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 화재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ause of Explosion of the Indoor Shooting Range Fire in Busan and Safety Measures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의 폭발원인과 안전대책)

  • Park, Wo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68-72
    • /
    • 2010
  •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의 사격실 내 폭발의 원인을 추정하고 안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과 외국 실내사격장 화재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사격실 내의 폭발원인은 다공성 계란판형 폴리우레탄 흡음재와 흡음재에 축적된 잔류화약 분말의 격렬한 연소로 추정되었다. 실내사격장의 안전대책으로 폴리우레탄 흡음재의 사용금지, 잔류화약의 제거와 철저한 관리, 금연, 탄자받이 주위의 강재 요소 제거, 효율적 환기 등이 요구된다.

  • PDF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Heat Release Rate and Interior Opening on Fire Flow Velocity in the Case of Interior Fire in an Apartment Building (공동주택 화재 시 화재크기 및 실내 개구부 크기가 화재풍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Seo, Chanwon;Shin, Weon G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5
    • /
    • pp.37-43
    • /
    • 2014
  • In the case of interior fire in an apartment building, contamination of vestibule area by fire smoke before air fan operating when fire doors are open makes the evacuation of people very difficul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t release rate (HRR) and interior opening on fire flow velocit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were carried out. In simulations, actual dimensions and configuration of an apartment building were considered and interior leakage and HRR were varied. From simul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fir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HRR and interior opening resulting in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a neutral plane. Also, it is shown that there is a larger difference of the fire flow velocity between upper and lower part of the fire door when the neutral plane becomes closer to the ceiling.

인조매트 설치동향과 화재위험성 분석

  • Min, Se-Hong;Lee, Jae-Mun;Gwon, Yeong-Hui;Kim, Seok-Jun;Kim, Yeon-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33-34
    • /
    • 2013
  • 최근 인조녹화재료의 대표적 제품으로 인공녹지조성, 스포츠시설에 많이 사용되는 인조매트는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로 건축물 실내에 바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실내용 바닥재 관련 규정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조매트를 사용하는 시설 중 화재위험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실내골프연습장의 시장조사를 통하여 실제 적용된 인조매트의 화재위험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n Enhanced Indoor Pedestrian Model Incorporating the Visibility (가시성을 포함한 개선된 실내 보행자 모델)

  • Kwak, Su-Yeong;Nam, Hyun-Woo;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42-49
    • /
    • 2010
  • 현재 대규모 실내공간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화재대피시스템과 같은 실시간 실내 응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학문적 연구 또는 상업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화재모델이내 보행자 모델은 대부분 2D 기반의 CAD와 같은 파일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가상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실내 센서 등을 이용한 실시간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우선, 실내공간의 의미 있는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위상적인 3D 모델이 필요하다. 또한, 실내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이동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안내를 위해서는 실내데이터 구축에 공간 DBMS를 이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보행자 모델에서 두 가지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간단한 3D 실내 모델구축과 공간 DBMS와 연계된 보행자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둘째는, 보행자의 가시성(visibility)에 대한 영향이 반영된, 개선된 floor field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 PDF

구획 화재시 창유리 파괴 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종훈;이수경;최종운;이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01-106
    • /
    • 1998
  • 현대사회가 급속한 발전을 이룩하면서 화재의 발생은 증가추세에 있다. 화재의 예방과 진압장비의 개발을 위해서는 실내화재현상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실내화재 관련 현상에 대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같은 화재 현상의 예측기법을 발전 시켜왔으며, 거의 실제에 가깝게 발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규명이 확연히 되지 않고 있는 부분은 창유리의 파괴현상이다. 본 연구는 구획화재시 창유리의 파괴현상을 실제에 근접한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실험을 통해 고찰하고자한다. 또한 파괴시간 예측 프로그램인 BREAKl의 분석 결과와 실험치의 비교도 아울러 실시하여 그 적용성을 판단해보자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xisting Indoor Fire Notification System Using Edge Computing and Beacon (엣지 컴퓨팅과 비콘을 활용한 기존 실내 화재 알림 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 Lee, TaeGyu;Choi, KyeongSeo;Shin, You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5-18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술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는 화재 사고, 그 중에서도 많은 인명피해를 내는 실내 화재 사고에 대하여 기존 실내 화재 알림 시스템의 한계점인 알림의 양치기 소년화로 인한 안전 불감증 증가와 알림의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대안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실험 검증을 진행하였다. 위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매우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있다는 점을 기반으로 IoT, 엣지 컴퓨팅, 비콘 등을 응용한다. 비콘 신호를 broadcasting 하는 엣지 노드의 신호 범위 내에 진입하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대상 건물에 출입한 대상을 특정한다. 말단 센서 노드와 엣지 노드 간의 무선 RF 통신으로 화재를 모니터링하며 화재가 발생했을 시 특정된 대상들에게만 스마트폰 어플의 푸시 알림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해 동국대학교 건물 내에서 수평, 수직으로 이동하며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대안 시스템의 성능과 한계를 분석하여 이를 실내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A Study on the Oxygen Index of Interior Wallpapers at Elevated Temperature (실내 내장 벽지의 고온산소지수에 대한 연구)

