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분류군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 서식 Betaproteobacteria의 종다양성 및 신분류군 분포 (Species Diversity of Betaproteobacteria in the Sumunmulbengdui Wetland Area of Jeju Island and Distribution of Novel Taxa)

  • 신영민;김태의;최아영;전지선;이상훈;김하늘;이하나;조재형;조장천;장광엽;김규중;조기성;천종식;이현환;김승범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54-161
    • /
    • 2011
  •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에서 Betaproteobacteria의 종다양성을 조사하였고, 신분류군 후보 22균주를 확보하였다. 분리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Burkholderiaceae (3균주), Comamonadaceae (8균주), Oxalobacteraceae (5균주) 및 Neisseriaceae (5균주) 등 4개 과에 속한 15속, 그리고 소속 미상의 Burkholderiales 소속1속(1균주)으로 동정되었다. Chromobacterium 속에 속한 3종의 신분류군 후보를 확보하였고, Burkholderia, Comamonas, Pelomonas 및 Herbaspirillum의 4속에는 각각 2종씩, 그리고 나머지 속은 각각 1종씩의 신분류군 후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들 신분류군 후보에 대해 형태 및 배양학적 특징의 분석과 더불어 막지방산 및 API 20NE 분석을 실시하여 22종의 신분류군 후보에 대한 특징을 기술하였다.

신분류군 탐라사철란(난과) (A New Taxon of Goodyera (Orchidaceae): G. × tamnaensis)

  • 이창숙;여성희;이경서;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1-254
    • /
    • 2010
  • 제주도에서 발견된 사철란(난과)속의 신분류군을 정기준표본에 근거한 분류군 기재, 해부도 및 서식지에서의 식물사진을 제시하여 탐라사철란(Goodyera ${\times}$ tamnaensis N.S. Lee, K.S. Lee, S.H. Yeau & C.S. Lee, sp. nov.)으로 신종 처리하였다. 탐라사철란은 잎맥, 잎 표면무늬와 잎의 표피세포 형태, 잎, 꽃과 포의 색, 곁 꽃받침의 모양, 털의 길이 등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철란과 흰줄사철란(털사철란)의 교배종으로 추정된다.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 신속 및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과 현재 분류학적으로 인정되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taxa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 New genus and species, and currently recognized as distinct taxa)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1-313
    • /
    • 2008
  • $L{\acute{e}}veill{\acute{e}}$가 상당수의 한국산 신분류군을 기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분류군에 대한 종합적인 분류학적 검토가 아직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L{\acute{e}}veill{\acute{e}}$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한국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신분류군으로 발표한 것들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L{\acute{e}}veill{\acute{e}}$의 의해 총 275개의 신분류군이 발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가운데에는 Hydrolirion $H. L{\acute{e}}v.$이라는 신속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현재 Blyxa Noronha ex Thouars와 같은 분류군으로 간주되고 있다. 나머지 분류군들은 종 수준에서 231개 분류군, 변종 수준에서 43개 분류군이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 수준으로 보고된 분류군 중, 현재까지 종 또는 변종 수준에서 인정되는 분류군은 17개였고, 학자에 따라 종 또는 이명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52개로 파악되었으며, 151개 분류군은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한편, 11개 분류군은 국내 학자들에 의해 소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신분류군(신종, 신변종과 신품종) 식물에 대하여(3) (New Taxa of Korean Flora (3))

  • Lee, Yong N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27-30
    • /
    • 1981
  • 한국의 신분류군 식물에 대하여 3신종, 2변종과 1품종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는 바이다. Astragalus koraiensis Y. Lee 정선황기 ; A. nakaianus Y. Lee 제주황기; Commelina minor Y. Lee & Oh Y. 애기닭의장풀: Cirsium rhinoceros Nakai var. albiflorum Y. Lee 흰바늘엉겅퀴 ; Tripterospermum japonicum (Sieb. & Zucc.) Max. va. albiflorum Y, Lee 흰덩굴용담 Adenophora remotiflora (Sieb. & Zucc.) Maq. form. albiflora Y. Lee 흰모시대.

