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제품개발성과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신제품개발 전략과 성과에 관한 연구

  • Kim, Yong-Man;Kim, Seok-Y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215-234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IMF의 어려운 경제환경하에서 과거와는 달리 기업이 생존 및 번영을 위해서는 어떤 신제품개발 전략을 세우고 그 전략은 기업의 신제품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으로 기업은 신제품개발을 위한 상이한 경영전략을 사용하는가 ? 그리고 신제품개발 전략은 신제품개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제품개발 전략유형 즉 신제품 특성, 시장특성, 기술특성 그리고 프로그램 특성의 4가지 유형에 의해 실증분석을 한 결과 균형전략, 다각화전략 그리고 시너지추구 전략군 등 3가지 유형으로 집단화할 수 있었다. 균형전략군은 기술지향성과 마케팅지향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전략군이고, 다각화전략군은 새로운 고객의 욕구충족을 위해 새로운 유통경로와 촉진활동을 촉진하는 전략군이며 마지막으로 시너지추구 전략군은 상대적으로 낮은 R&D비용을 지출하고 위험성이 낮고 기술수준이 낮은 신제품을 개발하는 전략유형이다. 그리고 신제품전략 유형에 따라서 신제품개발 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제품특성(3.4524)이고 그 다음으로 시장특성(3.4470), 기술특성(3.4270)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분석 결과들은 IMF시대의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대처하면서 기업의 생존 및 번영을 책임지고 있는 신제품개발 담당자들에게 경영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Collabor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 Mid-sized Venture Companies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 협업,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Lee, R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1
    • /
    • pp.185-195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at there is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as a means to step up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will improv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employees who are engaged in R&D work for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based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belong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had an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f collaboration as a wider array of core strategi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howed that collaboration was a strategy affec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boos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showed that common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epping up technology strategy, and collaboration as a core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ize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technology strategy and open innovation.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김형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4
    • /
    • pp.47-75
    • /
    • 1999
  • 지식사회, 지식경제의 등장과 더불어 기업의 자원으로서 지식(knowledge)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마케팅 전략의 한 분야로서의 신제품 전략에서도 신제품 개발과정에 있어 기업(혹은 신제품 개발 팀)의 지식과 지식의 활용 능력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가 중요한 전략적 이슈(issue)가 된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시장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업내의 다양한 조직-특히 R&D, 생산, 마케팅-과의 지식공유·통합과정이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제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NPD)과정이며 구체화 과정에서 개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신제품 성과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많은 요인들을 '지식역량(knowledge competence)'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지식 역량과 신제품 경쟁우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제품 경쟁우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셋째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기업을 지식의 결집체로 인식하고 있는 지식거점관점(knowledge based perspective)과 이러한 지식자원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이론 그리고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분산된 인지이론(distributed cognition theory)을 활용한다.

  • PDF

The Effects of Small-Medium Suppliers' Adaptive Learning on New Product Creativity and Performance (중소공급업체의 시장적응학습이 신제품 창의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ang, Seongho;Lee, Hange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5
    • /
    • pp.41-52
    • /
    • 2019
  •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requires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to develop creative new products. Therefore, many previ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new product development.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firm learning has generated considerable interest in new product development, the central issue of firm learning remains unanswer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aptive learning of small and medium suppliers on creativity and new product performance in new product develop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daptive learning positively affects both novelty creativity and meaningfulness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meaningfulness crea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but novelty creativity has no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Performance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Shim, Duksup;Ha, Seongwook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1 no.4
    • /
    • pp.109-127
    • /
    • 2020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cess and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82 NPD projects in 5 firms. The information search is consisted of general sources, internal sources, and external sources. The performance i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market performance. Findings show that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increases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and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increases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The technological and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technical performance respectively. Only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market performance. Overall,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market performance. There is no other significant medi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es and the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Causality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Size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관계: 조직규모에 따른 신제품개발의 조건부 간접효과)

  • Choo, Seungyoup;Woo, Hyungr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3
    • /
    • pp.133-144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indirect effects of new product development(NP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and business performance is contingent on organization size.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EO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NPD, there have been no research attempts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causal path of EO, NPD, and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path focusing not only on final 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affected by EO but also on the mediating role of new product development, which is an intermediate performance. Based on the sample of 3,299 firms from the 2018 Entrepreneurship Survey(Corporate), we analyzed the EO-NPD-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and explored whether such an indirect effect of EO on business perform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m. The results showed that EO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NPD. In addition, NPD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O and business performance under the condition of large size firm, although NPD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With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has principal implications for practicing manag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to suggest that NPD triggered by EO is a panacea for improving final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suggests a need to equip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successfully commercialize new products and appeal to the market and customers, beyond simply developing new products seeking newness based on EO.