  • Oh, Kyu-Hyung;Lee, Sung-Eun;Kim, Hwang-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2
    • /
    • pp.57-62
    • /
    • 2008
  • Most of all the Korean home use a wallpaper as a decoration and finishing of interior. One of the fire spread factor in a house is a combustion of wall paper. There were some research concerning oxygen index in a ambient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oxygen index of a wallpaper between ambient and high temperature and a effect on the fire spreading. Based on the result, the difference of oxygen index between ambient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showed $5{\sim}8%$. Difference of 0.1% of oxygen index show big differences in combustion length of sampl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decrease of oxygen index at elevated temperature is a important factor in fire spread.

Fire at an Indoor Shooting Range in Busan II. Causes and Fire Safety Measures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II. 원인 및 화재안전대책)

  • Park, Woe-Chu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4
    • /
    • pp.92-97
    • /
    • 2010
  • Fire simulation by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and examination of the fires at indoor shooting ranges broken out in the past were conducted, to presume causes of the fire at the indoor shooting range in Busan and suggest fire safety measures. On-site investigations and shooting tests on unburned gunpowder were also carried out. No trace of the muzzle spark and spark at the bullet trap was found in CCTV footage, and the impact of a stray bullet failed to ignite gunpowder. Cigarette was therefore presumed to be the most likely source of ignition among the potential sources. It appeared that the explosion in the shooting area was caused by violent burning of the polyurethane sound absorber and unburned gunpowder accumulated on it. The fire safety measures include prohibit of use of profile polyurethane sound absorber, removal of steel components from bullet trap, clean up and control of unburned gunpowder, etc.

A Fire Computer Simulation of Inner Space with Fire Shutters and Refuge Stairs (방화셔터와 피난계단이 존재하는 실내 환경의 화재 컴퓨터 시뮬레이션)

  • Yoo, Doo-Yul;Yang, J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11
    • /
    • pp.1617-1624
    • /
    • 2013
  •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fire shutters and fire spread by conducting fire simulation on inner space with fire shutters.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FDS), a commercial fire simulation software, the simulation is done on an ideal inner robby, where fire size and the open/close of fire shutters are varied. Our simulation environment can derive significant fire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variation of fire room walls and entrances of refuge stairs, variation of carbon dioxide, and soot sprea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distribution in refuge stairs have little dependence on vent open or close, but the part close of fire shutters blocks soot inflow to refuge stairs.

A Research on Legal Alternatives to Fire Performance Certificate and Tests for Interior Finish, Decorative Materials in Premises Used as Assemblies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재에 대한 방화.방염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박형주;곽동일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47-54
    • /
    • 2001
  • Similar patterned fire incidents such as, Inchon Live-Hof Pub Restaurant as, Sea-land Children Resort have proven that serious loss of lives were caused by hazardous gas generated from a combustion of interior finish and decorative materials. Therefore, comparing Korean fire regulation with other countries fire code, e.g. UK, USA, France about limitation of interior finish and decorative materials in premises as assemblies, differences & problems have been int estimated and analyzed on hew serious they may affect on fire spread and smoke development based on analyze facts. It is suggested that Korean fire code would be revised in order to reduce hazardous interior finish materials from special occupancy and adapted new test methods to verify proper fire performance in premises as assembles which require a fire certificate. Finally, detailed code alternatives will be suggested in order to set up effective fire regulation, which could promote preventing serious loss of lives in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