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환경

Search Result 3,907,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and Proper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Recognition in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 Choi, Mi-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1
    • /
    • pp.171-178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lan for a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elderly care hospital by measuring the indoor air quality level of elderly care hospital and conducting a survey the workers' awareness of indoor air quality. The measurement items were Temperature, Humidity, CO2, CO, PM10, VOC and were taken on April 26, 2019. The survey foun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indoor air quality, the better outdoor air quality and odor items were analyzed to be the lowest among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indoor air quality is high, the satisfaction level of indoor environment factor is high.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lack of ventilation"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the lower the "relevance of indoor air quality" category. To provide the best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for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ventilation equipment to remove odo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atural ventilation and the designation of regular ventilation personnel will be necessary. By establishing such a pla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to provide the best services for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Preparation and assessment of airborne fibrous reference sample for a proficiency test (국내 공기 중 섬유상 분진 숙련도 시험용 표준시료 제조 및 평가)

  • Lim, Hoju;Ryu, Jaihyuk;Choi, Sungho;Choi, Arum;Jung, Hyunsung;Ryu, Jungmin;Kim, Hyunwook;Jang, Seongki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5
    • /
    • pp.369-375
    • /
    • 2009
  • We evaluated the homogeneity and accuracy of low level airborne fibrous standard, and accomplished the proper proficiency test. We had found that the correlation of concentration of standard solution and asbestos density was 0.9863~0.9968, and concluded that the proper guideline of the analysis result was ${\mid}Z{\mid}{\leq}2$ interval of Z-score.

A Design of Location Index System in Indoor Environment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색인 시스템의 설계)

  • Woo Sung-Hyun;Jeon Hyun-Sik;Park Hy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71-74
    • /
    • 2006
  •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의 요구가 높아지고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내 환경에서 이동객체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로 인해 생성된 위치데이터를 활용한 색인 알고리즘을 통해 이동 객체의 궤적을 트리에 저장, 색인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에 사용되던 삼각측량 기법을 통해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Kalman Filter를 사용하여 오차를 보정한다. 보정된 최종 위치 데이터를 기존에 연구된 HR 트리의 성능을 개선한 EHR-트리에 저장하여 이동객체의 위치를 색인 한다. 이를 통해 실내 환경에서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를 수집함으로 대형 쇼핑몰에서 미아를 찾거나 유통과 물류 등에서 사용자 또는 물품의 이동경로 분석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Influence of indoor pollution in habitants' health and development of the model of healthy home environment (실내 환경오염이 거주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예방모델개발)

  • 신동천;박성은;양지연;홍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93-294
    • /
    • 1999
  • 일반적으로 환경오염 하면 대기, 수질 토양오염과 같은 실외 오염을 의미하며, 우리 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환경오염에 대한 연구가 이들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일반인이 실외에서 보내는 시간보다도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 (70∼80%) 이 월등히 많으며, 외국의 여러 보고에 의하면 대기오염보다 실내공기 오염이 일반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현저하다(Table 1),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환경에 관한 연구는 환경부에서 주도한 관계로 실외 환경오염에 집중되어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indoor VOCs concentration at residences in Seoul (일반 주택에서의 실내 VOCs 농도 조사 연구)

  • 문지영;신동천;양지연;이석주;조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99-300
    • /
    • 2000
  • 최근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도시인의 생활 양식에도 큰 변화가 초래되어 1일 실내 생활 활동시간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생활의 비중이 많은 현대인에게는 실외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노출 기회보다 실내 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 기회가 많아 실내 오염의 중요도가 높다(Bloemen and B)urn, 1993). VOCs의 실내 발생원은 주로 건축자재 혹은 가구 및 담배연기 둥이며, 페인트나 유기용제 둥을 사용하는 생활용품에서도 다량 배출되어 인체에 직접적인 노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중략)

  • PDF

Level and Risk Assessment of Metallic Elements of in PC Room (PC방의 금속원소의 농도와 위해도 평가)

  • 김성천;임성호;김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15-316
    • /
    • 2001
  • 현대인들의 생활영역이 실외에서 실내로 점차 이동됨에 따라 실내 공기오염에 대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시인들은 하루 중 85% 이상을 실내에서 활동하고 있다.$^{1)}$ 실외보다도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만큼 실내 공기 오염도는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깊게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실내 공기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2.4)}$ (중략)

  • PDF

Design of a Noise Database for Stress Assessment of Indoor Noise under TV Watching Environment (TV 시청환경에서의 실내소음의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소음 데이터베이스 설계)

  • Jeon, Kwang Myung;Lee, Dong Yun;Yu, Seung Woo;Kim, Hong 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154-1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TV 시청환경에서의 실내소음의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소음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DB 는 TV 시청공간을 포함하는 실제 주거환경 내에서 binaural recording을 위한 1 개의 dummy head 와 multi-channel recording 을 위한 2 개의 다채널 마이크 배열을 활용하여 TV 콘텐츠 및 실내소음의 음향 정보를 취득한다. 설계된 DB는 TV 시청자의 청각정보에 해당하는 binaural recording 신호와 실내소음의 위치 및 종류 추정을 위한 multi-channel recording 신호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TV 시청환경에서 실내소음이 시청자에게 유발하는 스트레스의 분석 및 평가 관련 연구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본 DB 는 5 가지 종류의 TV 콘텐츠 10 시간 분량, 30 가지 종류의 실내소음 2 시간 분량으로 구성되었다.

  • PDF

The Field Measurement and Analysi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in Large Enclosures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 실측 및 분석)

  • Chae, Mun-Byoung;Yang, Jeong-Hoon;Choi, Dong-Ho;Seok, Ho-Ta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8 no.1
    • /
    • pp.77-88
    • /
    • 2008
  • This research aims to divide the large enclosures according to summer and winter seasons, and to measure changes in the indoor thermal conditions. Also, with regard to air conditioning and exterior environments, it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s such as indoor vertical and horizont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large enclosures,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audience's seating, indoor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wind speed distribution in the audience's seating, and indoor thermal comfort.

  • PDF

Standardization and Comparison of Presentation Technology of Thermal Environments (열환경 요소의 지표화 및 제시기술간의 비교연구)

  • 이동춘;윤훈용;이상도;우동필;장준혁;신현숙;신종화;임기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52-355
    • /
    • 1999
  •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은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의 유지나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국가에서도 감성공학 기반기술 개발 사업에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을 이용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를 지표화하였고, 결과 및 관련 내용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러나 지표화 과정에서 각 과제별 연구의 진행이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연구의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과제의 연구 진행과정에서 상호연관성을 가진 부분이 실험계획이나 방법이 미흡해 결과에 대한 신뢰성 저하는 물론이고,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통합에도 상당한 문제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련 연구과제 수행자들간의 적극적인 정보교류는 물론이고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실험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