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관심도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42초

노인을위한 다기능 지팡이 디자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Multi-Stick for Older People)

  • 이희수;이남식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6-87
    • /
    • 1999
  • 최근 유니버살디자인(UNIVERS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간 각각의 다양한 연령의 차이로 인한 신체적 특성의 고려는 다양한 디자인의 연구와 적용으로 많은 성과를 가져오고 있다.(중략)

  • PDF

이달의 과학자-경희의대 비뇨기과 교수

  • 장성구
    • 과학과기술
    • /
    • 제28권9호통권316호
    • /
    • pp.80-81
    • /
    • 1995
  • 같은 항암제라도 개인의 신체특성에 따라 효능이 다르게 나타난다. 3차원적으로 조직배양한 표재성 방광암의 암조직과 배양액 내의 포도당 흡수율의 상관관계를 밝혀 항암제 선택의 새로운 지표를 제시,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경희대 비뇨기과 장성구교수가 이달의 과학자로 선정되었다.

  • PDF

남자 대학생의 외모관심과 신체만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ppearance Concern and Body Satisfaction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llege Students)

  • 박혜원;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19-11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ppearance concern and body satisfaction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llege students.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538 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 from June 1 to June 20, 2011. To analyze the data, the SPSS 18.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Cronbach' ${\alpha}$),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concern of appearance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appearance-concern group and the low-appearance-concern group, as the high-appearance-concern group generally conducted great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an the low-appearance-concern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concern of appearance had positive influences on body satisfaction, especially, on the aspect of face-satisfaction. Furt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appearance-concern group seemed to have a higher body satisfaction than the low-appearance-concern group. Third, the result suggested that body satisfaction generally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appearance concern had direct impact on the appearances management behavior without mediation body satisfaction.

신체이상증상 측정을 위한 장치개발 설계 (Device development for measurement of abnormal physical symptom)

  • 이해인;신성윤;이현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6-167
    • /
    • 2018
  •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의 생활의 편리성이 많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에 의한 건강 측정과 관리가 인간의 수명을 증가시켜주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이상 증상에 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도 증가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 이상증상에 따른 건강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리의 이상증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하지정맥류 이상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개발에 관한 내용에 관하여 살펴본다.

  • PDF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신체상과 질병적응에 관한 연구 (Children with Cancer: Adjustment to Disease and Body Image)

  • 조혜린;박소영;한인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7-30
    • /
    • 2008
  •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소아암 환아의 생존율이 1960년대 30%미만에서 최근 75%이상으로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소아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닌 만성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투병생활로 인해 소아암 환아들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다. 특히 외모에 관심이 많고, 또래관계가 중요한 10대 소아암 환아들에게 있어 신체적, 심리사회적 변화는 이들의 신체상과 질병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 환아의 신체상(신체왜곡도) 및 질병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및 신체상이 소아암 환아의 질병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07년 10월 2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자는 암진단 후 3년 이내의 10세에서 18세 환아 8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학교생활여부, 신체상이 소아암 환아의 질병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을 하고 있는 환아가 그렇지 않은 환아보다, 신체왜곡도가 낮을수록 질병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암 환아의 질병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소아암 환아가 학교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제도 구축, 긍정적 신체상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소아암 환아의 연령을 고려한 심리사회적 접근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국유학생의 학습효과가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 (Chinese students' learning effect Impact on University life)

  • 장상배;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7-80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교육시장 개방과 더불어 한국 국내 대학들은 국제적인 인지도를 넓히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한국 국내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들 특히 중국유학생들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어 중국유학생의 한국대학에서 학습효과와 대학생활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애착과 만족도를 밝히고 중국학생의 학습효과에 따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발견 학습효과는 정서 대학생활에, 발견 학습효과는 신체 대학생활에, 지각 학습효과는 사회 대학생활에, 지각 학습효과는 정서 대학생활에, 인지 학습효과는 신체 대학생활에, 학문 대학생활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신체 대학생활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신체활동 및 운동사업에서의 인구집단 전략 (Population Strategy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