  • PDF

처녀이끼속의 신분류군: 구름처녀이끼(처녀이끼과) (A new taxon of Hymenophyllum (Hymenophyllaceae): H. wrightii f. serratum)

  • 이창숙;이강협;이성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33-237
    • /
    • 2014
  • 처녀이끼과 신분류군 구름처녀이끼(Hymenophyllum wrightii f. serratum C.S. Lee & K. Lee)가 한국의 제주도 한라산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구름처녀이끼는 처녀이끼에 비하여 잎은 키가 작고, 잎몸의 맨아랫부분은 넓으며, 잎몸은 넓은 난형이고 포자낭군이 더 크며 포막의 입술 가장자리가 세열된 점이 뚜렷이 구별된다. 새로운 국명은 높은 산에 서식한다는 의미로 구름처녀이끼로 하였고, 주요형질에 대한 종기재 및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 및 한국산 처녀이끼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I.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 중 분류학적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species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I. New species currently treated as taxonomic synonyms of other species)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3-169
    • /
    • 2009
  • 프랑스 식물분류학자 $L{\acute{e}}veill{\acute{e}}$, A. A. H.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Faurie와 Taquet 신부 등이 국내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근거로 발표한 다수의 신분류군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이들 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견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중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146개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Ajuga devestita 등 79개 분류군에 대해서는 일치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으나, Bidens robertianifolia 67개 분류군은 학자들마다 상충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고, Aconitum coreanum 등 8개 분류군은 후일동음명 등과 같은 이유로 비합법명이었다. 한편, Rhododendron hallaisanense 등 5개 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독립된 분류군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한국의 신분류군 (신종.신품종) 식물에 대하여(2) (New Taxa on Korean Flora(2))

  • 이영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2호
    • /
    • pp.84-86
    • /
    • 1974
  • This paper is proposed to describe a new species and two formae offlowering plants from central and southern Korea. The taxa of new plants are as follows: Miscanthus chejuensis Y. Lee, sp. nov.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form. albiflorum Y. Lee, form. nov.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form. albida Y. Lee, form. nov.

  • PDF

유입하수 첨가 배지를 이용한 세균 신분류군의 분리 (Isolation of Novel Taxa Using Complex Media with Influent Sewage Water)

  • 이시원;박수정;김창수;조양석;정현미;박상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0-1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신분류군 탐색을 위하여 유입하수 첨가 배지를 제작하였다. 유입하수 첨가배지에서는 일반 배지에서 분리 또는 동정되지 않은 13속 세균들을 배양하였으며, 특히 25에 비해 37℃에서 다양한 균주들을 배양할 수 있었다. 또한 유입하수 첨가 배지에서 총 12개의 분리 균주들이 97% 이하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은 Tessaracoccus, Paracoccus 및 Candidimonas속(또는 Paralcaligenes속)과 유연관계가 있었다.

한국의 신분류군(신종과 신품종) 식물에 대하여(4) (New Taxa of Korean Flora(4))

  • 이영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5권4호
    • /
    • pp.175-180
    • /
    • 1982
  • This paper is proposed to describe three new species and four varieties from Cheju Island to central part of Korea in Southern Korea. The new plant taxa are as follows: clematis taeguensis Y. Lee, sp. nov.; Prunus linearipetalus Y. Lee, sp. nov.; Vicia linearifolia Y. Lee, sp. nov.; Clematis brachyura Maxim. var. hexasepala Y. Lee, var. nov.; Ranunculus quelpaertensis(Lev.) Nakai var. albiflorus Y. Lee, var. nov.; Aconitum napiforme Lev. et Vaniot var. albiflorum Y. Lee, var. nov.; Ajuga decumbens Thunb. var. rosa Y. Lee, var. nov.

  • PDF