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마감재료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축척모델을 이용한 실의 확산성 영향평가 (The Effects of Surface Diffusivity on the Room Acoustics Using Scaled Models)

  • 연철호;박계균;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451-454
    • /
    • 2000
  • 실의 음향성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음향인자가 개발되어지고 제시되어 왔다. 음향인자 중 확산은 실의 전반적인 음향성능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는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고 체적과 마감재료가 같은 2종류의 축척모델을 제작하여 각각의 모델에서 RT, EDT, SPL, C, IACC 등을 측정하여 확산체의 유$\cdot$무에 따른 실의 실내음향 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실내 표면의 확산성의 차이에 따라 표면의 확산성이 좋은 공간에서 초기음장에서 음에너지가 집중되고 분산되는 것을 입증하였다. 즉 확산성이 좋은 모델에서 잔향시간(RT)은 더 짧으나 초기감쇠시간(EDT)이 더 길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음에너지의 분포가 실의 확산상태에 의하여 음의 발생이후 짧은 시간내에 집중하여 전달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실의 확산상태가 좋은 공간의 명료도가 확산이 되지 않은 실에 비하여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내 표면의 확산성이 전반적인 실내 음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밝혀 냈다.

  • PDF

르 꼬르뷔제의 재료 질감 사용 및 색채 표현 - 롱샹성당의 입면과 디테일을 중심으로 - (The Expression of Color and Texture Usage of Finish Material from the Le Corbuisier's Work - Focused on the Elevation and Detail in the Chapel Ronchamp -)

  • 김소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0-7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a usage of exterior, interior finish materials and color scheme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actual texture and pattern plans of finish materials from Le Corbuisier's work, Chapel Ronchamp. Chapel Ronchamp was analyzed to support the study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xture usage and color expression. As a powerful design tool, texture, pattern and color of finish materials are very effective to alter the perception of the facade in the building. Most of architectural buildings, shapes and materials of elevations are monotonous and uniform.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by details in the elevation of Chapel Ronchamp. As the part for developing and planning of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ing color plans and finish material is very important on real expression in the architectural space.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nefit in planning both the exterior and interior environments of color and finish material with texture and pattern.

내장타일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Wall Tile Design)

  • 김명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85-194
    • /
    • 1997
  • 건축물의 마감재료인 내장타일은 생활공간에 많은 부분에 쓰여지고 있지만 제품이 연구되고 생산되고 판매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별로 많은 관심을 가지지 못했다. 생활문화의 발전과 주택의 고급화는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마감재에 많은 느낌과 관심을 가지게 되어 타일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디자인을 전공하는 디자이너들에게는 타일산업은 단지 요업분야로만 생각되어져 있어 별로 큰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사고의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타일산업에서 차지하는 디자인의 비중과 디자인 방향과 역할을 여러 각도에서 접근하여 우리 나라 타일산업의 발전과 미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된 대학 소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 W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Improvement and Change of Acous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mall Hall Remodeled as Exclusive for Lecture Room : Based on the case of the W University)

  • 김민주;김재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31
    • /
    • 2020
  • 본 연구는 교육품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요소 중 음환경에 대한 내용을 W대학 인문대 소공연장의 리모델링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W대학 인문관의 소공연장은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하기에 앞서 적당한 울림이 필요한 공연장과 상대적으로 음성의 명료성이 중요한 강의실의 음향성능 차이를 인지하고 강의전용 공간에 적합한 실내 음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 전 음향성능 측정, 음향 시뮬레이션을 통한 마감재료 변경안 제시, 리모델링 후 음향성능 측정의 단계를 거쳐 리모델링에 따른 강의전용공간의 음향성능 개선안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 마감재 변경을 통한 강의전용 공간 등 교육공간에 적합한 실내 음향성능 확보의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균마감재료와 병원 내 적용 부위 고찰 - 항생제 내성균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tibacterial Finish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Areas in the Hospital - Focused on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 권순정;박용현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5-22
    • /
    • 2024
  • Purpose: In general, cross-infection caused by bacteria occurs more in hospitals than in local communities. In most cases, infectious diseases spread through contact transmission (direct contact, indirect contact). This study tries to examine which places are most likely to detect infections bacteria and what materials should be used to effectively suppress the spread of infectious bacteria. Method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have been reviewed to determine which bacteria are common and spread in which places. At the same time, antibacterial experiments for several finishing materials a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urvival period of bacteria for each material. The experiment is conducted mainly on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MRSA, CRE, etc.) that have a high mortality rate and are very contagious. Results: MRSA has a high incidence in many hospital departments with surgery or immunocompromised patients, such as the elderly, organ transplant patients, and hemodialysis patients. There are experimental results that MRSA dies early in ceramics or silk wallpaper. CRE has a high incidence in hospital departments where there are many patients who are prone to bacteria entering the body directly, such as ventilator patients 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surgical wounds. There are experimental results that CRE dies early in silk wallpaper. In addition, bacteria die on the surface for a variety of reasons. Most MRSA and CRE develop in patients with impaired immunity or surgery, and rapidly die in copper or material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Implications: If finishing materials surface with the ability to kill specific bacteria is used in the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specific bacteria are detecte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SO 방법론을 이용한 축소 잔향실에서의 확산계수 측정 (Measurements of Scattering Coefficients Using the ISO Method in a Model Reverberation Chamber)

