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음향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Theory of Simulation Rule for Scale Model Experiment in Architectural Acoustics (건축음향모형실험의 상사법칙의 이론에 관한 연구)

  • Kim, Cheon-Su;Sin, Yeong-Mu;Park, Byeong-Je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93-98
    • /
    • 1994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basic simularity rule between scale model experiment and real building as a results ; 1. In the case of room acoustics, $f_m=n\cdot{f_r}\;T_m=T_r/n\; \alpha_m(f_m)=\alpha_r(f_r)$ 2. That of sound Insulation : $TL_m(f_m)=TL_r(f_r)$

  • PDF

Effect of Higher Order Form Factors on the Prediction of Room Acoustics by Extended Radiosity Method (확장 라디오시티법에 의한 실내음향 예측에 있어 고차 형태 계수의 영향)

  • 이희원;고일두;오양기;두세진;정대업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1
    • /
    • pp.7-13
    • /
    • 2003
  • Numerous investigations have demonstrated that diffused ref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room acoustics by computer simulation.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several computational algorithms in order to account for diffused reflections in the ray tracing or beam tracing method. In this study, a computational algorithm for the calculation of diffuse sound reflections in the image method is suggested and a computer simulation system is developed based on the suggested algorithm. The methodology adopted in our computer simulation system is similar to the extended radiosity method, which is developed for the computer graphics. In a real room, sound energy is reflected in a partially diffused manner which results in four reflection combinations: diffuse-diffuse, specular-specular, diffuse-specular and specular-diffuse. In this study, higher order form factor is introduced to handle the four types of reflection combinations so that the partially diffused reflection could be modeled.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extended radiosity method is described and the approximate method of calculating higher order form factor is suggested. Finally, the effect of higher order form factors on the simulation of reverberation time 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rface Diffusivity on the Room Acoustics Using Scaled Models (축척모델을 이용한 실의 확산성 영향평가)

  • Yeon Chul-Ho;Park Kye-Kyun;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51-454
    • /
    • 2000
  • 실의 음향성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음향인자가 개발되어지고 제시되어 왔다. 음향인자 중 확산은 실의 전반적인 음향성능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는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고 체적과 마감재료가 같은 2종류의 축척모델을 제작하여 각각의 모델에서 RT, EDT, SPL, C, IACC 등을 측정하여 확산체의 유$\cdot$무에 따른 실의 실내음향 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실내 표면의 확산성의 차이에 따라 표면의 확산성이 좋은 공간에서 초기음장에서 음에너지가 집중되고 분산되는 것을 입증하였다. 즉 확산성이 좋은 모델에서 잔향시간(RT)은 더 짧으나 초기감쇠시간(EDT)이 더 길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음에너지의 분포가 실의 확산상태에 의하여 음의 발생이후 짧은 시간내에 집중하여 전달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실의 확산상태가 좋은 공간의 명료도가 확산이 되지 않은 실에 비하여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내 표면의 확산성이 전반적인 실내 음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밝혀 냈다.

  • PDF

Effect of surface density on sound absorption of acoustical reflectors (음향반사판의 밀도별 특성)

  • Jeong, Jeong-Ho;Jeon, J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272-275
    • /
    • 2008
  • 공연장음향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자재중의 하나인 음향반사판의 면밀도 변화에 따른 흡음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음향반사판은 목질계반사판으로 밀도 변화는 $11\;㎏/m^2{\sim}41k\;㎏/m^2$으로 총 3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저주파 대역에서의 흡음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브우퍼와 무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였으며 측정결과 중고주파수 대역의 흡음률은 면밀도 변화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저주파수 대역의 흡음률을 면밀도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음악 공연 공간내의 음향반사판의 면밀도 변화에 따른 실내 음향 특성 변화 및 설계지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coustic-characteristic estimation of an elastic plate to simulate a room sound-field (실내 음장을 모사하기 위한 탄성판의 음향특성 평가)

  • Ko Byeong-Seob;Park Byoung-Uk;Kim Hack-Y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07-210
    • /
    • 2000
  • 실내음장을 정밀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음의 파동성을 고려한 탄성판의 음향특성을 평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affle에 지지된 탄성판의 음향특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적인 평가 값에 대하여 고찰하고, 또한 탄성판의 음향특성의 하나인 방사 어드미턴스에 대하여 이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 PDF

Reverberator Design by Measured Room Impulse Response Signal Modeling (측정된 실내 충격 응답 신호 모델링에 의한 잔향 필터 설계)

  • 안상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2-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실측된 실내 충격 응답을 모델링하여 실내 잔향 필터 설계를 시도하였다. 급강하법(steepest descent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된 실내 충격 응답을 4개의 콤 필터(comb filter)와 2개의 올패스 필터(allpass filter)로 이루어진 잔향 필터로 모델링하여, 잔향 필터의 계수를 결정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Acoustic Properties of Churches Depending on the Size of Halls (교회규모에 따른 음향성능 조사분석)

  • Lee Sena;Lee Hwan-Hee;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91-494
    • /
    • 2002
  • 우리나라의 교회는 점점 신도수가 늘어나면서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있으며 많은 첨단 설비를 갖추고자 하는 교회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교회설계에 있어서, 대체로 그 형태와 규모만 중요시될 뿐, 그 기능에 적합한 건축물을 짓는데 소홀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교회의 예배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음향적인 매개체는 찬양과 설교인데, 이 두가지의 물리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교회건축에 있어 실내음향은 어려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즉, 성가는 긴 잔향시간과 음의 따뜻함(Warmth)과 친밀감(Intimacy)등이 중시되는 반면, 설교는 소리의 명료도, 요해도(intelligibility) 등이 중시되는 등 그 음향적인 특성이 달라, 각기 다른 음환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강당이나 음악당보다 교회음향이 건축적으로 난점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최근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음향설계를 실시한 규모가 각기 다른 예배실의 제원과 음향성능을 조사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일반적인 음향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교회 음향설계단계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배실의 규모에 따라 5개의 교회를 선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낸 각 교회의 성가시, 설교시 실내음향인자값(SPL, RT, C80, RASTI)과 마감재료 등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대체로 규모가 큰 교회에서 음압레벨이 작게 나타났고, 잔향시간도 실의 체적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지만 마감재료와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 대형교회의 음향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건축의 형태, 재료는 물론, 전기음향설비의 보강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Theater in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국립국악당 소극장의 실내음향 평가)

  • 정유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21-426
    • /
    • 1998
  • 국악전용 공연장으로 지어진 국립국악 소극장의 음향 특성을 실내 음선도, 암소음, 잔향시간 및 음압분포에 의해 분석.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무대 앞부분과 객석모서리에서 음선경로차가 17m 이상으로 나타나 회주공조현상의 발생이 예측되며 남부순환도로와 인접하여 소극장내에 높은 암소음이 측정되었다. 잔향시간의 측정결과 과다한 실내 흡음력으로 인해 공석시에 계획값 보다 0.8초 정도가 짧으며 이는 관객입장시 더욱 악화될 것이 예측되어 1석당 실용적을 증가와 실내 흡음력을 가능한 줄일 필요가 있다. 음압레벨은 음악당 전 객석에서 고른 음압분포가 보이고 있으나 무대 음원에서 객석전열 사이에 초기 음압감쇠가 크게 나타나 무대주변의 음압 보강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