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디자인 연구

검색결과 2,822건 처리시간 0.027초

실내디자인 학생의 성격 유형과 CAD 적성 및 태도의 연관성 (Personality Types of Interior Design Students: Implication for CAD)

  • 임영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160-165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 학생들간에 나타나는 CAD에 대한 태도, 적성과 그들의 성격 유형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들 성향이 CAD 교수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성격 유형 검사, CAD 성적, 그리고 교과목 성적을 통한 통계분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은 실내디자인 전공 3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실시 환경은 CAD가 디자인 도구로 쓰여지는 실내 디자인 실기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정확한 실험 결과 분석을 위해 CAD 숙련도 성적과 종합 교과목 성적이 분리. 채점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성격 유형은 의향형, 직관형, 느낌형, 및 판단형(ENEJ)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에 참여할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직관에 의해 사물을 인지하고, 문제 해결을 하는데 있어 감성에 의지하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판단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CAD에 대한 태도와 성격유형의 관계에서는 CAD가 유용하다고 생각한 학생들이 느낌형에 강한 선호도를 보였으며, CAD 적성과 성격 유형의 관계에서는 CAD 숙련도 성적이 높은 학생이 판단형에 강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CAD 성적이 뛰어난 학생이 종합 교과목 성적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AD 숙련도의 차이가 학생들의 전반적 디자인 능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성격과 학습인지 성향이 컴퓨터 교육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타 분야에서의 연구결과가 실내디자인 분야에도 타당성을 지님을 증명해주었으며, 실내디자인 수업에 있어 컴퓨터 관련 교과목의 교수법이 실내디자인 학생들의 성격 유형을 바탕으로 개발이 될 때 그 활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도시 아파트 거주자의 지역별 실내 디자인 선호 연구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for the Urban Apartment Residents by Region)

  • 박영순;신인호;한정원;황유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32-37
    • /
    • 1995
  • 본 연구는 아파트가 밀접되어 있는 서울, 부산, 광주, 천안 등의 지역을 대상으로 아파트 거주자들의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하여, 아파트 실내공간에 개성과 기호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말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쩨. 개조실태 파악을 통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한다. 둘째. 실내분위기와 실내색채와 실내마감재의 선호조사를 통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한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가 서울, 부산,광주, 천안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 2,60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역별로 선호하는 실내디자인을 종합하여 볼 , 서울은 우아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천안은 일상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은 화려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과 광주는 중후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선호가 뚜렷이 구분되는 결과는, 실내디자인 계획에 있어 지역이 중요한 변수로서 충분히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을 시사한다.

  • PDF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Job Model Centric Educational Program for a 4 Year Interior Design University Course: Based on a Case Study of an Interior Design Major at K University)

  • 정성욱;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6-555
    • /
    • 2019
  • 본 연구는 K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의 교육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내 외부 환경분석을 거쳐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실내디자인분야 직무모형을 구축하고 직무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여 4년제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목을 편성하였다. 실내디자인 직무에 따라 수립한 인재상은 '실내디자인분야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실내디자인분야 공간기획 전문가' 그리고 '실내디자인분야 시공관리 전문가'이다. 세부 직무모형에 따라 40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1학년은 학부 공통교과목, 2학년은 전공기초, 3학년은 전공심화, 4학년은 전공응용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내디자인분야의 산업체 조직구성현황 및 직무표준의 모형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 자체를 제안하고 구체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디자인 과정 단계별 실내디자인 연구 경향 -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분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Trend on the Stages of Interior Design Proces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KIID Journal -)

  • 이민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9호
    • /
    • pp.54-6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interior design research trend through categorizing the research in interior design process and investigating the research method used at each stage of the process. The ultimate aim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design process and interior design research and to indicate the guide line of future research. As results of the study, interior design research did not reflect recently increasing renovation and remodeling trend since evaluation research was less performed than data collection, program and design development research. Only educational/research space showed higher rate in evaluation research. In recent years, interior design research is interested in objective design problem solving since programming research Increased, and in user-participation planning sinc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search Increased as data collection method. For the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researchers to show creative thinking process on the stage of design development and to develop various research method on the stage of evaluation.

실업계 고등학교 실내디자인 전공 (A study on the hiring and retaining program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ing staff)

  • 오혜경;천진희;김대년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97-204
    • /
    • 2002
  •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실내디자인 전공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앞으로 실내디자인 전공교육을 담당할 교원의 신규 임용 및 기존교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circled1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실내디자인을 담당할 신임교원은 반드시 실내디자인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실무경험 1년이상, 또는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소정의 실기시험을 통과한 전문교사를 임용하여야 한다. \circled2재교육의 과목은 총 9과목으로 현직 교원들이 필요로 하는 재교육의 내용과 활성화 방안에서 제시된 특화분야 및 자격증 관련 과목을 중심으로 편성하였는데 제도, 투시도, 건축 및 실내재료, 건축 및 실내 구조, 공간디자인, 가구디자인 및 제작, CAD, 실내시공, 주거 및 실내디자인일반이 그것이다. \circled3각 과목에 대한 시간 수는 같은 과목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필요한 시간의 약 2/3를 배정하였고 전과목을 택했을 때 총 25i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재교육을 받을 교원의 대부분은 디자인이나 미술을 전공하였으므로 60시간의 일반연수, 또는 180시간의 자격 열수를 정하고 필요한 과목에 따른 시간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 PDF