The Impacts of NPD Team's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NPD Process : Based 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신제품 개발팀의 특성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 김형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v.4 no.3
    • /
    • pp.23-41
    • /
    • 2002
  •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과정을 시장지식과 기술지식을 흡수, 활용하는 일종의 학습(learning)과정으로 인식하고 신제품 개발 팀을 하나의 학습 조직(learning organization)으로 파악하여 개발 팀의 학습 능력과 학습 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팀의 구조/분위기적인 특성이 신제품 경쟁우위의 달성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제품의 시장 성과는 신제품 경쟁우위(품질 우수성, 시간 효율성)의 확보에서 비롯되며 이러한 경쟁우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학습의 요인은 마케팅 부서와 R&D부서의 정보 공유 행동과 조직기억의 활용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신제품 개발팀의 자율적인 분위기 및 신뢰의 분위기는 조직학습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신제품 개발과정의 시간 효율성을 달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 PDF

The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y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신제품 개발활동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Rhee, Doyun;Ha, Kyu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6
    • /
    • pp.183-198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NPD(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standardized NPD activity on NPD performance in KODAK compan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companies with a specific NPD strategy that can lead and integrate NPD programs were 48.5% and companies without NPD strategy were 51.5% among KOSDAQ companies, which showed that companies without NPD program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companies with NPD programs. According to result of NPD performance, success rate of new product showed 51.2% and success rate of new product revenue showed 44.87%, but respondents who evaluated NPD performance as "very successful" and "successful" were 53% based on the study of 77 various industries by Kuczmarski & Associates in America in 1993, and the companies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below-average marks to the result of the study examined by USA PDMA in 1995 as compared to 59% of NPD success rate according to the 2nd study of best practice in 1995 by USA PDMA(Product Development & Management Associa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NPD performances depending on whether company has NPD strategy or not,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of NPD depending on NPD strategy and had a higher success rate of NPD as company has NPD strategy. Although NPD activity does not provide with documented process, companies which follow clearly recognized procedure until individual business for product development is completed were 39.6%, indicating that KOSDAQ companies still have fewer standardized NPD procedure than USA companies with 76%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1990 PDMA in America. As a result of ANOVA test, NPD success rate showed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officially documented process. As a result of Scheffe and Bonferroni test as post hoc test, companies with officially documented process, carrying out a series of business in a given section showed a higher NPD success rate by 18.385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an companies with individual business procedure without officially documented process. The difference of this research from the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findings of PDMA in America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were applied to the domestic KOSDAQ companies. In addition,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NPD in Korea were conducted for some limited industries in the past, but this study was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of KOSDAQ compan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KOSDAQ Industry Association or other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to educate and guide the standardized process about NPD for increasing survival rate and reinforcing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ies.

  • PDF

문제해결관점에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 모형 - R&D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 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379-398
    • /
    • 1999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개념을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신제품개발 성과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과 관련한 연구논문들이 그 동안 많이 있었으며, 각각의 이론들은 상호 이질적이고 다른 관점을 취해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다소의 혼란을 야기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합리적 계획, 의사소통 망, 훈련된 문제해결의 세 개의 차원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학자들은 통합모델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그러한 접근은 신제품 개발의 본질적 성격을 반영하는 새로운 깊이 있는 차원으로서의 모델 통합이 아니라 단순히 영향 요인들의 나열 또는 종합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R&D 팀이 본질적으로 문제해결 집단이라는 전제하에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구성원들의 문제해결 몰입과 해결안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높이기 위하여 R&D 팀의 인지적 다양성과 R&D팀의 위상과 관련하여 R&D 환경 성숙도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였다. 여기서 제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R&D팀 성과와 관련된 연구모델은 본질적인 것을 다루면서 단순화 된 모델로서 그 동안 여러 관점에서 다루어져 온 개념들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차원에서 R&D 성과를 높이는데 개념으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Sang-Eun;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225-230
    • /
    • 2018
  •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의 기술창업기업은 기존 조직 내부의 기술들 이외에 외부의 다양한 기술들을 들여와 기존 기술과 융 복합하여 기술 사업화를 도모하여 치열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글로벌 경쟁력과 첨단기술을 갖춘 중소 벤처기업 육성 안이 대거 포함되어 기술기반의 기술창업기업을 창출하고 육성하여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사업화의 핵심적 요소로 간주되고 있는 기술사업화역량 및 외부기술획득활동은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기술기반의 기술창업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신제품개발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기술기반의 기술창업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과 외부기술획득활동이 신제품개발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