  • 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2호
    • /
    • pp.227-240
    • /
    • 2005
  • 현재 건강증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으로 학자마다 정의가 다르고 동일한 학자도 문맥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건강증진 내용의 스펙트럼이 행태변화만을 포함하는 가장 좁은 의미수준부터 지원체계, 질병예방, 건강보호 등을 포괄하는 가장 넓은 의미까지 다양하다. 건강증진의 개념을 어떤 것으로 받아들이든 정책, 개인 기술, 환경변화 등의 측면에서 지역사회(community)가 인간 집단을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강증진의 가장 중요한 장이라는 것은 별로 이론이 없는 것 같다. 건강증진의 개념과 정의가 형성되어가는 시점에서 몇가지 주요한 논란점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건강증진의 접근전략에서 인구집단 전략과 고위험군 접근전략 간의 대립점이 가장 첨예한 논란중의 하나이다. 정부의 정책, 조직의 우선순위, 전문인의 행태 등이 각 개인의 노력과 같이 중요하거나 혹은 더 중요하다는 것이 이러한 입장이며, 건강과 행태에 영호t을 미칠 수 있는 사회체계와 환경에 대해 보다 큰 의사결정권을 가지는 것이 건강증진을 위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건강증진을 논함에 있어 지역사회 전체를 통한 접근이 점점 더 강조하고 있다. 지역사회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자원을 효율적 활용을 통한 보다 강화되고, 통합된, 포괄적, 협력적으로 수행되어져야한다. 이러한 방향은 1986년 오타와 헌장에의 건강증진의 정의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광범위한 건강의 결정요인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신체활동은 건강의 주요한 결정요인이다. 인구집단 전략은 개인에 대한 신체활동 교육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음을 제안한다. 개인 수준의 행태변화도 중요한 것이지만 이에 대한 집단적 변화를 불러줄 환경적 변화를 위한 전략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인구집단 전략은 사회적, 물리적 지지환경을 강화하고, 국가, 광역 및 기초자치 단체 수준에서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을 연계, 통합하여야 한다. 지속적인 공공교육 및 사회마케팅이 지역사회 신체활동 조직 및 기관, 산업장, 학교 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모든 주민들이 신체활동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협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와 기관 및 시민들은 지역사회차원의 운동개념으로 주최하고 참여하여 사회적 규범화 작업에 동참하여야한다. 기본적으로 적절하고 충분한 재원의 지원, 인적자원의 개발, 정책 및 입법이 제공되어야한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연구개발과 지식의 공유 및 교환이 요구된다. 한국에서는 전략적 우선순위가 높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범주를 지역 보건소를 기반으로 한 환경적 지원, 생애주기별 접근, 고위험군 및 질환군 접근 등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사회에 기반한 신체활동 핵심 프로그램으로 하부구조 구축, 지원적 환경 제공, 지역사회 캠페인, 건강증진 교육 및 홍보, 노인 및 비만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그리고 운동처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였다. 신체활동증진 및 운동사업은 사회적, 물리적 지원환경 조성 등을 중심으로 전개하며,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운동사업은 지역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등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연동하며, 홍보 및 교육은 지역의 운동단체 및 기관, 각급 학교 등과 협력하여 운동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고 신체활동 및 운동을 생활화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토록 한 전략을 지속, 강화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신체억제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태도 (Elderly Care Worker's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Uses of Physical Restraints)

  • 성병주;고성희;이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95-504
    • /
    • 2016
  • 본 연구는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및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 정도는 전체평균 2.83점(5점 만점)이었고, 대상자의 신체억제에 대한 태도 정도는 전체평균 3.56점(5점 만점)이었다. 대상자의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r=.3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점수가 낮은 문항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체억제의 적절한 사용방법에 관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신체억제 적용기준과 관련된 지침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노인의 인권보호를 위해 신체억제 감소 및 폐지를 위한 노력과 관심이 요구된다.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High Schoolers in Some Regions)

  • 이덕혜;구민지;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9-113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일부 고등학교 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현재 인지하고 있는 구강상태 정도는 '건강하다'가 34.8%, 그렇지 않은 경우가 65.2%로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정도는 '아주 관심이 많다' 15.7%, '조금 관심이 있다' 52.6%인 반면, 별로 관심이 없거나 전혀 관심이 없는 경우는 31.7%로 나타났다. 2. OHIP 세부영역 중 신체적 동통영역이 2.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불리영역이 1.35로 가장 낮았고, 전체 구강건강영향지수는 1.66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OHIP 세부영역 중 남자가 사회적 불리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치과방문경험이 있는 경우가 신체적 동통영역과 정신적 불안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구강건강관심도에 따른 OHIP 세부영역별 차이에 있어서는 매우 관심이 있는 경우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OHIP 세부영역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신체이미지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ody Image and Life-style)

  • 김선희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87-9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dy image as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life style which affects consumer behavior. The method of the study was survey research by using questionnaires. Subjects were 323 women in their twentie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discrimination analysis, one-way ANOVA, x 2-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of woman in her twenties. 60.1% of all respondents experienced in diet. 31.6% experienced in plastic operation, 47.4% experienced in skin care, 44.9% experienced in perfect make up, and 84.8% experienced in hair dyeing. The group with high appearance concern showed high body satisfaction. Life-style factors were analyzed into 5 factors. The group with low appearance concern considered active family-focus life factor importantly, the group with middle appearance concern considered social life factor, and the group with high appearance concern considered self-focus life typ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life facto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ody imag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ocial leve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emale group in the mid twenties who majors in arts and athletics, resides on southern part of Han river, and belongs to high society was analyzed to show high appearance concern and body satisfaction. and many experiences of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