로팍스여객선 거주구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ior Design Improvement of the Accommodation Area in RO-PAX Ships)

  • 박진;이한석;박상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연안여객선 중 로팍스(Ro-Pax)여객선을 대상으로 거주구 실내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존 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하여 거주구 특성에 대해 고찰한 후 현재 운항하고 있는 로팍스여객선 7척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여객선 전문가 38명을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거주구 실내디자인에서 공용시설이 가장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디자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색채 만족도가 거주구 사용자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구 실내디자인지침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용시설의 종류 및 배치, 색채디자인 개선, 거주구 실내디자인지침 마련 등을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사용자 성격유형에 따른 주거공간 실내디자인 요구에 관한 연구 (Study on Users' Housing and Interior Design Needs Affected by Personality Types)

  • 이헌주;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88-97
    • /
    • 2013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various users' diverse interior design needs for thei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through the personality, which is intrinsic and consistent traits of the individual. The survey research followed the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personality studies and interior design assessments. 17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controlled by age, sex, and major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i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ttitudes, the semiotic assessment of interior design styles, and interior design preference were compared in accordance with four pairs of preference dichotomy of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Extraversion -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Judging-Perceiving. As a result, the framework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needs by the users' personality types are proposed. It shows specific needs for 16 types of personality based on eight preference dichotomy: extroversion-open, introversion-closed, sensing-functional, intuition-emotional, thinking-restricted, feeling-receptive, judging-simple, and perceiving-creative.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A Study on Interior Design of Compound Bookstore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 판잉잉;김명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8
    • /
    • 2020
  • '1+N'은 현재 복합형 서점의 경영 모드이다. 본 연구는 우선 고객의 기본적 상황과 수요를 조사하였고, 서점 내의 10가지 공간 중 고객의 4가지 기본적 행위를 검토하였다. 다음 서비스 디자인의 3가지 연구 도구와 실내 디자인의 3가지 디자인 요소를 상대적으로 대응하여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기본 분석 프레임'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사례와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기본 분석 프레임'과 결합하여, 고객과 서점이 상호작용하는 자세한 프로세스, 터치포인트와 실내 디자인 프로젝트를 찾아냈다. 디자인 맹점을 찾아 상응하는 해결책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모델'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복잡한 공간의 실내를 디자인할 때 주목해야할 요소 및 각 요소 간의 뚜렷한 연관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합형 서점 실내 기능 구역의 디자인 내용과 서비스 품질검사, 디자인의 공백점을 찾을 수 있다.

실업계고등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개선방안 -대학 동일전공과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f Interior Design Major Curricula at Vocational High School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Interior Design Major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 천진희;오혜경;김대년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1-180
    • /
    • 2002
  • 본 연구는 실업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실업고, 2(4)년제대학의 교육과정이 각각 분석.비교되었고, 실업고 재학생, 교사,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빈도분포와 백분율로 통계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1실업고에서 전공교육의 비중은 왜 높았으나 실내 디자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교과내용은 그리 많지 않았고, 홍미도와 중요성에 따라 실내디자인 전공 교과서의 활용도를 더 높이되 공업계.상업계 교과서 중 실내디자인 관련 부분을 발췌.사용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할 것이다. (22년제와 4년제대학의 전공이수학점 수는 비슷하였고, 2년제가 실내디자인실기.컴퓨터디자인.표현기법 등 실무를 위한 교과목 비율과 중요도가 매우 높은 반면 4년제는 전공실내디자인 비율이 특히 높고 연구능력함양, 전공특화를 위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선택의 폭이 높았다. (3실업고를 대학과 비교한 결과, 실업고는 대학과 근접한 교육을 지향 하나 전문기능인 양성을 위한 체계성.전문성이 부족하므로 실내디자인과 관련이 적은 교과목을 실무와 실기능력 함양을 위한 교과목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실내디자인 업계 종사자들은 실업고 학생들에게 CAD, 시공업무가 가장 적합하고 실업고 특화를 위해 이 과목들과 실내디자인실기와 가구과목 등이 강화되어야함을 밝혔다. 위의 조사를 토대로, 실업고에서는 대학과의 차별화, 산업현장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되, 현장연계교육과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 PDF

한식당 실내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in Korean Restaurant)

  • 정미렴;박영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4-85
    • /
    • 1999
  • 실내디자인에서 우리의 것을 다시 찾으려는 노력은 최근 20년간 점점 늘어나 여러 방향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실적으로는 전통성을 찾자는 주장 하에 형태만의 고증이나 답습에 한정되거나, 일관성 없이 디자인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