  • 전진용;이성찬;류종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2-168
    • /
    • 2003
  • 콘서트홀의 음향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알려진 확산현상은 실내마감재료의 "확산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확산음장에서 임의입사 확산계수를 측정하도록 제안한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측정방법을 기반으로 목재 반구 확산체와 각재확산체의 크기 및 점유밀도 변화에 따른 확산계수를 축소잔향실에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15㎝이상 높이의 반구가 가장 높은 확산계수를 보였으며, 반구의 경우 전체 점유밀도가 50%에서, 각재의 경우는 약 30% 점유에 각각 높은 확산계수를 보였다.

아파트 내부 공간 구성 요소에 의한 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sign System based on the Interior Space Composition Factors of Apartment Housing)

  • 정재욱;윤미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호
    • /
    • pp.35-42
    • /
    • 2001
  • The main scope of this study is to define such system of space composition factor to diversify the interior space of the apartment housing. Staring from the space analysis,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actors, characters of the anthropometry for the dwelling behavior, and analyzed dimensions of the interior furniture from the market data have uniformly integrated to engage with such system for innov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space design method. The elements of the composition factors are as follows: 1. Structural elements - $\circled1$Bearing wall $\circled2$Ceiling $\circled3$Floor $\circled4$Structural column 2. furniture elements - $\circled1$Fixed furniture $\circled2$Movable furniture $\circled3$Non-bearing wall $\circled4$F1exible wall $\circled5$Void & Solid 3. Finished material elements - $\circled1$Structural material $\circled2$Doub1e shell $\circled3$Color & Tone $\circled4$Lighting system For the design system selected space in restricted in 3way directional axis X,Y,Z to form its volume and direction of the space composition factors. X-axis is stands for horizontal length of the factor, Y-axis is for the space depth, and lastly, Z-axis is for the hieghts of the space based on anthropometris.

  • PDF

칼라 부직포의 연소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Experiments of Color Nonwoven)

  • 민세홍;임상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99-1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사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칼라 부직포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콘칼로미터와 수직화염전파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칼라 부직포는 표변에 화염이 착화가 되는 것이 아니라 용융이 된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발생되어 착화되는 연소형태를 보였다. 수직화염전파성 실험의 경우 가열강도에 의해 칼라 부직포가 수축 및 파단되어 화염이 전파되지 않을 정도로 열에 매우 취약하였다. 총방출열량은 2.66 MJ/$m^2$로, 건축물 실내마감재료 난연성능평가의 준불연재료(10분), 난연재료(5분) 8 MJ/$m^2$ 이하 기준에 규합되지만 이것은 내장재의 기준으로 칼라 부직포가 난연성능을 가지고 판단할 수 없으며 외장재에 대한 난연성능과 실험방법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건축물 실내 CO2 농도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탄산화 깊이 산정에 관한 연구 (Analytic Expectation of Carbonation Depth of Indoor Concrete According to CO2 Concentration)

  • 박동천;박근석;안재철;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1-233
    • /
    • 2011
  • Carbon dioxide in atmosphere causes concrete carbonation which is the phenomenon, that is, the pH of concrete changes from 12-13 to 8.85-10. Even though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indoor is higher than that of outdoor, the micro measurement has not carried ou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measured in three places. The data was used as boundary condition to FEM analysis for expectation of concrete carbonation depth. The affect of building finish materials to concrete carbonation was discussed.

  • PDF

황토 마감재의 온도 및 습도 조절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Performance of Hwang-toh Finish)

  • 이규인;염동우
    • KIEA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99-106
    • /
    • 2012
  •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cological materials 'hwang-toh (yellow soil)' on indoor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wo full scale mock-ups were constructed: one with silk wall paper, which is generally used for indoor finishing and the other with hwang-toh, which is the ecological material for wall finishing. Comparis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onducted, and the effects of hwang-toh finishing on a humid indoor environment were verified.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verified that a hwang-toh plaster finish is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comfort of an indoor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