브시트의 마모율과 마모 메카니즘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 실제 자동차 엔진 내부의 조건인 온도, 밸브와 밸브시트간의 충돌, 스라이딩 등에 관한 것들을 고려하여 밸브 및 밸브시트가 충돌 시험할 수 있는 전용마모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편은 현재 실차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와 밸브시트를 사용하였다. 그 종류는 STR35 밸브, STL #6 및 STL #32이다. 밸브시트는 HVS1-2 재질을 사용하였다.

  • PDF

이온전류장치 설계에 의한 화염전파속도 측정 (Measurement of Flame Propagation Velocity Using an Ion Current Apparatus Design)

  • 정진도;이충섭;권병철
    • 에너지공학
    • /
    • 제3권1호
    • /
    • pp.62-69
    • /
    • 1994
  • 화염중에 존재하는 이온 및 전자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연소실내의 화염전파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린더 헤드에 이온 프로브를 삽입하여 천연가스 및 가솔린의 화염전파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이온전류장치 설계에 의한 방법은 광학적 측정 장비에 비해 간단하며 쉽게 측정할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하고 응답성도 우수하였다. 이온 프로브의 제작과 신호처리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얻었으며 천연가스 및 가솔린의 연소시 연소압력의 상승지점과 이온발생지점이 일관성있게 나타났다. 기관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연소실내의 화염전파속도가 증가했으며 같은 연소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동일 기관회전수, 당량비의 조건에서 점화시간에 대한 화염전파속도를 비교해 보면 메탄의 경우가 이론치보다 6 ms∼9 ms 정도 늦었다. 또한, 메탄가스 및 가솔린에 대해 이온 전류강도 및 화염 도달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연소실 벽면에서는 열전달에 의한 냉각효과로인해 화염 전파속도 및 이온농도가 감소했다.

  • PDF

대형디젤엔진의 열적 피로안전도 분석을 위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rmal Fatigue Safety for a Heavy-Duty Diesel Engine)

  • 조남효;이상업;이상규;이상헌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22-129
    • /
    • 2004
  •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structural safety of a new heavy-duty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A half section of the in-line 6-cylinder engine was selected as a computational domain. A mapping method was used to project heat transfer coefficients from CFD results of engine coolant flow onto the FE model. The accurate setting of thermal boundary condition on the FE model was expected to result in improved prediction of temperature, cylinder bore distortion, and stresses. Characteristics of high cycle fatigue were investigated by assuming the engine was operated under the following five loading conditions repeatedly; assembly force, assembly force with thermal loading, alternating maximum gas pressure loading at each cylinder combined with assembly force and thermal loading. Distribution of fatigue safety factor was calculated by using it Haigh diagram in which the maximum and the minimum stresses were selected from the five loading cases.

유한요소법에 의한 공기압축기 실린더 헤드의 방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Disspation of Air Compressor Cylinder Head by the Finite Elements Method)

  • 이창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8권2호
    • /
    • pp.73-80
    • /
    • 1979
  • This study describes the conduction of heat in the discharge head of air compressor. It also gives a base for a finite elements analysis of two dimenional steady -state heat conduction in the cylinder head of air cooled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Using a single cylinder compressor operated at a given speed, tests were made observing outside temperature, final pressure and discharge temperature of air in cylinder head. As a result, the following were obtained : (1) The rate oi heat flow from the inner surface of discharge head to outside wall reach 46. 328 kcal /h at a speed of 796rpm under the constant temperature of inlet air. (2) The compression work of air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rise of inlet air.

  • PDF

대형 트럭 자동차의 엔진냉각수 누출, 제동 및 배기시스템 과열에 관련된 화재사례 고찰 (A Study for Fire Examples Involved in Engine Coolant leakage, Brake and Exhaust System Over-Heating of Heavy-Duty Truck Vehicle)

  • 이일권;국창호;함성훈;이영숙;황한섭;유창배;문학훈;정동화;안호철;이정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45
    • /
    • 2019
  • 논문은 대형트럭의 화재에 관련된 고장사례를 고찰한 논문이다. 첫 번째 사례는 6번 실린더 라이너 상단부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접촉하는 D링부의 변형으로 헤드 가스켓부의 기밀불량 현상으로 냉각수가 누출하여 엔진이 과열되었다. 이 열이 에어크리너 주변 배선에 전달되어 쇼트(short)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사례는 자동차의 리어(Rear) 4축 브레이크 라이닝 과다마모로 브레이크 작동 S 캠(Cam)이 리턴되지 않아 브레이크 라이닝이 드럼과의 계속적인 마찰에 의한 마찰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사례는 엔진 점검을 위해 캡을 틸팅하였을 때 틸팅 모터의 과부하로 배선의 단락현상이 발생하여 이 불꽃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형트럭의 화재는 철저한 관리를 하여 화재발생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레이저 Rayleigh 산란을 이용한 연료농도의 계측 (Fuel Concentration Measurements by Laser Rayleigh Scattering)

  • 권순태;김형식;이재원;박찬준;엄인용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 발표회
    • /
    • pp.199-205
    • /
    • 2008
  • 본 연구는 정상 상태의 유동에서 Rayleigh 산란을 이용하여 연료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것이다. 실험 장치는 연료의 농도 변화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정확한 농도 측정을 위한 보정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실험 장치를 우선 보정 용기에 적용하여 프로판, 부탄, 아세틸렌, 프레온 가스의 산란단면적을 구하였다. 이후 내연기관을 상사한 실린더 헤드, 인젝터, 흡기매니폴드, 투명 실린더로 구성된 정상유동 장치를 구성하여 분사된 연료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Mie산란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란 신호의 상승 기간과 증배관-앰프의 시정수에 바탕을 둔 소프트웨어 필터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LRS는 연료 농도 계측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소트프웨어 필터는 Mie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LPi 시스템 자동차의 인젝터, 공회전 액추에이터 및 개스킷 고장사례 연구 (Study for Failure Examples of Injector, Idle Speed Actuator and Gasket in LPi System Vehicle)

  • 이일권;조승현;김한구;김승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8-53
    • /
    • 2012
  • 이 논문의 목적은 LPG 자동차의 액상 분사시스템에 관련된 고장사례를 연구하는 것이다. LPi 분사시스템인 인젝터를 점검한 결과, 인젝터에 카본이 누적되어 운전 중에 간헐적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의 미세한 홀을 막아 연비를 5% 정도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엔진의 공회전을 조절하는 시스템인 공회전 조절장치 부품과 엔진에 공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인 스로틀 보디에 카본이 퇴적되어 공기의 흐름을 간섭함으로써 연비가 7% 악화된 것을 확인되었다.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개스킷의 일부가 찢어져,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밀착성이 약화되어 흡기행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이 틈새로 간헐적으로 유입되면서 증가된 공기량만큼 연료량의 증가를 가져와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부조화 현상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상태보다 연비가 3% 정도 악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장사례는 운전중에 엔진의 출력 성능을 떨어뜨리고, 자동차의 연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품질확보에 철저하게 대처하여 고장현상을 최소화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